References
- 강연희, 장영숙(2010). 공립유치원 교사의 근무부담과 자아개념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3), 1-20.
- 강종구(1986). 자아개념, 진로의식성숙 및 학업성취도가 직업포부수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구광현, 김성숙(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창의성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2), 287-304.
- 구은미(2004).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국립국어원(2014).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에서 2018년 4월 1일 인출.
- 권연희(2013). 보육교사의 생활만족에 대한 조직풍토,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의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4, 131-151.
- 김경란(2006). 놀이에 나타난 영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김경선(2016). 영유아교사의 교직적성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김계영(1998). 교사의 창의성 수준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김미숙(2015).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 이후 어린이집 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 의사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김은화(2004). 유아교사의 행복감,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은(2010).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및 교육신념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김진영(2013).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직인.적성과의 관계.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김혜경(2012). 보육교사 적성검사 도구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김혜정, 김혜순(2015). 유아교사의 애착실행모델과 교사 민감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4(4), 748-760.
- 김희태, 백영숙(2009).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교수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13(3), 51-67.
- 노은호(2013).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적.인성과 핵심역량 비교 분석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3(3), 205-221.
- 박상돈(2010). 교인들의 자아존중감이 책임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목회상담적 연구.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박성혜(2014). 유아교사의 적성과 행복감과의 상관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7(6), 27-52.
- 박성혜(2015). 유아교사의 교직적성과 자아존중감 및 교수효능감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9(2), 211-242.
- 박성혜, 박은주(2014). 유아교사의 교직적성과 행복감과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8(6), 165-190.
- 박은주(2016). 예비보육교사의 적성이 보육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1), 163-182.
- 박은혜(2009).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 박희영(2014).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 및 교직선택 동기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백영숙, 강병재(2013).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 및 교수 효능감과 교수창의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76, 25-47.
- 변지혜(2013).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과 교직적성의 관계.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성원경, 김진영(2015).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직인.적성의 관계 연구. 직업교육연구, 34(5), 55-71.
- 송순옥, 김하종, 성연정(2015).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보육학회지, 15(3), 89-107.
- 심익섭, 임권엽(2013). 어린이집 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13(4), 55-69.
- 오수진, 장영숙(2011).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직무만족도 및 직무능력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24.
- 이경미(2012). 어린이집 교사의 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 교수 창의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이선희, 이승연(2011). 만1세반 자유놀이시간에서의 영아-교사의 상호작용과 교사의 민감성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1), 163-189.
- 이영석, 이세나(2005). 보육교사의 역할인식에 관한 연구 - 교사 개인적 변인과 상황 변인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43-74.
- 이윤주(2016). 교사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이인원(2012).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2(4), 167-188.
- 이지영(2008).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이지영(2012).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이지현(2013). 어린이집 교사의 가치관 및 교수창의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임명희, 박윤조, 김성현(2017). 예비보육교사의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적성, 행동유형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7(4), 145-161.
- 임연진(2012). 예비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 및 교육신념 간의 관계 [초록]. 한국보육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127
- 전재선(2011). 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정향미, 박인숙, 허혜경(2015). 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직무 만족의 영향; 교수효능감의 조절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4), 239-257.
-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한국아동학회지, 26(1), 359-373.
- 조운주(2014).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적성.인성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개선방안. 육아지원연구, 9(6), 101-123.
- 조주연(2003). 교직적성.인성검사도구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 조주연, 백순근, 임진영, 여태철, 최지은(2004). 초등 교직적성검사 모형개발 연구. 교육심리연구, 18(3), 131-182.
- 조주연, 백순근, 임진영, 여태철, 최지은(2007). 초등교적성검사(TAPST). 타당화 연구. 초등교육연구, 20(2), 161-182.
- 조혜진, 김수연(2012).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189-208.
- 최은정, 하지영, 서소정(2009). 보육시설에서의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영아의 발달수준, 교사의 민감성 및 초기가정환경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지, 30(2), 71-95.
- 한종화(2014).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전문성 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4), 271-287.
