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ss-coping

검색결과 954건 처리시간 0.026초

전실 스트레스[relocation stress]의 개념분석 - 중환자실에서 일반 병실로 전실하는 환자를 중심으로 - (Concept Analysis of Relocation Stress - Focusing on Patients Transferred from Intensive Care Unit to General Ward -)

  • 손연정;홍성경;전은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53-362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nd clarify the meaning of the concept for relocation stress -focusing on patients transferred from an intensive care unit to a general ward. Methods: This study used Walker and Avant's process of concept analysis. Results: Relocation stress can be defined by these attributes as follows: 1) involuntary decision about relocation, 2) moving from a familiar and safe environment to an unfamiliar one, 3) broken relationship of safety and familiarity, 4) physiological and psychosocial change after relocation. The antecedents of relocation stress consisted of these facts: 1) preparation degrees of transfer from the intensive care unit to a general ward, 2) pertinence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nsfer process, 3) change of major caregivers, 4) change in numbers of monitoring devices, 5) change in the level of self-care. There are consequences occurring as a result of relocation stress: 1) decrease in patients' quality of life, 2) decrease in coping capacity, 3) loss of control. Conclusion: Relocation stress is a core concept in intensive nursing care. Using this concept will contribute to continuity of intensive nursing care.

개원의 역할스트레스와 우울 간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Job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Local Clinic Medical Doctor : Gender's Moderated Mediation Effect)

  • 송영아;김지현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5-66
    • /
    • 2019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gender me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medical doctors in Local clinics in South Korea. Methods: Questionnaires that assess role stress, job burnout, and depression were administered to. 265 medical doctors who worke in local clinics in Seoul, Busan, Daejeon, and Gyeonggi provinc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ROCESS macro in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SPSS). Results: Job burnou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depression. Further,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job burnout. Finally, gender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depression.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e emergent findings, effective coping strategies that can alleviate role stress are articulated. However,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 selection of a suitable intervention must be based on the gender of the medical doctor.

COVID-19 대응 군 간부의 소진, 이차적 외상성 스트레스 및 공감만족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f Military Officers Responding to COVID-19)

  • 백서영;황신우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17-227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dividual and occupational factors influencing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military officers who experienced supporting civilians in responding to COVID-19.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on 140 special forces' military officers who experienced responding to disasters within 3 month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Results: The mean scores for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satisfaction were 21.67±6.03, 20.54±8.21, and 39.72±8.12 out of 50, respectively.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d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were 'higher passive stress copying styles' (B=0.17, p<.001; B=0.31, p=<.001, respectively) and 'lower social support (B=-0.11, p=.031; B=-0.10, p=.001, respectively). The compassion satisfaction was mo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self-efficacy' (B=0.37, p=<.001), 'higher active stress copying styles' (B=0.19, p=.006), and 'education responding to disasters' (B=2.04, p=.029).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trategies to increase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active stress coping styles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military officers responding to disasters to minimize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to improve compassion satisfaction.

Reliability of a Newly Developed Tool to Assess and Classify Work-related Stress (TAWS-16) for Indian Workforce

  • Gautham Melur Sukumar;Runalika Roy;Mariamma Philip;Gururaj Gopalkrishna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5호
    • /
    • pp.407-412
    • /
    • 2023
  • Objectives: Work stress is associated with non-communicable diseases, increased healthcare costs, and decreased work productivity among employees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sector. There is a need for regular work-stress screening among employees using valid and reliable tools. The Tool to Assess and Classify Work Stress (TAWS-16) was developed to overcome limitations in existing stress assessment tools in India.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TAWS-16 in a sample of managerial-supervisory employees. Methods: This observational reliability study included data from 62 employees. Test-retest and inter-method reliability were investigated using a TAWS-16 web application and interview by telephone, respectively. Kappa values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Internal consistency was assessed through Cronbach's alpha. Results: For both test-retest and inter-method reliability, the agreement for both work-related factors and symptoms suggestive of work stress exceeded 80%, and all kappa values were 0.40 or higher. Cronbach's alpha for test-retest and inter-method reliability was 0.983 and 0.941, respectively. Conclusions: TAWS-16 demonstrated acceptable reliability. It measured stressors, coping abilities, and psychosomatic symptoms associated with work stress. We recommend using TAWS-16 to holistically identify work stress among employees during periodical health check-ups in India.

청소년 임신과 스트레스 (Adolescents Pregnancy and Stress)

  • 김만지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615-628
    • /
    • 2000
  • 스트레스란, 개인과 환경간의 특별한 관계가 개인의 안녕을 위협하고 개인이 가진 자원을 초과하는 것을 말한다. 븐 연구는 청소년 임신과 스트레스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청소년 임신과스트레스와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임신력 있는 청소년들을 위한 스트레스 관련 임상사회 사업 서비스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임신으로 인한 부모됨의 변화가 청소년기 자체의 인생 주기 상에서의 스트레스와 중복될 때, 누적된 스트레스는 보다 커진다. 변화의 중첩은 개인 역할의 애매함을 초래하여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발달 과업의 우선순위에 혼란을 가져온다. 청소년기의 임신은 성인기로 이동하는 청소년 당사자, 그 자녀, 사회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은 단기간에 끝나지 않으므로 임신한 청소년들의 대처 기술과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의 노력이 필요하다. 임신한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개인 상담 접근만으로는 불충분하며 효과적인 예방 프로그램은 보다 나은 대안이자 동시에 목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개입은 임신한 청소년들을 출산 이후에 노출되기 쉬운 디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해주고 성인으로 성장하게 될 청소년들의 건강한 정신건강 도모이 기여하는 것으로 나파났다. 이는 결국, 임신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인지를 발달시킬 수 있는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암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갖는 결론과 함께 앞으로 실천적 개입방안에 대한 더욱 정교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유방암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in Survivors of Breast Cancer)

