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icide risk assessment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3초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Correlations: a Cross-sectional Study in Thai Cancer Patients

  • Maneeton, Benchalak;Maneeton, Narong;Mahathep, Poja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2039-2043
    • /
    • 2012
  • Objectives: Depression is common in cancer patients. However, only limited evidence is available for Asian populations. The authors therefore examin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Thai patients with cancer. In addition, associated factors were determine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cancer patients admitted to a university hospital during December 2006 - December 2007.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was used to assess all cancer patients. Suicidal risk was assessed by using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MINI) in the module of suicidal risk assessment. Results: Of 108 cancer patients, 29.6 % were diagnosed with a depressive disorder (mild, 14.8 %; moderate, 5.6 %; severe, 9.3 %). However, only 25.0 % of these were recognized as being depressed by the primary physician. According to the MINI., 28.1 % of these depressed cancer patients had a moderate to severe level of suicidal risk. In addi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ncreased risk of depressio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pain score, lower number of cancer treatments (< 2 methods), increased educational duration (>13 years), increased age (> 50 years old) and being female.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s high in Thai cancer patients. However, depressive disorder in those patients is frequently undiagnosed. It is associated with several factors including pain, a number of cancer treatments, education duration, age and sex.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crease compliance with treatments and prevent of suicide, screening for depressive disorders in this patient group is strongly recommended.

서울시 재난 사례 QRE 평가도구를 활용한 재난 위험도 평가 (Disaster Risk Assessment using QRE Assessment Tool in Disaster Cases in Seoul Metropolitan)

  • 김용문;이태식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1-21
    • /
    • 2019
  • 본 연구는 서울시가 관리하는 재난 유형 중에 19개(자연재난 3개, 사회재난 16개)를 선정하여 QRE 평가를 진행하였다. 19개 재난 유형의 선정 기준은 과거에 자주 발생하고, 발생하면 인명과 재산피해를 많이 초래하는 재난 및 미래에 발생 가능성이 큰 재난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서울시의 재난 유형에 대한 QRE 도구의 결과에 따르면, 가장 위험도가 높은 재난 유형은 "자살 사고" 및 "대기질 악화"로 나타났다. 자살 사고는 발생 위험이 높고 자살자의 경제 및 정신적인 문제 해소 대책 마련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재난 위험 등급 "M6"에 해당된다. 이에 비해 서울시가 관리하는 재난 중 위험도가 낮은 재난 유형은 풍수해, 상수도 누수사고, 수질 오염사고 등으로 분석되었다. 풍수해는 국지성 집중호우, 태풍 등 재난 발생 가능성은 높지만, 서울시는 5년마다 풍수해 저감 종합계획 등을 수립하여 잘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이 재난 예방 대비책이 적절하게 수행되는 것으로 평가되어 재난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재난 위험 등급 "VL1"에 해당된다. 끝으로 QRE 도구는 도시의 지도자 및 재난 관리자들에게 재난 발생 위험을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알려줌으로써 의사 결정을 빠르게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준다. 또한 QRE 도구를 활용한 평가는 서울시에 당면한 도시안전 위험도에 대한 복원력의 체계적인 평가, 미래투자 계획에 대한 기초자료, 재난 대응 등 많은 측면에서 도움을 주었다.

일 대학병원에 방문한 우울한 청소년에서 비자살성 자해행동의 임상적 특성과 자살 시도 예측요인 (Clinical Characteristics of NSSI and Predictors of Suicide Attempts in Clinically Depressed Korean Adolescents)

