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oism, and Confucianism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4초

박세당(朴世堂)의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과 임라산(林羅山)의 『노자초해(老子抄解)』 비교 연구 서설 (The instruction of comparative study on Lao Zi Note of Park Sae Dang and Hayashi La Zan)

  • 조한석
    • 한국철학논집
    • /
    • 제28호
    • /
    • pp.297-329
    • /
    • 2010
  • 이 논문은 박세당(朴世堂)의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과 하야시라잔(林羅山)의 『노자초해(老子抄解)』 비교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를 정리한 정리형 논문이다. 필자는 '박세당의 『신주도덕경』과 하야시라잔의 『노자초해(老子抄解)』비교 연구'에서 주목했던 점은 첫 번째, "박세당과 하야시라잔 둘 모두 당면한 시대의 사상적 도그마를 극복하려고 했다는 점"이며, 두 번째, "박세당과 하야시라잔이 지향한 공통적 사유, 곧 '기성의 질서를 넘어서'라는 사상적 도전 과정에 그들의 『노자』 주석이 그 역할의 일부를 수행하고 있다"라는 것이다. 하야시라잔의 『노자』 해석은 임희일의 『노자권재구의』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노장 이해도 임희일의 연장선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야시라잔은 『노자』에 대한 유가적 해석을 견지하고 있는 반면, 『장자』에 대해서는 유가적으로 해석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하지 않았다. 결국 하야시라잔에게 있어서 '임희일의 노장 이해에 대한 반전'은 일어나지 않았던 것이다. 하야시라잔의 도가 사상 수용은 일차적으로는 '『노자』 수용'을 의미하며 좀 더 세밀하게 지적한다면 '도가 일반'이나 '『노자』 일반'이 아닌 특정한 하나의 관점 곧 '임희일의 『노자권재구의』'를 수용했던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반면 박세당의 『신주도덕경』은 임희일 주석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 않다. 그는 『노자』와 『장자』에 대한 유가적 해석을 진행하면서 유가 경전이나 임희일의 주석을 답습하는 간접적 해석 방식을 지양하고 유가와 도가의 사상적 공유지점을 '수신치인(修身治人)'으로 지목하고, 이어서 『장자』「제물론」 성심(成心)의 개념적 내포를 성선론적 성(性)의 개념적 내포와 동치시키는 보다 직접적 방식을 통해서 도가 경전에 대한 유가적 해석을 진행하고 있다'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임희일이나 하야시라잔이 '유가적 입장에서 『노자』를 수용했던 것과 달리 박세당은 유가적 입장에서 『노자』와 『장자』를 수용했다고 비교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한중 역대 문집에 나타난 명승(名勝) 서새산(西塞山) 향유방식과 의상(意象) 비교 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the Ways of Enjoying Xīsāishān Mountain, Scenic Site and Euisang(意象: Images) of it Shown on a Number of the Historic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s)

  • 박소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4-33
    • /
    • 2022
  • 역대 문인들의 문집에 존재하는 유기문(遊記文) 내지 산수시(山水詩)는 명승과 깊은 관련이 있는 사료로, 이는 창작자의 개인성정(性情)과 경험, 학습 이력 등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 이러한 작품은 의상(意象)을 통해 각기 시문의 성격과 주지, 인지 대상에 대한 인식이 잘 드러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진행된 우리나라 역대 문인들이 사랑하고 애송하였던 어부사(漁父詞)의 시원(始原)이 되는 서새산(西塞山)의 의상(意象)과 관련하여 한중 문인의 서새산 향유방식과 의상으로 나타난 인식의 차이는 곧 시에 나타난 지리적 위치 차이와도 긴밀한 연관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중 역대 문인의 시문에 나타난 명승 서새산을 향유하는 방식은 크게 직접 명승을 마주하거나 정신적인 사유 구조 속에서 명승을 향유하는 방식으로 대별된다. 2. 오흥(吳興) 서새산(西塞山)은 장지화(張志和)의 「어가자(漁家子)」의 배경이 되는 곳으로 수려한 자연풍광과 함께 유가(儒家)의 호학(湖學)이 발원한 곳으로 순후(淳厚)한 사풍(士風)이 유존한 지역이기도 하다. 이에 이곳을 배경으로 음영한 서새산의 의상은 도가(道家)의 초탈(超脫) 은둔(隱遁)과 유가의 안분지족(安分知足)으로 구현된다. 3. 무창(武昌) 서새산(西塞山)은 군사 요충지로서 험준한 산세와 풍광으로 역대 격전지이자 충신 굴원과 관련 전고가 있는 지역이다. 이에 무창 서새산의 의상은 험준한 요새로서의 자연풍광, 유가의 우국충정으로 대별된다. 4. 우리나라 문인의 서새산 향유 방식은 신유(神遊)로, 작자의 가치관의 지향점에 따라 의상이 구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주목할 점은 우리나라 서새산의 의상은 본래 도가적 초탈의 면모를 지닌 장지화를 바탕으로 나타나며, 당나라 시승 제기(齊己)와 김시습이 음영한 서새산 의상은 '색공일여(色空一如)', '견성성불(見性成佛)'과 같은 불교의 구도(求道)적 색채를 띤 모습으로 나타난다

