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extuality of China's Wuyi-Gugok, the Origin of Gugok-Wonlim -Focus on the Tradition Process to Korea -

구곡원림의 원류, 중국 무이구곡(武夷九曲)의 텍스트성 -국내 전승(傳承) 과정을 중심으로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how the cultural phenomena associated with 'Wuyi-Doga(武夷棹歌)' and 'Wuyi-Gugok (武夷九曲)' was introduced to Joseon. The icon and code of 'Gugok' cultural text which was observed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culture through repetition and imitation were examined. With regard to research methodology, an 'analysis and discussion framework' was design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ield survey and the seven textuality criteria proposed by Dressier. Then the textuality of 'Wuyi-Gugok'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dependent relation of t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or and user, repetition, imitation and the spread process. Since ZhouHee(朱熙)'s 'Wuyi-Doga' and 'Wuyi-Gugok' were introduced to Joseon through literature and paintings, they became a part of the cultural Phenomena with unprecedented popularity. As a result, a great number of imitations can be found. In addition, governors would even take care of political affairs in a scenic mountain valley as described in this literature. Regardless of the writer's intentiot 'Gugok' settled in Joseon as new culture in harmony with Taoism and Sung COnfucianism. In other words, Joseon's Gugok-Wonlim(九曲園林) accepted the nature-appreciation aesthetic consciousness in 'Wuyi-Doga' and 'Wuyi-Gugok' on the basis of Taoism and Sung Confucianism. In terms of the text-based dependent relation only, however, the geographical coherence was somewhat loosened while the Gugok Culture that was dependent on Taoism or elegance in life dominate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extuality. Meantime, the internal factors that dominated the textuality of 'Wdyi-Gugok' were interpreted as 1) 'Aesthetics of Bending, Water Whirls', 2) 'Territoriality Expression Carve letters,' 3) 'Cultural Landscape seeing through the Speculation of Meaning,' 4) 'The Pursuit of Oddness and Presentationism' and 5) 'Transcendental Landscape of Taoism and Topos.'

