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세포

Search Result 3,14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조력 T세포 인자에 의한 면역반응의 억제

  • 이종길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6 no.3
    • /
    • pp.20-25
    • /
    • 1990
  • 면역계에는 조력T세포(helper T cell)와는 반대로 면역반응을 억제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주 기능인 억제성 T세포(suppressor T cell)가 존배한다는 것이 아려져 있다. 이 억제성 T세포가 존재한다는 개념이 면역학및 임상의학에 준 영향은 매우 지대하여, 앨러지나 자가 면역질환 같은 질병은 억제성 T세포의 결핍으로, 그리고 면역 결핍증같은 질병은 T세포가 지나치게 활성화된 것으로 설명되기에 이르렀다. 한마디로 거의 모든 저하된 면역반응은 억제성 T세포와 연관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억제성 T세포가 발견된지 근 20년이 되고 그에 관한 논문이 5000여편에 달하는 최근까지도 억제성 T세포 및 이들 세포가 만드는 억제성 T세포 인자에 대한 실체는 정확히 규명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억제성 T세포가 조력 T세포처럼 별개의 세포군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부인하는 학자도 최근 나오게 되었다.(이 분야의 연구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이 정리되어 있음). 그러나 억제성 T세포의 존재를 부인하는 학자들도 T세포가 면역 반응의 억제에 관여한다는 사실, 적어도 그 현상 자체를 부인하지는 않았다. 다시말하면, 면역반응이 T세포에 의하여 억제되는 현상은 이미 수 천년의 논문을 통하여 입증되고 있다. 면역반응의 억제에 있어서 억제성 T세포및 억제성 T세포 인자의 역할은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명확히 규명될 것이며, 정말 억제성 T세포가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은 이 총설의 주제가 아니다. 다만 여기서는 조력 T세포도 경우에 따라서는 면역반응의 억제에 관여한다는 최근의 연구결과를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 임파구와 세포성면역

  • 최철순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25 no.10
    • /
    • pp.595-606
    • /
    • 1989
  • 항원제시세포(APC)와 보조T세포 간의 협력작용에 의하여 활성화된 작동세포(NK세포, CTL, K세포, 대식세포, 과립구 등)의 종양세포, 이식장기 및 세포내기생세균에 감염된 각종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작용은 생체방어를 위한 중요한 세포성면역기전이다. 지난 몇 년간 세포성면역기전에 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T림파구매개성 세포독성작용의 면역생물학적기전은 확실히 밝혀있지 않다. 지금까지 알려진 중요한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세포독성작용을 나타내는 작동세포로는 NK세포, CTL, K세포, 대식세포/단핵구 및 과립구가 있다. 2. T세포의 세포표면항원분자군(CD)으로는 $CD_{2},\;CD_{3},\;CD_{4}[Ly_{3}T_{4}],\;CD_{5}[=Ly_{1}],\;CD_{7},\;CD_{8}[Ly_{2,3}]$가 있으며 $CD_{4}$는 보조Ttpvhdml 특이마커이고 $CD_{8}$는 세포독성 T세포 및 억압T세포의 특이마커이다. 주요 T세포수용체(TCR)는 $CD_{4}$ 또는 $CD_{8}$ 분자와 가까이 연합된 이향체($TCR-{\alpha}{\beta}/TCR-{\gamma}{\delta}$이며 보조 T세포 $CD_{4}$(마우스 $L_{3}T_{4}$)는 수용체와 연합되어 있는반면 억압 T세포 $CD_{8}(Ly+_{2,3})$는 항원수용체와 연합되어 있다. 3. T세포는 Ti-$CD_{3}$(항원/MHC) 복합체를 통한 '항원가교'에 의한 자극(항원인식)과 $CD_{2}$를 통한 비특이경로에 의하여 활성화(분화증식)된다. 비특이경로를 통한 활성경로에서 T세포($CD_{4}$$CD_{8}$)가 활성화되기 위하여는 보조T세포가 생산하는 IL-2을 요구하며 IL-2의 자극으로 분화증식된 $CD_{8}$는 세포독성능을 나타내지만 $CD_{4}^{+}$는 여전히 세포독성능을 나타내지 못한다. 4. 보조T세포는 class II MHC분자와 연합된 항원을 식별하는 반면 세포독성T세포는 class I MHC 분자와 연합된 항원을 식별한다. 5. 림파구 매개성 세포독성은 접촉(conjugati-on), 탈분극(depolarization), 용해계획(progra-mming), 용해(lysis) 및 재순환(recycling)의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6. 표적세포살해매체로는 perforin / PFP / cy-tolysin, lymphopores, lymphotoxins, protone, cytolytic enzymes가 알려졌으며 세포독성작용은 이들 이외에도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한 복합작용으로 추정된다. 7. CTL 매개성 표적세포의 주요 대사변화는 actomyocin ATPase의 증가, phosphocreatine과 ATPase의 소모, ATP 의존성 $Na^{+}/K^{+}$ 펌프작용의 중지, ATP 의존성 $Ca^{2+}$ 유출감소 및 세포내 축적이 관찰된다. 8. $Ca^{2+}$의 축적으로 세포막 교질 침투손상을 주어 수분의 유입을 증가시킴으로써 수포형성, 핵붕괴, 사립체팽화 및 정상세포 구조상실(Zeiosis)이 있다. 결론적으로 CTL 매개성 세포독성작용은 PFP, LT, TNF, 유사 TNF / LT 및 기타 매체를 통한 복합작용이며 세포살해기전은 지속적 대사소모와 정형적 세포구조(핵 및 세포질)의 파괴에 의한 것이다.