심신치유를 위한 불교의학, 사상의학, 한의학에서의 심(心)의 연구 (The Study on the Sim(心) in Buddhism Medicin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for construction of mind and body cure)

  • 김근우;박성식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5
    • /
    • 2012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Basic research for mind and body cure protocol construction through the Sim(心) study at Buddhism Medicine, Constitutional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Methods : 1. The Sim(心) in Buddhism is a target of spiritual culture and subjective awareness of An ascetic person in interior psychology. In this research, the Sim(心) has been modified within a concept of Early Buddhism and You-sic in order to have medical logicality. 2. Since the study deep into Sim(心) within Confucianism has various aspects, each Confucian's theory argument or era. We limited the significance of the Sim(心) to be associated with the category of the Sim(心)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which is a product of practical Confucianism. 3. The criteria of debate for the Sim(心) is based on the "Hwang-je-nae-gyoung", because "Hwang-je-nae-gyoung" is founded to definite the term regarding spirit or mind in Oriental medicine Results : 1. "Hwang-je-nae-gyoung" which came from thought of You-Sic, thought of Taoism, and Early Buddhism become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Sim(心) in Buddhism Medicin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2. The Sim(心) in the mind psychology of Buddhism Medicin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has active aspects. but the visual thing // There are visual aspects being contrasted with 'Sim(心)' of mind psychology and aspects of activity in Buddhism medicin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which are 'Hrd', 'Hrdaya', 'four-large' 'five base', 'chin, chest, navel and abdomen', 'head, shoulder, waist and buttocks' consisting 'the body', and the heart and 'four interorgans' from the study of symbolical interorgans). In Buddhism Medicine, Sim(心)'s Epistemology is the most extensively understood fact about 'Sim(心)', and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Sim(心)' is limited as an 'Element' that comprises the body. 3. The Functional area of the Sim(心) in the Buddhism Medicin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Oriental Medicine is composed with 'consciousness(意識)' 'manas-vij_na(末那識)', '_aya-vij_na(阿賴耶識)', 'mind greed(心欲)', 'Li(理)' and 'Sin(神)', about the interpretive area of 'Sim(心)', 'Sin(神)' of Oriental medicine is the most comprehensive concept, and on the side of the depth of 'thinking' and 'consciousness', '_aya-vij_na(阿賴耶識)' from Buddhism Medicine in the key point. 4. The Sim(心) in the Buddhism Medicin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has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such as the 'Dukkha(煩惱)' and A merciful heart or Human Sim(心) and Taoism Sim(心).

