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gested Topic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35초

경제자유화가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conomic Liberalization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 김남수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4호
    • /
    • pp.289-297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liberalization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attract foreign direct investment from developing countrie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analysed with observations of 19 from 2000 to 2018 using a fixed effect model, a random effect model, and a two-way fixed effect model. Findings - First, it was found that economic liberal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ttract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early stages of economic liberaliz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economic liberalization in the deepening stage of economic liberaliz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attract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general,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conomic liberaliz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is not accompanied by innovative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higher the level of economic liberalization is likely to decrease the inducemen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due to negative factors such as an increase in labor costs. Overall, this study approved that Economic liberalization have a non-linear (inverted U-shape) relationship with the inflow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expand the variables for the determinants of FDI by analyzing economic factors which is a determinent of FDI. Second, economic liberalization generally has a positive effect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but it proved that it does not have only positive effects as a factor of attract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developing countries. The advantage of low wages in ASEAN countries acts as a factor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but as the degree of economic liberalization increases, the environment such as government siz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international trade freedom, fiscal soundness, and regulations change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uggested that if the industrial level is less, it may lead to a loss of comparative advantage and a decrease in investment.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공영방송 지배구조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Public Broadcasting Governance: Focusing on Korean Studies since 2000)

  • 홍원식;김창숙
    • 정보화정책
    • /
    • 제29권4호
    • /
    • pp.3-25
    • /
    • 2022
  • 공영방송의 지배구조는 국내 미디어 정책과 관련한 가장 뜨거운 논쟁거리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으로 전환되는 시점인 지난 2000년 통합방송법 이후 국내 공영방송 지배구조에 대한 연구 문헌을 종합하여 그동안 국내에서 진행되어온 논의의 흐름을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영방송의 지배구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나타난 것은 2008년 이후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로 이어지는 보수정부의 시기 이후의 현상이며, 이는 '공영방송의 위기론'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후 연구에서, 공영방송 지배구조에 대한 논의는 공영방송의 공적가치와 제도 개선의 방향성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속에서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성과 이사회 구성, 그리고 사장 선출 제도에 대한 논의가 가장 많이 다뤄졌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공영방송 지배구조에 대한 논의는 기존 정치적 독립성 논의를 확장하여 시민의 참여를 전제하는 공영방송의 가치와 책무, 그리고 제도를 포괄하는 논의가 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Data Security on Cloud by Cryptographic Method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Gadde, Swetha;Amutharaj, J.;Usha, S.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342-347
    • /
    • 2022
  • On Cloud, the important data of the user that is protected on remote servers can be accessed via internet. Due to rapid shift in technology nowadays, there is a swift increase in the confidential and pivotal data. This comes up with the requirement of data security of the user's data. Data is of different type and each need discrete degree of conservation. The idea of data security data science permits building the computing procedure more applicable and bright as compared to conventional ones in the estate of data security. Our focus with this paper is to enhance the safety of data on the cloud and also to obliterat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data security. In our suggested plan, some basic solutions of security like cryptographic techniques and authentication are allotted in cloud computing world. This paper put your heads together about how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s used in data security in both offensive and defensive ventures, including analysis on cyber-attacks focused at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 is based on the Supervised, UnSupervised, Semi-Supervised and Reinforcement Learning. Although numerous research has been done on this topic but in reference with the future scope a lot more investigation is required to be carried out in this field to determine how the data can be secured more firmly on cloud in respect with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nd cryptographic methods.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공공기관 서비스 로봇에 대한 사용자 리뷰 분석 : 안내로봇 사례를 중심으로 (Text Mining Analysis of Customer Reviews on Public Service Robots: With a focus on the Guide Robot Cases)

  • 신효림;최준호;오창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787-797
    • /
    • 2023
  • 공공기관에서 서비스 로봇, 특히 안내로봇의 사용이 보편화 되며 다양한 곳에서 사람들을 만나고 있다. 그러나 4년이 넘는 시간 동안 사용자가 안내로봇을 만나왔지만, 아직까지 사용자와 안내로봇의 상호작용에 대한 탐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안내로봇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탐구하고자,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사용자를 만난 안내로봇인 '큐아이'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서비스를 시작한 시점부터 작성된 모든 리뷰를 수집하였다, TF-IDF로 주요 키워드를 확인하고 토픽 모델링을 통해 사용자 경험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감성 분석을 통해 사용자 경험 저해 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안내로봇의 기능, 외형, 상호작용 방식, 그리고 안내로봇의 문화해설사 역할과 도우미 역할이 핵심 사용자 경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리뷰를 통해 확인한 저해 요인은 이를 개선할 수 있도록 인터랙션 설계와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디자인, 문화해설사로서의 콘텐츠 개발 등 향후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안내로봇의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텍스트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신규간호사가 경험하는 현실충격 관련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Analysis of the Knowledge Structure of Research related to Reality Shock Experienced by New Graduate Nurses using Text Network Analysis)

  • 윤희장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63-46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가 경험하는 현실충격 관련 연구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신규간호사의 성공적인 임상적응과 이직률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2002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115편의 논문에서 신규간호사가 경험한 현실충격에 관한 토픽을 추출하였다. 6개의 데이터베이스(국내: DBpia, KISS, RISS / 해외: Web of science, Springer, Scopus)에서 문헌을 검색하였다. 키워드는 문헌의 초록에서 추출되었고 의미론적 형태소를 사용하여 정리되었다. 네트워크분석 및 토픽모델링은 NetMiner 4.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핵심 키워드는 '신규간호사', '현실충격', '전환', '학생간호사', '경험', '실습', '근무환경', '역할', '돌봄', '교육' 등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에 관한 연구에서 잠재적 디리클레 할당(LDA) 기법으로 '이직', '근무환경', '전환 경험'의 세 가지 주요 주제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규호사가 경험하는 현실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성공적으로 임상적응을 도울 수 있는 중재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문화별 산후조리의 전통과 실재에 대한 고찰 (The Review of Postpartum Care Beliefs and Practices According to the Cultures)

