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DN content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24초

중부내륙지방에서 벼 수확 후 재배한 월동 사료작물들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A Comparison on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of Winter Forage Crops Cultivated after Rice Harvest in the Central Inland Region)

  • 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1-38
    • /
    • 2019
  • 본 연구는 중부 내륙지방에서 벼 수확 후 호밀, 귀리, 트리티케일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파종하여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가치를 검정한 다음 벼 수확 후 재배에 유리한 월동 사료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4초종(호밀, 귀리, 트리티케일 그리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으로 하고, 품종은 각각 마톤, 동한, 신영 및 코윈어리로 난괴법 3반복 실시하였다. 파종일은 10월 24일(벼 수확 후)에 하였으며, 수확은 이듬해 5월 23일에 실시하였다. 건물수량 및 TDN 수량은 호밀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귀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다른 초종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조회분 및 ADF함량은 월동 사료작물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NDF 함량은 호밀 > 트리티케일 > 귀리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리고 TDN 함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 귀리 > 트리티케일 > 호밀 순으로 나타났다(p<0.05). 총 구성 아미노산 함량은 단백질함량이 높았던 작물 순(이탈리안 라이그라스 > 귀리 > 트리티케일 > 호밀)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총 무기물 함량은 호밀 > 트리티케일 > 귀리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순으로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귀리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 트리티케일 > 호밀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귀리는 조단백질, TDN, 구성 아미노산, 유리당 함량이 높아 사료가치는 매우 양호하였으나 파종적기를 벗어난 늦은 파종으로 인하여 건물수량이 낮았다. 그리고 호밀과 트리티케일은 사료가치는 떨어지지 만 높은 수량을 확보(건물수량 및 TDN 수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따라서 중부 내륙지방에서 벼 수확 후 다음 해에 모심기 전까지 논토양을 이용하기 적합한 월동 사료작물 재배는 호밀과 트리티케일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거세한우 비육후기 농후사료 에너지 수준이 육질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ergy Level of Concentrate Feed on Meat Quality and Economic Evaluation in Finishing Hanwoo Steers)

  • 백봉현;홍성구;권응기;조원모;유영모;신기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447-456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nergy level of concentrate feed in finishing Hanwoo steers for 6 months before slaughter. Feeding trial was done with 2 treatment groups, IDN72 (72% of TDN in concentrate) and TDN74 (74 % of TDN in concentrate). The body weight (from 19 to 24 months) tended to be higher in TDN74 than in TDN72, but was not significant. Average daily gain of TDN74 was higher by 4.4 % in comparison to TDN7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ntrate, dry matter and TDN intake per I kg body weight gain between TDN72 and TDN74. And there was a tendency to improve crude protein intake per I kg body weight gain by increasing TDN content from 72 to 74 %. The dressing percentage tended to be higher in TDN74 than in TDN72, but was not significant. Salable meat percentage tended to be lower in TDN74 than in TDN72 because of higher body fat percentage in TDN74 than in TDN7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bling score, meat color, fat color, carcass weight, rib-eye area and back fat thickness between TDN72 and TDN74.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shear value, cooking loss, water holding capacity or moisture and protein contents of longissimus dorsi (LD) muscles between TDN72 and TDN74. Fat content of LD muscles tend to be lower in TDN74 than in IDN72 but without any significance. There was a tendency to improve juiciness and taste by feeding IDN74 rather than TDN72. Especially, tenderness of TDN74 was increased by 7.4% in comparison to TDN72 (p < 0.05). Gross income from TDN74 was higher than TDN72 by 5% The results suggest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growth performance, feed conversio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between TDN72 and TDN74. The results also show that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clarify the energy level for finishing Hanwoo steers.