수양의 관점에서 본 조선유학의 태극론 일고찰 (A study on Taiji of 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from the view of Self-cultivation)

  • 이선경
    • 한국철학논집
    • /
    • 제27호
    • /
    • pp.119-143
    • /
    • 2009
  • 이글은 신유학의 최고개념인 태극에 대한 조선 유학자들의 수양론적 관심과 해명을 고찰한 것이다. 태극은 존재와 가치를 통관하는 궁극적 개념이지만, 조선유학의 태극에 대한 관심은 심성수양의 문제가 비중이 큰 것으로 보았다. 고려말 성리학자인 이색이 '복희와 요순을 본받아 내 마음의 태극으로 돌아간다'라 하고, 한국성리학의 이정표를 제시한 것으로 평가되는 이언적의 태극문변에서는 진리의 표준으로서 태극을 어떻게 체득, 실천해 갈 것인가라는 수양론적 문제가 중심이 됨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관심은 조선유학사 전반을 관통한다는 것이다. 유가에서는 인간사회 자체를 성도(成道)의 장으로 인식하기에, 음식남녀의 일상생활을 떠난 도·불의 수련관을 비판하면서 제기된 유가의 수양론은 태극에 대한 해명에 있어서도 도·불의 수련과 차별화되는 이론 근거를 마련한다. 조선의 유학자들은 태극을 내외를 관통하는 실리(實理)이자, 성(誠)으로 파악하는 한편 '심위태극(心爲太極)'과 관련한 논의에서 이때의 태극을 마음의 통회처(統會處), 인극(人極), 도심(道心)으로 이해함을 볼 수 있다. 이는 한국 선도사(仙道史)의 중요인물로 간주되는 김시습·서경덕 같은 학자들에게도 해당되는 것으로, 조선의 유학자들은 도불을 수용해 들임에 있어서도 도덕적 자아의 확립과 그에 의거한 심성수양이라는 문제 의식을 확고히 한다는 것이다. 적연부동(寂然不動)한 마음의 중(中)으로서의 태극을 체득하려는 공부론은 주정(主靜), 정좌(靜坐), 조식(調息)을 미발시의 공부법으로 수용하게 되며, 이는 도·불의 수련법을 합리적으로 재해석하여 유가 경(敬)공부의 일환으로 편입해 들이는 것이라 하겠다.

한국 신종교 의례복식 고찰 (I) (A Study on the Ritual Dress of Korean new Religions)

  • 임상임
    • 복식
    • /
    • 제19권
    • /
    • pp.83-103
    • /
    • 1992
  • This thesis researched the ritual dress of Korean new religions such as Suungyo, Mirubulgyo, Taejonggyo and WonBuddhism, According to kind, color, cloth and shape this thesis analyzed the ritual dress of them on the basis of its literatures. I. The results of the ritual dress of them through its literatures are as follows: 1. In case of Suungyo, there are Songwansonbok, Togwandobok, Pulmogwan, Ch'onui, Chap'ae , Yukhwangang, Pobdae, Hakp'yo and Kyonjang in its kind. In its color there are Huk, Cha, Hoe, Chahwang, Hong, Paek, Hwang, ROk, and Nam. Chemical fiber with one layer is used in its cloth. Its shape is made by a comprise between the feature of Korean dress, chuui and that of the existing dress of Confucianim, Buddhism and Taoism. 2. In case of Mirukbulgyo, Inhwag-wan, Chongbok, P'oui, Tae, Moson, Yomju and tanju are systematized in its kind. In its color there are Paek, Huk, ch'ong,Chok, Ok and Rok, Kongdan and chemical fiber with one layer are used in its cloth. Its shape has a symbolic form of Yu'Pul and son based upon Korean dress, Chuui. In its symbol Inhwagwan symbolized Confucianism and Chongbok Taoism and P'oui Buddhism. 3. In case of Taejonggyo, there are Chusabok, Sjhobok, Yewonbok, Chusamo, Yewonmo, Tae and Hwa in its kind. In its color there are Paek(main one), Nam, Huk, Chaju, Chok, Hwang and Hoe. Kongdan with both sides is elaborately used in its cloth. Its shape thken from Korean dress means the succession of the national spirit of the white-clad folk. 4. In case of won Buddhism, there are kybok and Pobrak in its kind. In its color there are Paek, Huk and Hoe---especially, both Hwangt'o and Hwang are used in Pobrak, Anyone can use cloth at his will. In its shape Kyoblk for man is Yangbok and Kyobok for woman is Tongch'ima and Chogori, a style of Korean dress. Pobrak is a form Tanryong worm with Rakja.