  • 김경미
    • 정신신체의학
    • /
    • 제27권1호
    • /
    • pp.69-76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울감을 주소로 내원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자살성 자해행동(Non-suicidal Self-Injury, 이하 NSSI) 의 빈도와, NSSI유무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특성을 비교하고, 이와 연관된 자살시도의 예측인자를 밝히고자 한다. 방 법 총 113명의 우울감을 주소로 내원한 12세에서 18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징, 자살행동과 NSSI, 심리상태에 대해 자기보고식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반구조화된 면담도구를 이용하여 정신과적 진단을 하였다. NSSI의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임상적 특징을 비교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유의한 변수 중 자살시도의 예측인자를 분석하였다. 결 과 분석에 포함된 113명의 청소년 중 42.1%에서 NSSI를 보고하였다. NSSI 가 있는 군은 없는 군에 비해 여성이 더 많았고, 우울, 불안 및 자살사고점수가 더 높았다. 자살 시도의 가장 연관성이 높은 예측인자는 NSSI, 가족이나 친구 중 자살/자해 경험, 총 상태불안점수였다[Odds Ratio (OR)=0.05, 95% Confidence Interval (CI)=0.01~0.20, p<0.001 ; OR=0.07, 95% CI=0.01~0.45, p=0.005; OR=1.10, 95% CI=1.02~1.19, p=0.013].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우울감을 주소로 병원에 방문한 청소년은 일반인구에 비해 NSSI의 빈도가 3배 정도 더 높고, NSSI가 동반된 경우 자살사고와 불안이 높며 자살시도와도 연관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병원에 방문한 우울한 청소년의 경우, NSSI에 대한 평가의 반드시 포함해야 하며 청소년 대상 자살예방프로그램 개발 시 NSSI에 대한 평가 및 접근을 반드시 포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노인의 자살생각에 관한 융복합 예측요인 : 패널자료분석 (Conjunctive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Korean Elderly : Panel Data Analysis)

  • 김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91-397
    • /
    • 2019
  •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 당 자살자 수는 24.6명으로 OECD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살사망은 증가하고 있어 노인인구는 자살사망의 위험이 다른 인구집단에 비하여 매우 높다.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자살을 예측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국 복지패널의 2016년도에 구축된 11차 년도 복지패널 자료 중 만 65세 이상 노인 가구원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5.55세(표준편차 6.34)이며, 남성은 37%, 여성은 63%였으며, 지난 일 년간 자살생각을 한 적이 있는 대상자는 165명으로 전체의 3.4%였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자아존중감, 기초생활수급, 의료급여, 노인장기요양급여 등 사회서비스 수급여부의 관련요인을 포함하여 단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우울(Exp(B)=1.113), 주관적 건강상태(Exp(B)=.767)가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Nagelkerke $R^2=.248$). 따라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프로그램의 효과적 적용을 위하여 주관적 건강상태의 사정과 우울증 선별검사를 통한 고위험군의 파악이 요구된다.

연안활동시간을 고려한 장소유형별 위험도 평가 (Risk Assessment of the Accident Place Types Considering the Coastal Activity Time)

  • 서희정;박선중;박설화;박승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44-155
    • /
    • 2022
  • 해양경찰청에서는 연안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주요 연안활동장소에 대한 위험도를 평가하여 이를 기반으로 순찰·관리하고 있으나, 연안사고 발생 증가 속도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연안활동 공간이 점차 확장됨에도 불구하고 관리·감독 인력은 확충되지 못하여 생기는 관리 공백으로 인한 안전관리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현행 안전관리 체계를 점검.보완한 보다 효율적이고 실효성 있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특히 연안사고는 시간에 따른 이용자들의 활동 특성의 차이로 인해 사고요인 및 사고장소가 달리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연안사고 통계자료(2017~2021)를 분석한 결과, 주로 가족 단위의 여가활동이 빈번한 갯바위, 해수욕장, 해양의 경우 주간 사고발생 빈도가 높고, 음주, 방향상실, 자살로 인한 사고가 주로 발생하는 항포구, 갯벌, 교량의 경우에는 야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중에 비해 이용객이 증가하는 주말의 사고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경향은 연안활동장소의 위험도 평가 시 이용자의 시간적 활동 특성을 반드시 반영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안사고 사례를 기반으로 시간에 따른 연안활동 장소에 대한 사고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등급화하여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평가 기준을 활용하여 시간에 따라 연안활동장소를 효율적으로 관리·감독함으로써 연안사고를 줄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동의 종단적 학대 경험과 청소년기 자살생각 간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rajectories of Child Maltreatment and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 김세원;김덕성
    • 아동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81-91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d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Several studies suggest that child maltreatment is associated with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However, these studies have not focused on the duration of child maltreatment. Methods: Participants were 420 adolescents (52.6% male; 47.4% female) involved in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were collected via youth self-report in 2006, 2009, and 2012. A self-report assessment of children and youths' experiences of physical, emotional, or neglect had been surveyed longitudinally. Questionnaires on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were answered in 2012. A growth mixture model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Mplus 5.21. Resul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93.5% of the children had experienced no maltreatment; 6.5% had experienced increasing maltreatment longitudinally. The trajectory of increasing maltreatm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children suffering from chronic maltreatment are subject to a high risk of suicide and therefore require continuous supervision and management.