  • PDF

The effects of properties and interactions of surface molecules in antigen presenting cells on T cell activation (인공 항원제시세포의 표면 분자의 특성 및 상호작용이 T 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Min, Youngsil;Kang, Yoon Joo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6
    • /
    • pp.164-176
    • /
    • 2020
  • Efficient production of antigen specific cytotoxic T cells is critical for appropriate adoptive immune response. In vitro culture and expansion of human T lymphocyte clones are very sophisticated and subtle procedure in immune cell therapy and hard to control. Therefore, many groups devoted their efforts to manipulate artificial antigen presenting cells (aAPCs) that can induce T cell activation and clonal expansion. To mimicking of natural antigen-presenting cells, aAPCs encompass basic signal molecules required for T cell activation: MHC:antigen complexes, co-stimulatory molecules and soluble immune modulating molecules. Orchestrated organization of these molecules is important for efficient T cell activation. Here, we discuss how those molecules have been incorporated in several aAPC models, but also how physical properties od aAPC are important for interaction with T cells.

T-and cross-reactive B-cell epitopes of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human heat shock protein 60 in atherosclerosis (동맥경화증에 있어서 Porphyromonas gingivalis와 인체 열충격단백의 T-세포 및 교차성 B-세포 epitope)

  • Choi, Jeom-I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3 no.3
    • /
    • pp.331-34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동맥경화증에서 Porphyromonas gingivalis (P. gingivalis)와 인체 열충격단백 60의 T-세포 및 교차성 B-세포 epitope를 규명하고 수립된 T-세포주의 T-세포 주요조직적합체 양상을 파악하려는 데 있다. P. gingivalis 열충격단백-반응성 T 세포주와 환자의 혈청을 이용하여 P. gingivalis 열충격단백60 분자를 구성하는 104개의 중복성 합성 펩타이드의 T-세포 epitope과 B-세포 epitope을 규명하였다. 인체 열충격단백60에 대한 B-세포 epitope도 같은 방법으로 파악하였다. P. gingivalis, P. gingivalis 열충격단백60 또는 인체 열충격단백60에 대한 IgG 항체는 모든 동맥경화증 환자에서 상승하였다. P. gingivalis 열충격단백60의 3, 15, 24, 33, 45, 53, 64, 84, 88, 99번 펩타이드가 주요한 T-세포 epitope였고 이것들은 T-세포 및 B-세포 공동 epitope이기도 했다. 또한 인체 열충격단백60 교차반응 B-세포 epitope은 15, 29, 53, 56, 69, 74번 펩타이드로 판명되었다. 대부분 환자의 주요조직적합체는 $HLA-DRB1^{\ast}1504$$HLA-DZB1^{\ast}0603$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P. gingivalis 열충격단백60은 제 2급 주요조직적합제-제한적으로 분해되고 전달되었으며 이 단백질이 공통적인 T-세포 및 B-세포 epitope를 가지면서 동시에 인체 열충격단백60과 교차성 B-세포 epitope을 가지면서 동맥경화증의 면역조절기능에 관여한다고 볼 수 있다.