  • PDF

고등학교 도덕 교육과 환경 윤리 (Moral Education & Environmental Ethics in High School)

  • 황광욱
    • 한국철학논집
    • /
    • 제28호
    • /
    • pp.155-182
    • /
    • 2010
  • 환경 윤리에 대한 윤리학적 의견이 분분하기는 하지만 인간과 자연에 관한 관계의 재정립, 인간의 자연에 대한 의식 및 인식의 전환, 도덕적 의무와 책임의 확대 등이 도덕·윤리과에서 담당해야 할 환경 윤리 교육의 공통된 주제로 모아진다. 곧 '환경 교육'은 전 교과에서 시행될 수 있지만, '환경 윤리 교육'은 도덕·윤리과의 정체성적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도덕』 교과서에서 환경 문제에 관한 단원은 외형적인 틀은 체계를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모순되는 관점의 병렬적 진술, 문명과 자연의 이분구도, 동양 사상에 대한 비주류적 접근 혹은 개인적 태도에 초점을 맞춘 진술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윤리와 사상에서도 생태주의와 인간 중심주의의 대결구도, 인간을 환경 혹은 생태계의 암적인 존재로 몰아가고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교수-학습 과정에 있어서 윤리 교육은 '지정행(知情行)'의 통합 교육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환경 문제의 근원적인 원인을 '인식'에 둔다면, 고등학교 환경 윤리 교육의 교수-학습의 중요도는 '인지>정의, 행동'으로 되어야 한다. 고등학생은 환경 윤리학에 대한 고차의 지식과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수준이 되기 때문이다. 동양 사상의 자연관도 기왕의 환경 윤리학의 '관점'의 틀을 통해 동일차이를 설명하는 방식이 되어야 한다. 또 유학, 도가, 불교를 묶어서 '동양'이라는 틀로 설명할 것이 아니라 각각의 사상이 갖고 있는 자연에 대한 관점이 비교되어야 한다. 즉 환경 윤리학의 관점과의 동일-차이/ 유, 불, 도의 동일-차이가 종횡으로 설명된다면 기왕의 환경 윤리학을 보완 내지는 제3의 방식이 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내단도교 남·북종의 단법 비교 -장백단과 왕중양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thod of Internal Alchemy in Southern and Northern Schools of Taoism - Centering on Zhang Bo-duan and Wang Chung-yang)

  • 김경수
    • 한국철학논집
    • /
    • 제42호
    • /
    • pp.197-232
    • /
    • 2014
  • 도교는 처음부터 매우 정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내단 도교는 여러파가 있었지만 남종과 북종이 대표적이다. 남종은 북송 때에 장백단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북종은 금나라의 지배 아래서 왕중양에 의해 창립되었다. 남종은 교단을 만들지 않았으나 북종은 처음부터 교단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도교는 근본적으로 장생불사를 추구한다. 내단 도교는 내단으로만 그러한 경지에 도달하고자 독특한 수련법을 만들었다. 남종의 수련법은 치밀한 논리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반하여 북종의 수련법은 그 논리가 다소 부족하다. 남종은 육체적 수련으로부터 정신적 수련을 거쳐 궁극적 목적을 이루는 방법을 취했다. 반면에 북종은 정신적 수련으로부터 육체적 수련을 거쳐 목적을 이루는 방법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북종의 수련법은 순수한 내단법이라고 보기 어려운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그 수련에서 고행의 과정을 강요하고 있는 것도 남종과는 다른 방법이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그들이 유교와 불교를 이해하는 관점과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남종은 유교와 선불교를 수련의 첫 단계와 두 번째 단계로 포섭하는 이론을 만들어, 삼교가 마침내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반해서 북종은 세 종교가 처음부터 하나의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남종은 개인적 수련이 일차적인 목적이고, 북종은 민중의 구제에 근본 목적을 두었다. 이것은 남종과 북종의 주요 인물들의 수명으로 알 수 있다. 남종의 인물들이 대단한 장수를 누렸으나 북종 인물들은 장수를 누렸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엄밀하고 장기간의 수련이 필요한 남종은 그맥이 단절되었고, 북종은 거대한 조직을 형성하여 이후 중국 도교의 중심이 되었다. 남종이 북종으로 흡수되었다.

