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m density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28초

돌나물 수경재배에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품질 특성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Quality in Hydroponics of Sedum sarmentosum)

  • 이승엽;김효진;배종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580-584
    • /
    • 2010
  • 가을철(9-10월) 무가온 하우스에서 돌나물($Sedum$ $samentosum$)의 4지역 수집종을 재료로 순환식 NFT 수경재배 방식을 이용하여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재식거리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양 40일째에 초장은 15.0-18.9cm 범위였으며, 평균 초장은 $10{\times}10$>$2.5{\times}2.5$>$5{\times}5cm$ 순으로 길었다. 재식거리에 관계없이 '포항'과 '완도' 수집종이 '군산'과 '완주' 수집종에 비하여 빠른 생장을 보였으며, 마디수, 줄기 직경, 개체당 생체중 및 건물중은 밀식할수록 감소하였다. 반면 단위면적 당 생체수량은 밀식할수록 크게 증가하여$2.5{\times}2.5cm$에서 4지역 수집종 평균 $14.9kg{\cdot}m^{-2}$이었으며, 수집종간에는 '포항' 수집종이 $17.6kg{\cdot}m^{-2}$으로 가장 높았다. 초장생육에 근거한 1차 수확적기는 30-40일경이었으며, 밀식할수록 줄기 경도를 나타내는 압착강도가 낮았으며, 쓴맛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밀식에 따른 삽식노력이 과중한 점은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시호(柴胡)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lanting Density on Agronomic Traits and Yield in Bupleurum falcatum L.)

  • 김영국;방진기;류홍섭;이승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7-71
    • /
    • 1997
  • 시호(柴胡) 성력화(省力化) 재배기술(栽培技術) 개발(開發)의 일환(一環)으로 기계파종시(機械播種時) 재식밀도(栽植密度) 차이(差異)가 생육과6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檢討)코자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인력파종기(人力播種機)를 이용(利用)한 파종(播種) 소요시간(所票時間)은 손파종(播種)에 비하여 조간(條間) 20 및 30cm 처리(處理) 모두 96%의 파종노력을 절감(節減)할 수 있었다. 2. 재식밀도(栽植密度)에 따른 입모수(立毛數)는 조간(條間) 및 주간(株間)이 좁아질수록 많아졌으며, 경장(莖長) 및 마디 수는 차이가 없었다. 3. 주간거리(株間距離)가 좁아질수록 경태(莖太), 분기수(分枝數), 지상부종(地上部重), 규근경(圭根莖), 생체중(生體重) 및 건근중(乾根重)등이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4. 근수량(根收量)은 조간(條間) 20cm 처리(處理)가 30cm보다 증가(增加)되었으며, 주간거리(株間距離)에 따라서는 조간(條間) 20 및 30cm 처리(處理) 모두 밀식(密植)일수록 증가(增加)되어 적정(適定) 재식밀도(栽植密度)는 조간(條間) 20cm에 조파(條播) 또는 주간(株間) 5cm로 나타났다. 5. 재식밀도(栽植密度)를 다르게 할 경우 입모수(立毛數)와 근수량(根收量)과는 정상관(正相關)을 보여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 되었다.

  • PDF

직립형 팥의 넓은이랑 줄뿌림 재배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특성 (Effects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in Wide-Row Drill Seeding of Upright Type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Willd.) Ohwi Ohashi))

  • 정기열;최영대;전현정;이상훈;전승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4호
    • /
    • pp.378-383
    • /
    • 2018
  •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팥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수요와 재배면적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팥의 생산량 증대와 자급률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기계화 수확에 적합한 넓은이랑 줄뿌림 재배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 경장은 주간거리가 짧아질수록 '아라리' 품종은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홍언' 품종에서는 대체적으로 짧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경태와 분지수에서는 두 품종 모두 주간거리가 짧아질수록 가늘어지거나 적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2. 착협고는 재식거리가 짧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홍언'에서는 $30{\times}10cm$ 처리구에서 5.0 cm로, '아라리'에서는 $30{\times}10cm$$50{\times}10cm$ 처리구에서 8.8 cm로 가장 높았다. 3. 주당협수와 주당립수는는 두 품종 모두 재식거리가 길어질수록 많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백립중에서는 '홍언'에서는 재식밀도간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아라리' 에서는 재식밀도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수량성은 조간거리 40cm${\times}$주간거리 15 cm 처리구에서 두 품종 모두 (285, $374kg{\cdot}10a^{-1}$) 가장 높았다.