Silage용 옥수수와 두과작물의 간작에 관한 연구 IV. Silage용 옥수수 (Zea mays L.) 와 콩 ( Glycine max (L.) Merr.) 의 간작이 영양성분함량 및 TDN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Corn-Legume Intercropping System IV. Effects of corn-soybean intercropping on chemical composition and TDN yield)

  • 이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3-118
    • /
    • 1989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ompare chemical composition, TDN yield of corn-soybean intercropping and corn monocropping forage plants at different harvesting time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In both cropping systems, the content of chemical composition of forage were changed same pattern in growing stage.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in corn-soybean intercropping forage at yellow stage increased more than that of corn nonocropping forage, while the crude fat in corn monocropping forage plants increased than that of corn-soybean intercropping forage plants at mature stage. 2. The crude fiber, crude ash, ADF content of forage plants in both cropping system decreased same pattern in growing period, however, NFE content of forage increased with maturity. 3. TDN yield of corn-soybean intercropping and corn monocropping forage plants at yellow stage obtained similar results and TDN yield per 10a in intercropping and monocropping were 1006.lkg and 978.6kg, respectively. 4. Consequently, corn-soybean interaopping system could be increased crude protein yield without decreasing of dry matter yield in comparison with corn monocropping system for corn silage.

  • PDF

파종기와 예취시기가 답리작 호밀의 동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Date and Cutting Time on Feed Value of Rye in Paddy Field)

  • 김창호;채제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19-525
    • /
    • 1994
  • 충남 예산지방에서 호밀을 답리작으로 재배할 때 파종시기와 채취시기가 사요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호밀의 조단백질, 가소화단백질, 총가소화양분(TDN)과 P, K, Ca, Mg 등의 무기물 그리고 에너지추정값(ENE), 필유에너지(NEL), 유지에너지(NEM), 증체에너지(NEG) 등의 에너지 함량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감소하고 ADF (acid detergent fiber) 와 NDF(neutral detergent fiber)는 증가하였다. 2. 단위면적당 조단백질, 가소화단백질, 총가소화양분(TDN), P, K, Ca, Mg등의 무기물 및 에너지추정값(ENE), 필유에너지(NEL), 유지에너지(NEM), 증체에너지(NEG) 등의 에너지 수량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증가하였으며 10월 5일에서 10월 25일까지의 파종기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3. 채취시기별로는 모든 파종기에서 조단백질은 개화후기 예취시, 가소화단백질 및 증체에너지 (NEG)는 출수기 예취시, 총가소화양분(TDN) 수량은 유숙기 예취시 제일 많았다. 4. 호밀의 채취적기는 관행사료가치 관점에서는 유숙기 무렵으로 판단되나 가소화단백질 및 증체에너지(NEG)측면에서는 출수기 무렵이 적기로 판단되었다.

  • PDF

발효돈분 및 화학비료 시용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Rate of Fermented Swine Manure and Additional Mineral Fertilizer on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Corn for Silage)

  • 최기춘;육완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1-48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rate of fermented swine manure and additional mineral fertilizer on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corn(Zea mays L.) for silage. Swine manure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compost of swine manure fermented with sawdust(SMFWS) and swine sluny(SS). This study was arranged in split-split plot design. Main plots were the types of swine manure, subplots were the application rate of swine manure, such as 100, 200 and 400kgN/ha, and sub-subplots were the application rate of mineral fertilizer, such as 50 and 100kgNiha. Corn DM(dry matter) and TDN(tota1 digestible nutrient) yields increased as application rate of SMFWS and SS increased. DM and TDN yields in SS treatments were higher than those in SMFWS treatments. The effect of fermented swine manure improved positively as application rate of urea increased. Net energy for lactation(NE1) and TDN content in corn decreased as application rate of SMFWS and SS increased, but crude protein(CP) content increased by the application of SMFWS and SS. NE, and TDN contents in SMFWS treatments were lower than those in SS treatments, but CP content in SMFWS was higher than that in SS. The growth and nutritive value of corn were improved by the application of mineral fertilizer. (Key words : Swine manure, Swine sluury, Compost, Zea may, TDN, Net energy)