본 연구는 '무이도가(武夷櫂歌)'나 '무이구곡(武夷九曲)' 관련 문화현상이 어떠한 연유와 과정으로 조선시대에 수용되었으며 내재된 담론과 문화적 응집의 규칙성, 특히 국내에서 구곡문화의 반복과 모방을 통한 전승과정에서 나타난 특성은 무엇인가를 밝히기 위해 시도되었다. 문헌고찰 및 현장답사에 의한 경관 인식과 함께 드레슬러(Dressier)가 제시한 텍스트성의 7가지 기준을 근거로 '해석 및 논의 틀'을 구축하고 텍스트의 의존관계, 생산자와 수용자의 관계, 반복 및 모방 그리고 전파과정으로 나누어 '무이구곡'의 텍스트성을 해석하였다. 텍스트 파악 의도와 상황적 근거로 볼 때 주자의 무이도가 그리고 무이구곡 경영은 무이산지 등의 문헌과 그림을 통해 조선에 전파되면서 일종의 사회현상으로 국내에서도 산간 계곡의 뛰어난 지형경관에 구곡을 설정하며, 정사를 경영하는 등 문학적 원림경관적 반복과 모방사례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생겨났다. 생산자의 의도 또는 용인에 관계없이 조선에 수용된 구곡문화는 수용자 계급이 지향한 도교문화적 상황과 유교의 경세제민(經世濟民)적 사대부 사고관에 편승하면서 새로운 문화로 정착하게 되었고 그 결과, 조선 구곡원림은 무이도가와 무이구곡에서 나타난 상자연(賞自然)의 미의식을 수용하면서 도교와 성리학적 사유방식과 결합되었다. 그러나 텍스트적 요인에 의한 의존 관계만을 살펴 볼 때, 국내에는 무이구곡과 같이 배를 타고 하상을 거슬러 올라갈만한 장소가 드문 관계로 하천 형태와 기능적 텍스트성으로서의 결속구조는 다소 이완된 채 도학적 사고나 풍류적 향유에 의존한 구곡문화가 텍스트성의 내적 구조를 지배한 것으로 보인다. '무이구곡'의 텍스트성을 지배하는 내적 요인은 "굽음의 미학, 물돌이", "영역성의 표현, 각자(刻字)", "의미경관의 성찰로 본 문화적 풍경", "기(奇)의 추구와 표상성" 그리고 "도교와 성리학적 토포스의 초월적 풍경"으로 해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원 (2003) 소현서원에 반영된 율곡의 건축미학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신애 (2005) 조선시대 무이구곡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신애 (2007) 조선시대 무이구곡도의 연원과 특정. 미술사학연구 254: 5-40
  4. 강정서(1993) 구곡가계 시가에 나타난 공간이미지와 지향의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강정서(1998) 퇴계의 〈무이도가〉 시인식의 한 국면 제구곡시를 중심으로. 동방한문학 14: 161-178
  6. 고연희 (2007) 조선시대 산수화,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들베개
  7. 고정희 (2005)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의 언어적 차이와 시가사적 의의. 국어국문학 141: 197-141
  8. 권석환 엮음(2004) 한중팔경구곡과 산수문화. 이회출판사
  9. 권석환, 김동욱, 안장리, 이석해, 이정수, 이행렬 (2002) 중국문화답사기 1 : 오월지역의 홍f수를 찾아서. 다락원
  10. 기근도(2008) 경상좌도 동천구곡의 지형적 특성. 한국지형학회지 15(2): 95-109
  11. 기근도, 김영래, 조헌 (2007) 정상우도 동천구곡의 지형적 특성. 한국지형학회지 14(3): 123-136
  12. 김광래, 노재현, 안범용, 최현상(1993) 화양동 계곡의 경관특이성과 선호성분석에 관한 연구 경희대 조경계획연구소. 조정논총 5(1): 13-26
  13. 김덕현 (2008) 전통명승 동천구곡의 유래와 사례. 문화재청. 전통명승 동천구곡의 유형과 활성화 방향
  14. 김도남(2002) 텍스트 이해의 상호 텍스트성. 국어교육학연구 14: 131-163
  15. 김문기(1991) 구곡가계 시가의 계보와 전개양상. 국어교육연구 23. 경북대 국어교육연구회
  16. 김문기 (2005) 문경의 구곡원림과 구곡시가. 한국학술정보(주)
  17. 김문기 (2008a) 퇴계구곡과 퇴계구곡시 연구. 퇴계학과 한국문화 42: 241-275
  18. 김문기 (2008b) 도산구곡원림과 도산구곡시 고찰. 퇴게학과 한국문화 43: 193-233
  19. 김문기, 안태현 (2005) 문경지방의 구곡원림과 구곡시가 연구. 퇴계학과 한국문화 35: 233-278
  20. 김병국(1990) 고산구곡가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김병국(2003) '武夷權歌' 와 '高山九曲歌'의 품격 연구. 어문연구 31(117): 105-124
  22. 김수진, 김태수, 심우경 (2008) 한강 정구(1543~ 1620) 의 무흘구곡 경영과 이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59-73
  23. 김수진, 심우정 (2005) 고산구곡에 나타난 율곡의 경관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4): 1-13
  24. 김양식 (2005) 화양동의 가치 발굴과 문화관광지 개발방안 연구. 충북 개발연구원학술정보
  25. 김열규 (2003) Topophilla: 토포스를 위한 새로운 토폴로지와 시학을 위해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7(3) :329-332