구곡원림의 원류, 중국 무이구곡(武夷九曲)의 텍스트성 -국내 전승(傳承) 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xtuality of China's Wuyi-Gugok, the Origin of Gugok-Wonlim -Focus on the Tradition Process to Korea -)

  • 노재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6-80
    • /
    • 2009
  • 본 연구는 '무이도가(武夷櫂歌)'나 '무이구곡(武夷九曲)' 관련 문화현상이 어떠한 연유와 과정으로 조선시대에 수용되었으며 내재된 담론과 문화적 응집의 규칙성, 특히 국내에서 구곡문화의 반복과 모방을 통한 전승과정에서 나타난 특성은 무엇인가를 밝히기 위해 시도되었다. 문헌고찰 및 현장답사에 의한 경관 인식과 함께 드레슬러(Dressier)가 제시한 텍스트성의 7가지 기준을 근거로 '해석 및 논의 틀'을 구축하고 텍스트의 의존관계, 생산자와 수용자의 관계, 반복 및 모방 그리고 전파과정으로 나누어 '무이구곡'의 텍스트성을 해석하였다. 텍스트 파악 의도와 상황적 근거로 볼 때 주자의 무이도가 그리고 무이구곡 경영은 무이산지 등의 문헌과 그림을 통해 조선에 전파되면서 일종의 사회현상으로 국내에서도 산간 계곡의 뛰어난 지형경관에 구곡을 설정하며, 정사를 경영하는 등 문학적 원림경관적 반복과 모방사례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생겨났다. 생산자의 의도 또는 용인에 관계없이 조선에 수용된 구곡문화는 수용자 계급이 지향한 도교문화적 상황과 유교의 경세제민(經世濟民)적 사대부 사고관에 편승하면서 새로운 문화로 정착하게 되었고 그 결과, 조선 구곡원림은 무이도가와 무이구곡에서 나타난 상자연(賞自然)의 미의식을 수용하면서 도교와 성리학적 사유방식과 결합되었다. 그러나 텍스트적 요인에 의한 의존 관계만을 살펴 볼 때, 국내에는 무이구곡과 같이 배를 타고 하상을 거슬러 올라갈만한 장소가 드문 관계로 하천 형태와 기능적 텍스트성으로서의 결속구조는 다소 이완된 채 도학적 사고나 풍류적 향유에 의존한 구곡문화가 텍스트성의 내적 구조를 지배한 것으로 보인다. '무이구곡'의 텍스트성을 지배하는 내적 요인은 "굽음의 미학, 물돌이", "영역성의 표현, 각자(刻字)", "의미경관의 성찰로 본 문화적 풍경", "기(奇)의 추구와 표상성" 그리고 "도교와 성리학적 토포스의 초월적 풍경"으로 해석되었다.

불가(佛家) 목우도(牧牛圖)와 유·도(儒·道) 십마도(十馬圖) 비교 연구 - 유불도(儒佛道) 삼가(三家)의 심법(心法)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Buddhist Painting, MokWooDo (牧牛圖: PA Comparative Study on Buddhist Painting, MokWooDo (牧牛圖: Painting of Bull Keeping) and Confucian/Taoist Painting, SipMaDo (十馬圖: Painting of Ten Horses) - Focused on SimBeop (心法: Mind Control Rule) of the Three School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nd Control Rule) of the Three School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

