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ualitative Research on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Coping Strategies Experienced by Working Mothers

워킹맘들이 경험하고 있는 심리적 어려움 및 대처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 이경진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 유금란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Received : 2019.04.04
  • Accepted : 2019.05.02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coping strategies and help needed for working mothers in their work and home life. I asked about the difficulties of working together with family life, how to balance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life and what kind of help is needed for working mothers. As a result, 37 categories and 86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11 domains. The 11 areas are: stress factors, psychological experiences, effects of work on family, effects of family on work, positive experiences as working mam, strategy as working mam, establishment of coping strategy, execution of coping strategy, external assistance and what you can do.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워킹맘들이 직장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면서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과 대처전략 및 그들에게 필요한 도움이 무엇인지에 대해 탐색하고자 워킹맘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직장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면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직장과 가정생활간의 균형을 어떻게 맞추고 있는지와 워킹맘들에게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그 결과, 11개의 영역에서 37개 범주, 86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11개의 영역은 스트레스 촉발요인, 심리적 경험, 직장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 가정이 직장에 미치는 영향, 워킹맘으로서 경험하는 긍정적인 점, 워킹맘으로서의 전략, 대처전략 수립, 대처전략 실행, 대처 전략 결과, 외부적인 도움,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으로 나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표 1. 연구 참여자 정보