  26. 김의숙 (2006) 화천의 곡운구곡과 김수증 연구. 강원민속학 20: 435-462
  27. 김주한(1983) 퇴계의 주자시 이해; 무이도가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10 : 47-92
  28. 김창원(1997) 호중천지의 원림미학과 〈도산십이곡〉의 강호. 국어국문학
  29. 김해경, 최기수 (2007) 조선시대 인왕산 바위글씨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167-181
  30. 남창근, 이재헌 (2000) 조선 중기 정사건축에 나타난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31. 노재현 (2008) 중국 무이구곡의 장소 미학과 하천 형태학적 특성; 국내 구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1-11
  32. 문화재정 (2007a) 2007 명승 우수자원 지정 정밀조사(충청남도 . 충청북도, 대전지역)
  33. 문화재청 (2007b) 전통명송 동천구곡 조사보고서
  34. 문화재청 (2008) 전통병승 동천구곡의 유형과 활성화 방향
  35. 민주식(1999) 조선시대 지식인의 미적 유토피아: 무이구곡의 예술적 표현을 중심으로. 미학(한국미학회): 23-51
  36. 박이정 (2002) 18세기 예술사 및 사상사의 흐름과 권섭의 '황강구곡가'. 관악어문연구. 27: 283-304
  37. 박희성(1997) 정약용의 자연관과 다산초당원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배수찬(2002) 한자의 특성에 대한 형상학적 연구. 고전문학과 교육 5: 213-236
  39. 손오규(1992) 고산구곡가의 미적 위상. 한국문학논총 13: 31-48
  40. 손오규 (2002) 산수문학에서 「曲歌系詩歌」의 공간인식. 한국문학논총. 32: 219-239
  41. 손오규 (2004a) 무이도가와 무산십이곡의 품격연구. 어문연구 117: 105-124
  42. 손오규 (2004b) <무이도가〉와 〈도산십이곡〉의 비교연구. 한국문학논총 38: 61-89
  43. 손오규 (2006) 산수미학탐구. 제주대학교출판부
  44. 선두환(2007) 朝蘇士人의 「武夷權歌」 비평양상과 그 문예미학. 대동 한문학 27: 217-252
  45. 심우경, 강훈(1989) 한국 고대사찰에 있어서 영지의 상징적 의미와 수경적 가치. 한국정원학회지 7 (1): 69-96
  46. 심우영 (2006) r武夷山志」의 朱子詩내용 연구, 중국문학연구 25: 45-62
  47. 오용득(1995) 가다머의 언어관. 철학논총 11(1): 225-262
  48. 유병림, 황기원, 박종화(1986) 조선조 정원의 원형.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연구소
  49. 유준영(1981a) 구곡도의 발생과 기능에 대하여: 한국 실경산수화 발전의 일례. 고고미술 151: 1-20
  50. 유준영(1981b) 실경산수의 연원으로서 구곡도 계간미술. 19호(중앙일보사): 171-186
  51. 유준영(1984) 조형예술과 성리학: 화음동정사에 나타난 구조와 사상적 계보. 한국미술사논문집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38
  52. 유준영(1986) 성리학자의 정사경영과 구곡도. 전통문화 19: 122-130
  53. 유혜령(1999) 텔레비전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나타난 아동문화의 상호 텍스트성: 기호학적 분석. 교육인류학 연구 2(1): 37-62
  54. 윤진영(1997) 조선시대 구곡도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윤진영(1998) 조선시대 구곡도의 수용과 전개. 미술사학연구 217 . 218: 61-91
  56. 이만부, 식산집(息山集) 권 20
  57. 이민홍(1982) 무이도가 수용을 통해 본 사림파문학의 일양상: 퇴계,하서, 고봉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6: 25-44
  58. 이민홍(1985) 사림파의 무이도가 수용에 대하여: 도교적 전설과 재도적 부회. 도남학보 7: 28-45
  59. 이민홍(1999) 조선조 중기 선비들의 시의식 ; 주자시의 평석을 중심으로. 고문화 53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7-40
  60. 이민홍(2003) 무이도가의 서시의 한중 화운시 비교고찰, 동방한문학. 24: 61-79
  61. 이상원 (2003) 조선후기 고산구곡가 수용양상과 그 의미, 고전문학연구 24: 42-43
  62. 이상주(1999) 구곡시의 전통과 화양구곡시. 교육과학연구. 청주대학교 교육문제 연구소 13: 75-98
  63. 이상주 (200la) 구곡문화관광특구와 구곡시 연구. 어문논총. 청주대학교 동서어문학회 17: 75-98
