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vey Tool

검색결과 1,579건 처리시간 0.029초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연구DB를 위한 비주얼 쿼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 연구 (A visual query database system for the Sample Research DB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 조상훈;김희찬;강근석
    • 응용통계연구
    • /
    • 제30권1호
    • /
    • pp.13-24
    • /
    • 2017
  •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표본코호트DB는 보건의료계뿐만 아니라 통계학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원이다. 일반적으로 이들 자료에서 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관련 사례들을 추출하는 과정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표본코호트DB를 이용하고자 할 때 사례 추출과정에 도움을 주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ohort DB Extract Tool(NICE Tool)을 소개한다. SAS의 DATA 명령문이나 SQL문에 익숙하지 않은 연구자들도 쉽게 마우스 클릭만으로 DB에서 필요한 변수들과 조건에 맞는 사례들을 추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빠른 사례추출이 가능하여 표본코호트DB를 사용한 연구들이 더욱 활성화되리라 판단된다.

자기결정성 동기이론에 의한 독서동기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Tool Development of Reading Motivation Using Self-determination Theory)

  • 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11-332
    • /
    • 2015
  • 이 연구는 자기결정성 동기이론을 적용하여 독서동기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기결정성 이론은 단순히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로 양분하지 않고, 개개인의 자율성 혹은 결정성에 따라서 무동기, 외적 조절, 주입된 조절, 동일시 조절, 통합된 조절, 내재적 동기 등 6가지로 구분하였다. 자기결정성 동기이론은 동기 유형을 세분화하여 다양한 외재적 동기를 어떻게 내면화할 것인가에 중점을 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RQ, MRP, ERAS, RSCS와 같은 기존의 독서동기 관련 측정도구를 분석하고, 이를 자기결정성원리에 의한 6개 범주로 재분류한 후, 이를 바탕으로 자기결정성이론에 의한 독서동기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독서동기 측정도구는 자기결정성의 원리에 의거 6개 영역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블록 코딩 및 피지컬 컴퓨팅 교육 사례 (A Case Study on Block Coding and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for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 한규정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307-317
    • /
    • 2019
  •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의 예비교사들에 대한 블록 코딩과 피지컬 컴퓨팅의 교육 사례이다. 학생들은 블록 코딩을 지원하는 '엔트리'를 통해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코딩에 대한 친숙함을 느꼈으며 코딩 능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학생들은 피지컬 컴퓨팅 교구의 다양한 입·출력 장치로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고 프로그래밍을 통해 사물을 제어하였고, 교육용 포트폴리오를 제작을 통해 코딩에서의 문제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등의 전반적인 과정을 경험하였다. 적용된 교육 방법으로는 몰입기반 프로그래밍과 짝 프로그래밍이고, 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 결과, 학생들은 엔트리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잘 이해하였고 엔트리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혼합하여 학습한 것이 엔트리 단독의 코딩학습보다 효과가 더 좋았다는 응답을 하였다. 또한 피지컬 컴퓨팅 교구 학습에서 적용한 짝 프로그래밍의 효과가 좋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애 아동·청소년 독서역량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구성요인 연구 (Research on Components for Developing a Reading Competency Diagnostic Tool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 김수경;최승숙;황정현;윤성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29-16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아동·청소년의 독서역량 강화를 위해 독서역량과 독서역량 개념에 따른 구성요인을 파악하고 진단 문항을 개발하여 장애 아동·청소년의 독서역량 진단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 브레인스토밍, 델파이조사 및 예비조사를 실시한다. 연구 결과 독서역량 진단도구 구성요인은 크게 2개 영역(정의적 영역, 환경적 영역), 4개 범주(독서동기, 독서태도, 인적 환경, 물적 환경), 4개 범주별 총 13개 구성요인(독서 흥미, 독서가치, 독서인정, 독서기대, 독서습관, 독서효능감, 독서몰입, 독서불안(회피), 가정/가족, 학교/교사, 또래, 독서환경, 매체환경)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장애 아동·청소년 독서역량 진단도구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모바일 BIM기반 현장 감리업무 지원도구 - 품질관리업무를 중심으로 - (On-site Quality Control Support Tools Based on Mobile BIM - Focusing on Quality Management Work -)

  • 송경욱;유정호;김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27-3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현장 품질관리 업무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모바일 BIM기반 품질관리 지원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국내 품질관리 업무의 절차를 분석하고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2개 기능을 도출하여 공종별체크리스트와 BIM모델 객체 매핑과정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도구 유용성 설문조사를 통해 개발된 도구가 품질관리업무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확인하였다.