Culturing the Human Dental Pulp cells in the Collagen Matrix and on the ground tooth surface (콜라젠 기질(COLLAGEN MATRIX)과 마모된 치아표면에서의 치수세포 배양에 관한 연구)

  • Park, Sang-Hyuk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8 no.5
    • /
    • pp.419-424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원래의 치수조직과 유사한 조직을 재생하기 위한 pulp tissue engineering의 한 방법으로 건전한 조직으로부터 배양된 치수세포와 쥐의 조섬유세포(NIH 3T3 cell)를 Rat tail type I collagen solution에서 3차원적으로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콜라젠 젤의 수축량과 세포의 증식 량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마모된 사람치아의 표면과 배양용기에서 두 세포의 증식 량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콜라젠 젤에 NIH 3T3 세포를 배양한 경우 그 수축량은 최소였으나, 치수세포를 배양한 경우 그 수축량은 현저하였다. 2. 서로 다른 수의 치수세포를 콜라젠 젤에서 배양시킨 경우 세포 수가 많을수록 수축량이 증가하였으며, 세포가 없는 콜라젠 젤은 수축하지 않았다. 3. 치수세포를 콜라젠 젤에서 18일간 배양시킨 후 세포의 증식은 거의 없는 반면, NIH 3T3 세포는 계속 증식하였다. 4. 마모된 사람 치아 표면과 배양 용기에서 치수세포와 NIH 3T3세포를 배양한 경우 NIH 3T3세포가 치수세포에 비해 빠르게 증식 하였으며 , 특히 사람 치아의 표면에서 NIH 3T3세포가 현저히 빠른 증식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치수세포를 type I collagen gel에서 3차원 적으로 배양 후 치수조직의 재생을 유도하는 pulp tissue engineering에 관한 연구에 발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STUDY ON THE REGULATION OF OSTEOCLAST AND T CELL ACTIVATION VIA CELL MEMBRANE PROTEINS OF TNF FAMILY, CD137 LIGAND AND RANK LIGAND (TNF계 CD137L 및 RANKL의 파골세포와 T 세포에 대한 활성조절)

  • Hong, Sung-Joon;Park, Jae-Hong;Lee, Hyeon-Woo;Lee, K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5 no.4
    • /
    • pp.597-606
    • /
    • 2008
  • Resorption of alveolar bone in periodontitis is due to excessive differentiation and activation of osteoclasts. Bacterial antigens causing periodontitis activates CD4 T cells, which leads to expressing RANK ligand (RANKL) on CD4 T cells. RANKL binds RANK on preosteoclasts or osteoclasts, and enhances the differentiation preosteoclasts into osteoclasts and the activation of mature osteoclasts. CD137, one of TNF receptor (TNFR) family, expressed on activated T cells binds with CD137 ligand (CD137L) on antigen presenting cells. Cross-linking of CD137 by CD137L acts as T cell co-stimulatory signals and, therefore, enhances the activation of T cell. In this study, I elucidated the biological responses of CD137L on (pre)osteoclasts and RANKL on T cells in the context of in vivo interaction between T cells and osteoclasts. RAW264.7, murine monocytic cells, constitutively express CD137L. Ligation of CD137L with anti-CD137L mAb inhibited RANKL-induced osteoclast form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Bone marrow cells are expressed CD137L by the treatment with M-CSF. Cross-linking of CD137L abolished M-CSF/ RANKL-evoked the formation of multi-nucleated osteoclasts. Both mouse CD4 and CD8 T cells are expressed RANKL following their activation. Ligation of RANKL with OPG, the decoy receptor for RANKL, inhibited both CD4 and CD8 T cell proliferation. These effects were attributed to RANKL-induced apoptosis. These data indicate that CD137L and RANKL on osteoclasts and T cells, respectively provide them with inhibitory signal.

  • PDF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CLA)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Porcine Adipocyte and Muscle Cell (Conjugated Linoleic Acid(CLA)가 돼지 지방세포와 근육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

  • Chung, C.S.;Kim, H.R.;Kang, J.N.;Kim, N.S.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49 no.1
    • /
    • pp.25-32
    • /
    • 2007
  • The curr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CLA) isomers, cis-9, cis-11(c9c11), cis-9, trans-11(c9t11), trans-9, trans-11(t9t11), trans-10, cis-12(t10c12) on differentiation of pig preadipocytes and myogenic satellite cells during culture. Cells were isolated from new born pigs. The t10c12 isomer decreased differentiation of pig preadipocytes(92%), but not that of myogenic cells. The t9t11 isomer decreased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14%) and increased that of myogenic cells (26%). No other CLA isomers affected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or myogenic cells. The effects of CLA on proliferation of preadipocytes and myogenic cells were small, compared to the effects on differenti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LA isomers have different effects on differentiaton of pig preadipocytes and myogenic cells.