  • 배경미;조혜숙;이인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31-242
    • /
    • 2009
  • Purpose: For the importance of the postpartum period not only for the women delivered of child but also the newborn babies, the multitude of health professionals have emphasized increasingly special care during this period. However, there has been no decisional consensus both in the concepts and the ways of postpartum cares between health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ethnical and racial diversities concerning postpartum period focusing on their beliefs and practices. Methods: Literature review was used as main research method for topic of the study. To carry out the method, papers related with postnatal care were searched at the Pubmed,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ults: 1. Differences between Western and non-Western cultures in terms of postnatal care were found out in the study. 2. The study has proved that non-Western cultures have shared the similar beliefs and practices in postnatal care, although some ethnical and racial diversities specially in duration for care and diets for mother etc. 3. It was found that most prominent similarities among non-Western cultures in postnatal care have centered mainly on the issues such as 'Hot and Cold balance', postnatal confinement etc.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should be suggested that the health professionals do their efforts in understanding deeply the intrinsic diversities on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about postnatal care and providing the adequate services and cares reflecting them properly.

국내 거주 외국인 유학생의 정보검색행위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Information Search Behavior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 윤정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59-277
    • /
    • 2022
  •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웹 검색엔진을 사용한 정보검색행위를 분석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15명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3가지 검색 태스크에 포함된 6개의 검색질문에 대한 답을 찾도록 하였으며, 각 태스크 별로 사전 설문지 작성, 검색 수행, 사후 설문지 작성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검색 태스크의 특성에 따라 검색성과와 검색행동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한국어의 유창성이 높은 참가자들의 검색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검색주제에 관한 사전지식이 검색성과에 항상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메뉴와 링크를 통하여 웹사이트를 탐색해서 답을 찾는 태스크의 경우, 정답이 포함된 웹페이지 앞에서도 정답을 간과하는 경우가 발견되었다. 또한 오답을 찾고 그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국내의 외국인 거주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비원어민들이 탐색하기에 용이한 웹사이트를 디자인하고 양방향 소통 수단이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되었다.

교육적 맥락을 고려한 학교도서관 목록 정보의 확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xpansion of School Library Catalog Considering Educational Context)

  • 이병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85-100
    • /
    • 2009
  • 본 연구는 교사와 학생들이 가르치고 배우는 상황 즉, 교육적 맥락을 고려하여 학교도서관의 목록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목록의 유용성을 높이고, 교수-학습 과정과 목록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다는 전제하에 교육적 맥락에 관한 정보를 목록 데이터 요소에 추가로 목록 정보를 확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학교도서관의 정보자료와 교육 즉, 교수-학습 과정에 관련된 맥락 요인을 분석하고, 실제로 교육적 맥락 요소를 제공하고 있는 정보 시스템의 사례를 분석하여 교육적 맥락을 고려한 목록 정보의 확장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목록(DLS)에 추가로 기술해야 할 교육적 맥락 요소를 이용자(학생, 교사), 수업상황(교수방법, 수업목표, 교육과정, 평가방법, 학습집단 편성, 준비물, 수업환경), 자료 내용 유형(성격, 학문분야, 형태), 독서 상황(상황별 독서, 문학 주제), 관련 자료(교사 표현물, 학생 표현물) 등 5개 요소로 추출하였다.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University Libraries)

  • 장덕현;최고운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60
    • /
    • 2008
  • 이 연구는 전통적인 도서관 이용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터넷을 통해서 정보를 습득하는 것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보활용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도서관 이용교육의 모형을 제안한 연구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도서관 이용교육은 서지교육의 개념에서 정보활용교육의 개념으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으며,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을 서둘러야 할 단계이다. 그러나 정보활용교육의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지침과 모형을 제시하는 노력은 아직 미흡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도서관 주체의 정보활용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ACRL, LIRT, SCONUL, ANZIIL의 홈페이지에 추천된 온라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정보활용능력의 전반적인 단계와 각 도서관의 학습과정을 단계별로 분석하였으며,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실시할 수 있는 교육모형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원산지관리시스템(FTA-PASS)과 전사자원관리시스템(ERP)의 연동 수준이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Determinants and Effects of FTA-PASS and ERP System Compatibility)

  • 황수한;조혁수
    • 무역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6
    • /
    • 2020
  • Korea is one of active countries in terms of FTA(Free Trade Agreement) around the globe. Local market is not big enough for Korean companies. This is why Korea is actively participating in FTA with various countries. Individual companies should conform to regulation, policy and system relevant to the agreement. Otherwise, it is not easy for companies to enjoy benefits of FTA. The Korean government is using various FTA programs to support domestic companies, in particular SMEs(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TA-PASS is a representative program. FTA-PASS is an official program of Korea Customs Service. Korean companies can use the program as free. However, some companies may have difficulties regarding the use of FTA-PASS. The program may cause of compatibility problem related their own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s.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determinants of FTA-PASS and ERP system compatibility.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effects of the system compatibility on export performance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Koreas SMEs. In specific, the primary data was based on surveys distributed to 303 SMEs. Based on empirical findings, we could get important determinants to improve compatibility between FTA-PASS and ERP systems. For instance, the government support, product standardization, HS Code clearness and market stability could be considered important determinants. Also, according to empirical finding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ystem compatibility an export performance was supported. Analyzing comprehensive determinants of system compatibility can be suggested as an important topic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