여대생 음주동기와 문제음주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Tool for Drinking Motives and Problem Drinking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위성욱;정문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25-236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tool that can identify drinking motives and measure the degree of problem drinking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From June 25th, 2012 to September 21st, 2012, a methodological study was carried out on this subject. A basic questionnaire was made based on research literature and interviews with 8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factor analysis were 397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2 universities in G Metropolitan City. Result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PASW and AMOS 18.0. The developed tool was found to be acceptable in terms of construct validity and modeling suitability. The questionnaire comprised 16 questions on drinking motives in 4 sub-categories including 'relief' (4 questions), 'friendship' (3 questions), 'consolation' (4 questions), and 'escape' (5 questions). Problem drinking consisted of 11 questions in 3 different sub-categories including 'loss of control,' 'health hazards,' and 'sexual hazards.' Conclusion: The questionnaire was proved to have reliability and validity. Finally,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this questionnaire is adequate for assessing drinking motives and problem drinking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공간디자인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평가도구 및 지침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and Guidelines of Space Design for Applying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 오찬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23-33
    • /
    • 2015
  • As the population of the aged and the disabled increases, the needs for universal design is also growing. Universal design is to design for diverse users including all ages from children to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the pregnant, the tourist, and etc.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the design evaluation tool and guidelines of universal design for applying to space design. In order to achieve this, four basic spaces in human living such as residential space, educational space, working space, and cultural space were selected. Then, the elements of universal design were chosen for each space. The numbers of areas in each space were 12 for residential spae, 5 for educational space, 6 for working space, and 6 for cultural space. Also, 60 elements of universal design for residential space, 53 for educational space, 36 for working space, and 46 for cultural space were selected. The field observation with photos and user evaluation survey were carried out for each space by using these elements. Finally, the elements and guidelines of universal design applied for spatial design were suggested. This consisted of 8 areas and 67 elements. This would be useful for designing space for all people.

프로그램 교육목표 평가 모형과 성취도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Performance and Evaluation Model to Achieve the Program Education Objectives)

  • 박익수;박경우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6호
    • /
    • pp.52-57
    • /
    • 2013
  • In this paper, the evaluation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e program education objectives of Accredita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analyze the educational objectives evaluation tool case studies of programs that are run by each university,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to match the actual situation of university I have developed a distinction between questions the evaluation and assessment system. Configuration, execution, measurement, analysis, is a five-step mooring, the evaluation tool, is a graduate research you are currently using the most in Korea, the employer survey, education target assessment model of the program, employment trends of graduates, I decided to graduate focus group interviews. Distinction between questions, the evaluation also developed a questionnaire to derive the important keywords of education for each objectives. Improvement evaluation tool, the evaluation criteria is required, the University is preparing evaluate (NGR) in South Korea engineering education certification next regularly, requires research on semantic analysis of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program in the future some.

웹 정보 수집 관리 도구로서의 북마크 이용행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Using Behavior Analysis and Improvement of Bookmark as Web nformation Management Tool)

  • 민지연;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9-80
    • /
    • 2009
  • 웹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북마크는 이용자가 정보요구에 적합한 웹 정보를 효율적으로 재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라는 점에서 중요해졌다. 이 연구에서는 웹에서의 정보 수집 및 관리 도구로서의 북마크 이용 행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하여 북마크 기능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응답자 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관찰을 실시하고, 180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북마크 이용 목적에 따라 이용 행태와 기능 개선에 대한 요구사항 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웹 정보의 수집을 위해 북마크를 이용하는 경우 맥락 정보에 대한 요구사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마크 이용 빈도가 낮은 집단은 웹 정보 재이용이라는 목적에 대해 북마크 기능이 필수적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 개조 시 아동의 참여디자인 기법 및 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iques and a Tool of Children-Participatory Design for Renovating Community Child Center)

  • 박우장;박준영
    • KIEAE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15-2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ildren's participating behavior on the environment-improving process of a community child center, and to develop participating technique and tools that can be appliable. For this, a workshop, constructions, and an evaluation research were done on the premise that children participate in process of designing a community child center.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1) A survey chart, questionaries, preference image chart, and attitude measurement chart used in this study were easy to understand, simple, and thus found to be a useful technique and tool that could make children participate more active and interested. (2) As children participated more on the environment-improving process of community child centers, their demands became more diverse and specific, and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were high. (3) The change of satisfaction level before construction and after, and consistent demands for the separation of studying space between upper and lower graders show that children understand their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well, and have clear ideas on how their studying space should be com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