미국 대학생의 건강수준, 건강행동 및 건강관련요인에 관한 변화 추이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nge of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and Influencing Factors Among American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 김영복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53-163
    • /
    • 2010
  • Objectives: Analysis and understanding on the health trend of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are paramount to creating healthy campus communities. We evaluated the change of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and influencing factors among them in the last ten years. Methods: Using the results of the ACHA-National College Health Assessment from 2000 to 2009, we reanalyzed the trend of health condition, health behavior, and health risk factors in linear regression model. Results: In general health of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major health problem were allergy problems, back pain, and sinus infection. Academic impacts were stress, sleep difficulties, cold/flu, concern for troubled friend or family member, relationship difficulty, and internet use or computer games. Although regular exercise was decreasing among them, it were more likely to have never smoking, no sexual partner, and eating of fruits/vegetables as time passed (p<0.05, p<0.01). Obesity and sleeping difficulty were increasing, while it were less likely to have feeling very sad, feeling hopelessness, and considering attempting suicide (p<0.05, p<0.01). Conclusion: These data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health needs and capacities among young adults. For Korean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data-collection survey to set the college health and healthy campus.

119구급대원의 외상사건 경험, 외상후 스트레스와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s of Traumatic Events,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Need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of 119 Paramedics)

  • 강미숙;김영임;근효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24-536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s of traumatic events, post-traumatic stress (PTS), and the need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of 119 paramedics. Methods: Experiences of traumatic events, PTS, and need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were measur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193 paramedics in Jeju Islan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x^2$ test. Results: The most experienced event out of the 16 different traumatic events was 'retrieve a suicide's body.' A high-risk classification of PTS was observed in 36.2% of the subjects. The rates of experienc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actual needs for all 26 health promotion programs. The programs reported as highly needed by respondents were stress management (75.5%) followed by exercise (74.6%) and PTS management (72.5%). Subjects with longer career periods, a fire sergeant, perceived obesity, numerous experiences of traumatic events, and in the PTS risk group had a higher need for a stress management program.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119 paramedics experienced PTS. They also show that onsite strategic management is strongly required. In addition, implementa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based on the needs of 119 paramedics is highly needed.

6.25 전쟁 당시 외상을 경험한 노인의 후유증상에 관한 예비연구 (Impacts of Trauma during the Korean War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Elderly ; Pilot Study)

  • 김대현;류성곤;김호찬;연병길;한창환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0-124
    • /
    • 2009
  • Objectives : This pilot study examined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equela of Korean War victims. Methods : Of 255 elderly who completed the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MINI), we selected 16 subjects who suffered severe traumatic experiences during the Korean War and met more than 2 specified symptoms of PTSD in DSM-IV-TR and 16 control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dical history including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hypercholesterolemia and brain infarction, Geriatric Depression Scal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uicide scale in MINI, and a scale for the assessment of somatic symptoms were compared between subjects with trauma experience and controls. Results : Subjects with trauma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have brain infarction and diabetes mellitus compared to control group.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risk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ith trauma experience than controls. Subjects with trauma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rait Anxiety scale and more complained of pain than controls.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traumatic experience probably induce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 even 60 years lat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results of this pilot study.

  • PDF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우울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a moderating effect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mmunity elderly)

  • 박봉길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969-989
    • /
    • 2008
  •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감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밝히고,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이들 관계를 조절하여주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는 서울, 부산, 대구의 노인복지회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273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조사도구로는 건강문제, 생활사건, 자존감, 가족의사소통 척도 등이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C+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 신뢰도 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일반선형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울감과 심리사회적 특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사회적 특성의 하위요소 가운데 생활사건, 자존감, 가족의사소통과 노인의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노인이 경험한 심리사회적 특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의 하위요인들이 노인의 우울감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개입방법으로써 자긍심을 강화하고, 스트레스적인 생활사건과 가족불화에 대처할 수 있는 예방 전략으로 노인자살에 대한 위험요인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