  64. 이상주 (2001b) 노성도와 연하구곡가. 한문학보 제4집. 우리한문학회: 167-193
  65. 이상주 (2001c) 옥회구곡과 옥화구곡시. 충북학.제3집 충북학연구소: 125-149
  66. 이상주(2001d) 낙우당구곡과 낙우당구곡시의 분석. 교육과학연구 12(2) : 73-89
  67. 이상주 (2002) 서계구곡과 '서계팔영'시. 교육과학연구 16(1): 149-177
  68. 이상주 (2003) 운선구곡과 운선구곡시. 청주대학술논문집 1: 403-432
  69. 이상주 (2004) 정재웅의 쌍계구곡과 쌍계구곡시. 청주대학술논문집 3: 143-166
  70. 이상주 (2006) 조선후기 산수평론에 대한 일고찰: 화양구곡을 중심으로. 한문학보 14: 215-244
  71. 이상주 (2008) 화양구곡, 선유구곡의 완성과정과 화양구곡도. 한문학보 18: 525-555
  72. 이석해, 이행렬 (2001) 문화경관으로 본 곡운구곡의 특성. 한국정원학회지 19(4): 47-59
  73. 이은창(1988) 한국유가 전통원림의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4: 298-304
  74.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 1 책. 휴머니스트: 22-41
  75. 이창식 (2001) 권섭의 '황강구곡가' 연구. 시조학논총 27: 107-142
  76. 임재철, 장동수 (2001) 죽계구곡의 경관 의미;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노문리 수입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9(3): 19-29
  77. 장샤를장봉(2003) 인간의 내면세계와 외부세계를 연결하는 만남의 여정 ; '구곡'의 관념에 대하여. 문화예술. 이천삼년 칠월호: 92-97
  78. 정인하(2004) 라 빌레트공원의 계획과정에 나타난 텍스트 개념 연구, 프랑스학연구 28: 409-434
  79. 조규희 (2006a) 조선 유학의 '道統'의식과 九曲圖. 역사와 경계 61: 1-24
  80. 조규희 (2006b) 곡운구곡도첩의 다층적 의미. 미술사논단. 23: 241-275
  81. 조성덕 (2005) 무이도가의 수용과 변용에 대한 일고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2. 조용돈(2006) 논설문 생산의 텍스트 언어학적 책략, 태학사
  83. 조해숙(2003) 전승과 향유를 통해 본 '개암십이곡'의 성격과 의미. 국어국문학 133: 253-283
  84. 조헌 (2006) 동천구곡 경관의 3D 재현 ;GIS활용기법을 중심으로. 경남문화연구 27: 327-338
  85. 朱子, 朱子大全. 9. 詩
  86. 최기수(1990) 곡과 경에 나타난 한국전통경관 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7. 최기수(1991) 德洞九曲에 나타난 전통조경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논문집 25: 279-293
  88. 최기수(2004) 자연에서 얻는 삶의 지혜 ; 팔경과 구곡. 한국조경학회지 22(4) : 136-138
  89. 최종현 (2000) 주자의 무이구곡도. 실학사상연구 14: 707-723
  90. 최종현 (2007) 원림건축형식으로서 한국전통산수화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13-36
  91. 허균 (2002)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상. 다른 세상
  92. 황진성 (1965) 고산구곡가 연구. 동악어문논집 1: 195-226
  93. 황충기(1980) 입암구곡과 입암이십구곡의 대비 고자찰. 국어국문학 82: 75-107
  94. Jambon, Jean-Charles(2005) Les enjeux contemporains de la notion de gugok .프랑스문화예술연구 14: 1-21
  95. de Beaugrande Dressler(1981) Einfuhrung in die Textlinguistik Tubingen: Niemeyer. 정희자(역), 담화와 문법.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1998
  96. 童天工 武夷紀要自敍. 武奏山志 권 21
  97. 羅方里 (2006) 武夷山水. 海湖撮影蕓據術出版社, 中國福州市
  98. 王長靑(2002) 解讀武夷山. 中國海風出版社
  99. http://blog.daum.net/windadall/8052826
  100. http://www.whwy.org
  101. http://earth.google.com/intl/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