  • 박진희;정용식;정영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54-462
    • /
    • 2016
  • Purpose: Posttraumatic growth (PTG) is defined as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experienced as a result of a struggle with highly challenging lif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PTG and its correlates in Korea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ethods: A sample of 120 participants was recruited from outpatients, who had successfully completed primary treatment of breast cancer at a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December, 2014 using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Illness Intrusiveness Rating Scale, Cancer Coping Questionnaire, Revised Life Orientation Test and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Results: Total score for the PTG was $79.18{\pm}17.54$ in patients surviving breast cancer. Bivariate analyses indicated that PT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aving a religion, perceived social support, greater optimism, cancer coping, and illness intrusiveness.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ancer coping (${\beta}=.29$, p=.001), optimism (${\beta}=0.28$, p=.001) and illness intrusiveness (${\beta}=0.17$, p=.037)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tients' PTG. Conclusion: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 variables of cancer coping, optimism and illness intrusiveness significantly explain PTG and these psychological variables can be used to provide improvement in PTG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외식 종사원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직무 만족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효과 - 사회적 지원과 대처 전략의 효과 검증 - (The Effects of Foodservice Employee's Job Stressor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Focused on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

  • 김영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06-219
    • /
    • 2010
  • 본 연구는 외식 종사원이 지각하는 직무 스트레스의 유형을 확인하고 직무 만족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또한,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직무 만족과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사회적 지원과 대처 전략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 지역 소재 호텔 및 뷔페 레스토랑에서 근무하고 있는 외식 종사원을 대상으로 조사가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외식 종사원이 지각하는 직무 스트레스 요인은 직무 환경, 대인 관계, 업무 역할, 업무 특성, 경력 개발, 개인 특성 요인 6가지 요인을 확인하였다. 직무 스트레스 요인 중 대인 관계와 경력 개발 요인이 직무만족과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원과 대처 전략이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과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낮은 사회적 지원과 대처 전략을 나타낸 집단과 높게 나타난 집단의 높은 직무 만족과 낮은 이직 의도를 확인하였다.

  • PDF

워킹맘들이 경험하고 있는 심리적 어려움 및 대처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Coping Strategies Experienced by Working Mothers)

  • 이경진;유금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87-604
    • /
    • 2019
  • 본 연구는 워킹맘들이 직장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면서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과 대처전략 및 그들에게 필요한 도움이 무엇인지에 대해 탐색하고자 워킹맘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직장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면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직장과 가정생활간의 균형을 어떻게 맞추고 있는지와 워킹맘들에게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그 결과, 11개의 영역에서 37개 범주, 86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11개의 영역은 스트레스 촉발요인, 심리적 경험, 직장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 가정이 직장에 미치는 영향, 워킹맘으로서 경험하는 긍정적인 점, 워킹맘으로서의 전략, 대처전략 수립, 대처전략 실행, 대처 전략 결과, 외부적인 도움,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으로 나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개정판 다차원적 대처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 대학생을 중심으로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Revised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in University Students)

  • 김희경;이은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323-332
    • /
    • 2019
  • 본 연구는 전겸구 등(2000)이 개발한 개정판 다차원적 대처척도(Revised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MCS-R)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된 방법론적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금연집단상담에 참여한 대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 우울과 극복력 도구를 이용하여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MCS-R의 요인구조를 주성분 분석방법, 직교 회전으로 분석한 결과, 동일하게 13개의 요인이 확인되었으나, 정서적 진정, 긍정적 해석, 적극적 망각 3개의 요인에서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13개의 요인 모두 요인적재량이 0.40이상으로 나타났고, 13의 요인에 의해 설명된 총 분산은 69.7%로 높았고, 각 하위영역의 내적 일관성(0.66-0.94)과 검사-재검사 신뢰도(0.44-0.85)는 적절하였다. 개정판 다차원적 대처척도는 개인의 대처방식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도구이며, 향후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효과적 개입을 위한 계획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회변동의 지각과 주관적 안녕감: 대처자원의 효과에 대한 국가 간 차이의 분석 (Perceptions of Social Changes and Subjective Well-Being: A Cross-National Analysis of the Coping Resource Effectiveness)

  • 김정식;김완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
    • /
    • pp.19-45
    • /
    • 2008
  • 본 연구는 급격한 사회변동의 대한 주관적 지각이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두 가지 대처자원인 개인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이 문화적으로 다른 효과를 갖는다는 가설을 한국과 미국표본을 비교함으로써 검증하였다. 한국과 미국에서 수행된 설문자료를 다표본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첫째, 사회변동 속도의 지각이 사회변동의 평가라는 매개과정을 통해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고, 둘째 개인적 자원은 미국표본에서 그리고 사회적 자원은 한국표본에서 스트레스의 대처에 더 큰 효과를 가짐을 각각 발견하였다. 사회변동의 주관적 지각이라는 새로운 사회적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