CCTHCV_2019_v19n6_587_t0001.png 이미지

표 2. 직장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면서 겪는 어려움

CCTHCV_2019_v19n6_587_t0002.png 이미지

표 3. 직장과 가정생활에서의 균형맞추기

CCTHCV_2019_v19n6_587_t0003.png 이미지

표 4. 대처전략의 한계점

CCTHCV_2019_v19n6_587_t0004.png 이미지

표 5. 워킹맘에게 필요한 도움

CCTHCV_2019_v19n6_587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워킹맘 고통지수와 일.가정 양립정책," 젠더리뷰, 27호, pp.22-26, 2012.
  2. 통계청, 사회조사, 2016.
  3. 이자명, 워킹맘의 일-가족 다중역할갈등 상황에서 심리적 거리 조절에 따른 대안적 사고 차이,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4. 박종환, 지명자, "기혼여성의 상담대학원 수학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11호, pp.379-392,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1.379
  5. 임지숙, 임영선, 유성경, "출산 후 워킹맘의 가능한 자기,"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2권, 제2호, pp.211-245, 2017. https://doi.org/10.18205/KPA.2017.22.2.006
  6.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4권, 제2호, pp.365-395, 2012.
  7. 이소진, 김은석, 유성경, "워킹맘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2권, 제4호, pp.767-782, 2017. https://doi.org/10.18205/KPA.2017.22.4.014
  8. 한경훈, 박소정, 김세현, "기혼유자녀 직장여성의 수퍼우먼 신드롬 유형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양상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2호, pp25-43, 2015.
  9. S. C. Clark, "Work/family border theory: A new theory of work/family balance," Human Relations, Vol.53, pp.747-770, 2000. https://doi.org/10.1177/0018726700536001
  10. 유성경, 임지숙, 손은영, "한국 맞벌이 여성들의 일-가정 양립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제17권, 제6호, pp475-498, 2016.
  11. 양소남, "일하는 어머니의 일-가정생활 양립을 위한 전략,"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03-126, 2011.
  12. 원숙연, 박지원, "사회적 지원이 일-가정 갈등 및 일-가정 촉진에 미치는 영향: 남녀간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제26권, 제2호, pp.3-32, 2009. https://doi.org/10.18341/WSR.2009.26.2.3
  13. 장수정, 송다영, 김은지, "일가족 양립 정도에 대한인식,"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2호, 2009. https://doi.org/10.20970/KASW.2009.61.2.015
  14. 김지현, 아동상담에 참여한 워킹맘의 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5. 장미경, 조혜경, 이숙경, "맞벌이 여성의 주부 역할에 관한 체험 연구," 질적연구, 제8권, 제2호, pp.39-54, 2007.
  16. J. L. Borelli, S. K. Nelson, L. M. River, S. A. Birken, and C. Moss-Racusin, "Gender Differences in Work-Family Guilt in Parents of Young Children," Sex Roles, Vol.76, pp.356- 368, 2017. https://doi.org/10.1007/s11199-016-0579-0
  17. T. D. Allen and K. M. Kiburz, "Trait mindfulness and work-.family balance among working par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vitality and sleep qual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80, pp.372-379, 2012. https://doi.org/10.1016/j.jvb.2011.09.002
  18. S. A. Haddock, T. S. Zimmerman, S. J. Ziemba, and L. R. Current, "Ten adaptive strategies for family and work balance : advice from successful familie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Vol.27, No.4, pp.445-458, 2001. https://doi.org/10.1111/j.1752-0606.2001.tb00339.x
  19. J. Y. Richard and H. S. Lee, "A Qualitative Study of Racial Minority Single Mothers' Work Experienc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66, No.2, pp.143-157, 2019. https://doi.org/10.1037/cou0000315
  20. 신종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학사경고자 경험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제3호, pp.127-134, 2018.
  21. 주경희, 민소영, "은둔형 독거노인의 발굴 경험 - 포커스그룹인터뷰(FGI) 분석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권, p.315, 2017.
  22. 이병숙, 어용숙, 이미애, "임상간호사의 리더십 경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 적용," 대한간호과학회지, 제45권, 제5호, pp.671-683, 2015.
  23. 주영아, 김현주, 윤경주, "중도입국 청소년의 또래관계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재외한인연구, 제32권, pp.259-298, 2014.
  24. 고기숙, 이지숙, 유동환, 윤용희, "청소년의 분노 표현 및 대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청소년과 청소년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445-462,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445
  25. D. L. Morgan, 질적 연구로서의 포커스 그룹, 대한 질적연구간호학회 옮김, 군자출판사, 2007.
  26. 김은석, 유성경, 임인혜, 박찬정, 임지숙, "일-가정 양립 촉진적 자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9권, 제2호, pp.505-526, 2017.
  27. 유성경, 임영선, 김태원, "마음챙김이 워킹맘의 인지적, 심리적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8권, 제1호, pp.389-411, 2017. https://doi.org/10.15703/KJC.18.1.201702.389
  28. 이소진, 워킹맘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9. 이자명, "심리적 거리 조절에 따른 여성의 일-가족 다중역할갈등 상황에 대한 대안 생성 차이: 해석수준 이론에 기반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0권, 제4호, pp.659-674, 2015.
  30. M. K. Kaitlin, D. A. Tammy, and A. F. Kimberly, "Work-family conflict and mindfulness: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a brief training interven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8, pp.1016-1037, 2017. https://doi.org/10.1002/job.2181
  31. R. A. Krueger and M. A. Casey, Focus Group: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rch(4th), Thousand Oaks, CA: Sage, 2009.
  32. 이규미, "내담자의 변화동기관련 상담경험: 대학상담자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 인간이해, 제31권, 제2호, pp.39-61, 2010.
  33. 김성국, 박수연, 이현실,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3호, pp.267-275,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3.267
  34. K. M. O'Brien, H. V. Ganginis Del Pino, S. K. Yoo, R. G. Cinamon, and Y. J. Han, "Work,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Employed mothers in Israel,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제61 권, 제3호, pp.461-472, 2014. https://doi.org/10.1037/a0036339
  35. 방희정, "한국사회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특성에 대한 발달심리학적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6권, 제3호, pp.41-65, 2000.
  36. 강상, "영유기 자녀를 둔 워킹맘(Working mom)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효과," 한국 유아교육.교육복지연구, 제21권, 제4호, pp.309-330, 2017.
  37. 김수정, 맞벌이 부부의 배우자 지지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일-가족 향상의 매개효과 :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8. 유성경, 한영주, 조윤진, "기혼직장 여성의 개인 특성 및 사회적 지지가 일-가족 갈등 및 향상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2권, 제6호, pp.1955-1975, 2011. https://doi.org/10.15703/KJC.12.6.201112.1955
  39. 유성경, 임영선, 임인혜, 김태원, 정혜림, 황인혜, "워킹맘의 일 가정 양립 촉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3권, 제3호, pp.377-407,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