T lymphocyte에 관한 연구동향

  • 김길현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7 no.1
    • /
    • pp.32-37
    • /
    • 1991
  • 이 글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다루었다. 1. T세포에 있어서 피아식별의 기본 메카니즘 2. T세포의 활성화와 그에 관련된 세포 표면 분자들 3. T세포가 분비하는 lymphokine

  • PDF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nditioned Medium From an Immortalized Adipose-derived Stem Cell Line by SV40 T Antigen (SV40의 T항원으로 불사화한 지방줄기세포주로부터 생산한 배양액의 항염증 효능)

  • Ye Jin Lee;So Yeong Lee;Min Gyeong Jeong;Seong Moon Park;Dong Wan Kim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4 no.3
    • /
    • pp.170-178
    • /
    • 2024
  • Adipose-derived stem cells (ADSCs) are capable of differentiation into multiple lineages of cells, which has attracted attention for clinical therapy. However, ADSCs have poor proliferation capacity and a short life span in culture, which is an impediment in the application to clinical use. Previously, to overcome growth disadvantages, we had established an immortalized ADSC line (ADSC-T) by introducing the SV40 T antigen coding gene into primary human ADSC.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this cell line and assess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its conditioned medium (CM). ADSC-T appeared to maintain the differentiation potential into adipocyte and chondrocyte. The CM of ADSC-T suppressed the NF-κB activity and its target gene expression of COX-2 and iNOS. Furthermore, the phosphorylations of MAPKs, including ERK, JNK and p38, were suppressed by the ADSC-T CM. The expression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GF-β, TNF-α, IL-6, and IL-13 were also suppressed by the CM of ADSC-T. In the Nc/Nga atopic model mice, the CM showed therapeutic effect on DNCB-induced atopic dermatit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mortalized ADSC-T maintains the beneficial properties of primary ADSC and could be a versatile cell source for not only research into ADSC but also for production of CM suitable for clinical application.

Functional Analysis of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Derived from Mouse Lymph Node via Bidirectional Crosstalk with T Cells (T세포와 양방향 작용을 통한 마우스 림프절로부터 분리된 fibroblastic reticular cell의 기능적 분석)

  • Park, Sung Hee;Lee, Jong-Hwa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3 no.10
    • /
    • pp.1199-1208
    • /
    • 2013
  •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FRCs) form the structural backbone of the T zone provide a guidance path for immigrating T cells in the lymph node (LN). FRCs may contribute directly to developing T-cell biology in the LN and allow analyses of fundamental aspects of FRC biology related to T cells. FRCs inhibited T-cell apoptosis, and FRC culture supernatants strongly induced the expression of Bcl-xL in T cells against doxorubicin. Coculture of FRC and T cells resulted in rearrangements of the actin cytoskeleton, as well as global changes in the morphology of the FRCs. In addition, when cocultured, the T cells adhered to the FRC monolayer, and the membrane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ICAM)-1 was slightly increased by day-dependent manner. In contrast, the expression of soluble ICAM-1 was dramatically increased in a day-dependent manner. Several chemokines, such as CCL5, CXCL1, CXCL5, CXCL16, CCL8, CXCL13, and ICAM-1, and MMPs were expressed in FRCs sensed by tumor necrosis factor (TNF) families. Nuclear factor kappa B ($NF{\kappa}B$)-RelA of the $NF{\kappa}B$ canonical pathway was translocated into FRC nuclear by $TNF{\alpha}$. In contrast, p52 proteolyzed from p100, a counterpart of RelB of the noncanonical $NF{\kappa}B$ pathway, accumulated in the peripheral FRC nucleus by agonistic anti-$LT{\beta}R$ antibody. In summary, we propose a model in which FRCs engage in bidirectional crosstalk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cell biology. This cooperative feedback loop may help to maintain tissue integrity and function during immune respon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