- 한진원(2011). 상호교류분석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한희경, 성원경, 김진영(2014).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적성의 관계 연구. 직업교육연구, 33(5), 43-62.
- EBS '아이의 사생활' 제작팀(2009). 아이의 사생활. 서울: 지식채널.
- Bedel, E. F. (2015). Exploring academic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Journal of Education and Training Studies, 4(1), 142-149.
- Bissessar, C. S. (2014).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ir collective self-esteem. Australi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9(9), 35-52.
- Blaine, B., & Crocker, J. (1995). Religiousness, ra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xploring social psychological mediator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1031-1041. https://doi.org/10.1177/01461672952110004
- Bowman, B. T. (1995). The professional developmental challenge: Supporting young children anf family. Young Children, 51(1), 30-34.
- Coggins, C., & McGovern, K. (2014). Five goals for teacher leadership. Phi Delta Kappan, 95(7), 15-21. https://doi.org/10.1177/003172171409500704
-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 Garvis, S., Fluckiger, B., & Twigg, D. (2011). Exploring the beliefs of commen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tudents: Providing insights to improv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ustrali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7(1), 6.
- Grieve, A. M. (2010).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for excellence": Teachers' own perceptions.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3(3), 265-277. https://doi.org/10.1080/02619768.2010.492854
- Gulacti, F. (2015). Investigation and procedure according to some variables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 and Review, 10(10), 1369-1376. https://doi.org/10.5897/ERR2015.2159
- Halliwell, S. (1993). Teacher creativity and teacher education. In D. Bridges & T. Kerry(Ed).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ly: Reflections for initial and In-service trainers (pp 67-78). London: Routledge.
- Kernis, M. H. (2003).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optimal self-esteem. Psychological Inquiry, 14(1), 1-26.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401_01
- Kumar, S. S., & Mohana, D. (2014). An investigation into self-esteem and adjustment of B.E.D. teacher trainees. Internation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al Research, 3(3), 28-32.
- Lai, E., & Cheung, D. (2015). Enacting teacher leadership: The role of teachers in bringing about change. Educational Management Administration & Leadership, 43(5), 673-692. https://doi.org/10.1177/1741143214535742
- Luthans, R., & Crocker, J. (1992). A collective self-esteem scale: Self-evaluation on one's social ident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8, 302-318. https://doi.org/10.1177/0146167292183006
- Persinger, J. (2012). An alternative to self-esteem: Fostering self-compassion in youth. Communique, 40(5), 22-23.
- Rike, C. J., & Sharp L. K. (2008). Assessing preservice teachers' dispositions : A critical dimension of professional preparation. Childhood Education, 84(3), 150-153. https://doi.org/10.1080/00094056.2008.10522994
- Raths, J. (2001). Teachers' beliefs and teaching beliefs. Early Childhood Research and Practice, 3(1). http://ecrp.uiuc.edu/v3n1/raths.html에서 2018년 4월 5일 인출.
- Rimm-Kaufman, S. E., & Sawyer, B. E. (2004). Primary-grade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attitudes toward teacing, and discipline and teaching practice priorities in relation to the responsive classroom approach.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4(4), 321-341. https://doi.org/10.1086/499756
- Roseng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Smulyan, L. (2016). Symposium introduction: Stepping into their power-The development of a teacher leadership stance. Schools: Studies in Education, 13(1), 8-28. https://doi.org/10.1086/685800
- Shanmugam, P. N. L. (2016). A study on differential aptitude and teaching competency of student teachers in Kancheepuram district. Journal of Education and Practice, 7(13), 87-88.
- Tunde, A. O., & Onabanjo, O. C. (2013). Influence of personality and self-esteem on teachers' proness to burnout sysdrome in Lagos Metropolis. America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1), 7-13.
- Wang, J., Zhang, D., & Jackson, L. A. (2013). Influence of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organizational climate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a sample of Chinese teacher.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3(7), 1428-1435. https://doi.org/10.1111/jasp.12099
- Yavuzer, Y. (2015).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handicapping tendencies, self-esteem, and cognitive distortions. Educational Sciences: Theory and Practice, 15(4), 879-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