  • 박소현;이정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7-80
    • /
    • 2022
  • 불가의 십우도(十牛圖)는 현재 우리나라 사찰 금당 벽화에서도 자주 보이는 일종의 선종화이다. 송대 이후 발달한 목우도는 마음을 비유한 소와 이를 다스리는 목동을 소재로 하여, 이후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도화, 게송, 화운시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이는 비단 한 시대 중국 불가 사상에서만 국한된 현상이 아닌 시대와 사상, 국경을 초월한 범문화적으로 나타난 현상으로 그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목우도 연구에서 미비했던 유불도 삼가 사상 문화적 측면에서 통섭하고자, 유불도 삼가 사상을 대표할 수 있는 목우도송을 선정하여 각 문헌의 저술 목적, 마음의 수행 방법, 구경지취(究竟旨趣)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가의 십우도(十牛圖)는 보명의 『목우도』와 곽암의 『심우도』로 대별 된다. 불가의 선종은 깨달음을 통한 해탈을 지향한다. 이에 불가의 『목우도』와 『심우도』는 모두 점수(漸修)의 수행방법으로 수심증도(修心證道)를 위하여 작성되었다. 하지만 이는 선종과 교학의 관점 차이에 따른 강조점이 달라 화제(畫題)와 게송이 달리 나타난다. 둘째, 보명의 『목우도』는 방할기용(棒喝機用)이란 방법을 통해 미목(未牧)에서 쌍민(雙泯)의 진공묘유(眞空妙有)에 이르기까지 수행 과정을 소개하였으며, 그 이면에는 쌍민의 일원상(一圓相)마저도 초월하는 것을 구경처(究竟處)로 삼고 있다. 셋째, 곽암의 『심우도』는 심우(尋牛)에서 입전수수(入鄽垂手)에 이르는 점수(漸修)의 수행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사교입선(捨敎入禪)을 통해 상구보리(上求菩提), 하화중생(下化衆生)하는 경지에 나아가 중생(衆生)과 함께하는 화광동진(和光同塵)을 구경처(究竟處)로 삼아 모든 중생의 불성(佛性)을 제도하고자 하였다. 넷째, 시미즈 슌류(清水春流)의 『유가십마도(儒家十馬圖)』는 보명의 『목우도』를 차용하여, 유가의 심학의 지취를 설파하는 '원불입유(援佛入儒)'의 특징이 있다. 이는 유가의 학문의 목적인 '학성현, 복기성[學聖賢, 復其性]'을 근거로 '제외안내(制外安內)'의 함양(涵養) 공부를 통해 도(道)와 합일된 군자, 즉 성인(聖人)을 지향한다. 그 구경처(究竟處)는 『중용』의 "상천지재, 무성무취(上天之載, 無聲無臭)"와 합치된다. 다섯째, 원명노인(圓明老人)의 『상승수진삼요(上乘修真三要)』는 보명의 『목우도』를 차용함과 동시에 자신의 지취를 설하기 위해 총 13장의 그림으로 구성되어 '원불입도(援佛入道)'의 특징이 있다. 도교는 양생술을 통한 장생불사의 신선 성취를 목적으로 한다. 이에 반환심성(返還心性)을 통해 심신(心身)을 모두 버리고 태극의 정기로 새롭게 잉태된 성태(聖胎)로 화하여 궁극적으로 '원래 시초인 자금선(紫金仙)을 지향한다는 점이 도교만의 독특한 특징으로 나타난다. 이의 구경처(究竟處)는 지도회홍(至道恢弘)의 도의 속성과 합치되는 법신청정(法身淸淨)이다.

아시아 문화권에서의 상실과 슬픔 (Loss and Grief in Asian Culture)

  • 홍영선;염창환;이경식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권1호
    • /
    • pp.1-5
    • /
    • 1998
  • Grief is the ordinarily self-limited complex of symptoms and processes that constitute the acute reaction to a significant loss. And it is the reaction of the dying as well as the bereaved. Every culture has had its own ways of grief and mourning. The definition of healthy grief and mourning, in terms of both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length of time it should continue, mostly depend upon the type of culture as well as the type of religion. So the manner of grief and mourning greatly differs from culture to culture. In the most of the Asian countries, influenced by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death is traditionally considered the most significant life cycle transition. In Chinese culture, many rituals have evolved to help family members deal with their loss, over the past five thousand years. Confucianism taught the virtues of filial piety and righteousness. These rules and many customs added since the time of Cofucius, have been loyally followed and practiced by many Asian people. However, Buddhists have different ideas. They believe in karma and reincarnation and in predetermination of one's present life by good or bad deeds in the present life and past lives. Display of uncontrollable emotion is not encouraged. Continuity of family relations after death is very important. The ancient practice of the ancestor worship is still followed in many Asian households. Many Buddhist do not practice ancestor worship; family members honor the deceased by placing a memorial plate in the temple for continued chanting purposes. The mourning rituals have been dramatically curtailed in the past 50 years. For exampl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forces have shaped the current mourning practices of Chinese in different countries. There are many clinical implications in helping Asian to deal better with the emotional strains of the experience of loss. The therapiest must respect the cultural framework through which the client perceives family los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