  • PDF

생육시기 및 품종이 총체 벼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Stage and Variety on the Yield and Quality of Whole Crop Rice)

  • 김종근;정의수;함준상;서성;김맹중;윤세형;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07
  • 본 시험은 사료용 총체 벼의 수확시기 및 품종이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축산연구소에서 수행되었다. 식용벼인 추청벼와 총체벼 전용품종인 하마사리를 이용하여 생육시기별로 6회(출수, 개화, 유숙, 호숙, 황숙 및 완숙기)에 걸쳐 수확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수확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TDN 함량은 증가되었다. ADF 함량으로 추정된($TDN=88.9-(0.79{\times}ADF)$) 평균 TDN 함량은 60% 내외로 나타났다. ADF 및 NDF 함량은 수확이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건물수량은 황숙기에 가장 높았으며(p<0.05) 추청벼가 하마사리 보다 약간 높았지만 유의적이 차이는 없었다. TDN 수량도 건물수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매 수확시기별 품종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총체 벼의 수확적기는 호숙기${\sim}$황숙기로 추천되었다.

경운방법 및 비료종류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사초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llage System and Fertilizer Type on the Forage Yield and Quality of Italian Ryegrass)

  • 김종덕;셔윈 아부엘;전경협;권찬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13-320
    • /
    • 2009
  • 경운방법과 비료종류를 달리하였을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사료수량과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시험은 $2{\times}2=4$ 요인시험으로 경운방법은 관행(경운과 로터리)과 무경을 두었으며, 비료종류는 화학비료와 퇴비를 두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초장, 건물률, 건물수량, TDN 수량 및 CP 수량은 경운방법에서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특히 무경운이 관행경운(경운+로터리)보다 건물수량, TDN 수량 및 CP 수량이 많았다. 그러나 비료의 종류에서는 처리간의 사초 생산성의 차이가 없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조단백질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한편 ADF 및 NDF 함량에서는 무경운이 경운보다 많았으나 TDN 및 RFV 함량은 경운이 무경운보다 높았다. 비료의 종류에서 ADF 함량은 퇴비구가 높았으나 TDN 함량은 화학비료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서 경운방법은 무경운이 관행경운보다 수량은 많으나 품질은 낮았다. 한편 비료의 종류에서는 사초수량의 차이는 없고 품질 차이도 적었다.

Brittle Culm 벼의 예취시기에 따른 청예수량 및 TDN (Forage Yield and TDN by Cutting Time of Brittle Culm Rice)

  • 김영두;박홍규;하기용;조수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83-488
    • /
    • 1997
  • Brittle culm 특성을 가지는 벼의 가축 조사요 이용성을 위한 적정 예취시기를 구명하여 조사요로서의 수량 및 영양가를 평가하고자 섬진벼 및 Brittle culm인 KL501 품종을 공시하여 무예취, 출수전 및 출수후 10일로 예취시기를 달리하여 1995년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에서 수행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품종 및 예취시기간 차이가 인정되었으나 재생초장은 품종에 관계없이 1차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컸으며 분얼경수는 품종 및 예취시기간 차이가 뚜렷하였고 재생경율은 1차 예취시기를 빨리 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2. 조단백질, 조지방 및 NFE 함량은 1차 예취시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많았으나 조섬유, 조회분함량은 반대의 경향이며, 2차 예취시에는 1차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조단백질, 조지방 및 NFE 함량이 적어지며 조섬유, 조회분함량은 많았다. 3. 청예수량은 출수기 예취가 다른 예취시기보다 많았는데 섬진벼는 4.49ton/ha, KL501은 4.75ton/ha이며 건물수량은 섬진벼가 1.12ton/ha, KL501은 1.16ton/ha이었다. 4. TDN 함량은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높았으나 2차 예취시에는 1차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높았고 KL501은 어느 예취시기에서나 섬진벼보다 TDN 함량이 높았으며, TDN 수량은 출수기 예취시 섬진벼는 0.60ton/ha, KL501은 0.62ton/ha으로 다른 예취시기보다 많았다.

  • PDF

중부지역에서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확립 (Establishment of Cropping System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in Middle Region of Korea)

  • 박준혁;윤기용;박상수;노진환;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73-384
    • /
    • 2011
  • 본 실험은 중부지역 작부체계 확립을 위한 유기조사료 생산하여 중부 지방에 적합한 초종을 선별하고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가축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수행되었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 결과 밭 토양에서는 밭 토양에서의 건물수량은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이 10.9 $ton{\cdot}ha^{-1}$이었고 호밀+레드클로버와 호밀+헤어리베치에서 3.3 $ton{\cdot}ha^{-1}$로 가장 높았으며 호밀 단파구에 대한 상대수량이 높아 혼파효과가 입증되었다.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이 조단백질(CP) 함량은 6.2%, 상대사료가치(RFV)는 옥수수가 가장 뛰어난 96.6이지만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84.4와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호밀+레드클로버에서 TDN(total digestible nutrient) 함량 59.7%로 다른 처리 구보다 높았다. 상대사료가치는 호밀+레드클로버가 83.8로 가장 높았지만 처리 간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밭 토양에서 가축사육능력은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이 수수${\times}$수단그라스교잡종이 4.27 head/ha/yr로 나타났다. 동계작물에서는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이 호밀+레드클로버가 1.74 head/ha/yr로 가장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논토양에서 건물수량은 유기볏짚이 3.3 $ton{\cdot}ha^{-1}$이였고 호밀+레드클로버가 4.1 $ton{\cdot}ha^{-1}$로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 논토양에서 유기 볏짚의 조단백질함량은 3.1%였고, 유기볏짚의 TDN 함량은 55%이었다. 호밀+레드클로버에서 TDN 함량은 59.7%로 다른 처리 구보다 높았다. 상대사료가치는 호밀+레드클로버가 83.8로 가장 높았지만 처리 간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논토양에서 가축사육능력은 유기볏짚이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 1.04 head/ha/yr. 호밀+레드클로버의 $K_{CP}$ 값과 $K_{TDN}$ 값의 평균이 1.84 head/ha/yr로 가장 높았으나 전 처리 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중부지역의 최적 작부조합은 밭 토양에서 수수${\times}$수단그라스교잡종+(호밀+레드클로버)와 논토양에서는 유기볏짚+(호밀+레드클로버)을 최적의 작부체계라고 판단된다.

Effect of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n Yield and Quality of Soybean Forage in Jeju

  • Kang, Young-Kil;Kim, Hyun-Tae;Cho, Nam-Ki;Kim, Yeong-Cha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95-99
    • /
    • 2001
  •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known to produce the highest total digestible mutrients (TDN) yield among summer grain legumes in Jeju area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cultural practices on forage yield and quality. A determinate soybean cv. Baegunkong was planted on 5 June, 20 June, and 3 July and grown at four plant densities (30, 50, 70 and 90 plants $m^{-2}$ in 1998 in Jeju to evaluate the effects of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n the yield and quality of soybean forage. Days to flowering decreased from 47 to 38 days, average plant height from 61 to 51cm and main stem diameter from 6.31 to 5.00mm as planting was delayed from 5 June to 3 July. Average plant height quadratically increased from 45 to 62cm as plant density increased from 30 to 90 plants $m^{-2}$. Planting date did not affect the average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TDN yields. The average dry matter and TDN yields displayed a quadratic response to plant density and the optimum plant density for both dry matter and TDN yields was estimated about 60 plants $m^{-2}$. Plant density had no effect on crude protein yield. Planting dat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forage quality.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lant density. Increasing plant density slightly increased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but slightly decreased TDN cont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