Effects of Cultivation Methods on Yield and Essential Oils of Chrysanthemum indicum L. (Gamgug)

  • Lee, Chang-Hoon;Lee, Kyung-Do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6-361
    • /
    • 2008
  • Chrysanthemum indicum L. (Gamgug) has been examined to study their flowering habits, yields and bioactive compounds under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and mowing dates. The planting density experiment revealed a significantly increasing stem diameter, number of flowers and branches with decreasing plant density in the $100\;cm{\times}30\;cm$ and $130\;cm{\times}30\;cm$ treatments as compared to $70\;cm{\times}30\;cm$ treatments, but not plant height, leaf and flower width. On the other hand, the mowing date experiment showed that growth characteristics of plants were similar to the control plants (not mowing) and June 20 treatment, but July 20 treatments had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control. The weights (g $plant^{-1}$) of dry flowers were affected by the planting density and mowing date. The flower yield of $586\;kg\;ha^{-1}$ obtained at $100\;cm{\times}30\;cm$ density was 11% and 22% higher than that of $120\;cm{\times}30\;cm$ and $70\;cm{\times}30\;cm$ treatments, respectively. The yield of dry flowers in the control and June 20 mowing date ranged $495-508\;kg\;ha^{-1}$, which is 40-42% higher than the yield in the July 20 treatments. The amount of essential oil (g $plant^{-1}$) in medically valuable flowerheads of C. indicum L.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mowing dates but not among planting densities. The study showed that planting density and the mowing date could increase yields of flowerheads. An optimum planting density of $100\;cm{\times}30\;cm$ and mowing date of on or before June 20 is recommended for C. indicum L.

감자 증산을 위한 기생선충 조사 (Survey on Potato Parasitic Nematodes)

  • 최영연;최동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6-152
    • /
    • 1982
  • Survey on potato parasitic nematodes has been undertaken in order to find distribution of the nemic fauna. 41 soil samples were taken from potato fields in Gyeongbug, Gyeongnam and Gangweon provinces. Twenty four species belonging to 16 different genera were identified. Potato cyst nematode, Globodera rostochiensis was not found in the areas. Potato-rot nematode, Ditylenchus destructor and stem nematode, Ditylenchus dipsaci were found from several potato fields and population density high and showed damage to the crops. Root-lesion nematode, Pratylenchus minyus, Pratylenchus penetrans, Pratytenchus thornei and Pratylenchus vulnus were found and their population of these four species were high depending on the fields.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hapla and Meloidogyne incognita were found. M. hapla was found only in Gangweon province and the population density was high. M. incognita was found at Milyang in Gyeongnam province. Spiral nematode, Heticotylenchus digonichus, Helicotylenchus dihystera, Helicotylenchus pseudorobustus, Rotylenchus orientalis and Rotylenchus pini were found. Aphelenchoides saprophilus, Criconemoides informis, Ditylenchus destructor, D. dipsaci, Helicotylenchus digonichus, H. dihystera, Hemicriconemoides intermedius, Meloidogyne hapla, Psilenchus hilarulus, Pratylenchus minyus, and Xiphinema americanum were first found from potato fields in Korea.

  • PDF

재배년수에 따른 삼백초(三白草)의 생육형질간 상관관계 (Correlation among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ultivated Years of Saururus chinensis BAILL.)

  • 남상영;김민자;윤태;김홍식;정승근;김인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8-251
    • /
    • 2006
  • 삼백초의 지상부 생육은 1년에서 2년차의 생육은 증가 폭이 컸으나, 2년에서 3년차의 생육은 감소하거나 부진하였다. 1년차에서는 소식일수록 생육이 양호하였으나, 3년생은 밀식할수록 차이가 없거나 감소하였다. 단위면적당 엽수와 경수는 재배년수가 경과하고 밀식할수록 많았다. 경엽(莖葉) 수량이 1년생은 밀식에서, 2년생은 $40{\times}10cm$에서, 3년생은 $40{\times}20cm$에서 가장 많았다. 근경중(根莖重)은 1년생에서 2년생은 중량의 증가폭이 켰으나, 2년생에서 3년생은 증가 폭이 둔화되었다. 재식거리간 근경중은 년차 간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으며, 경엽중에 비해 매우 높았다.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Vitex doniana Ethanol Extract in Poloxamer Induced Hyperlipidemia

  • Sheneni, Victor Duniya;Idakwoji, Precius Adejoh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4권4호
    • /
    • pp.1-9
    • /
    • 2018
  • To determine the effect of Vitex doniana (leaves stem and root bark) ethanolic extracts on lipid profiles of Poloxamer 407 (P407) induced hyperlipidemic and normal rats. Fifty four mixed sex rats weighing 100-200g were divided into nine groups comprising six animals per group. At the end of the 21 day,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nd blood sample were collected for determination of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C), Triacylglycerides (TAG),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The studies showed that all induced treated groups significantly (P<0.05) lower serum levels of TC, TAG, LDL-c and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HDL-c when compared to the P407 induced hyperlipidemic control. The normal treated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 in the serum levels of TC, TAG, LDL and HDL when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Calculation of atherogenic risk predictor indices of the induced treated groups showed that all the extracts significantly (P<0.05) lowered the LDL-c/HDL-c, log (TAG/HDL-c) and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HDL-c/TC ratio when compared to the P407 induced hyperlipidemic control group. The atherogenic risk predictor indices of normal treated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LDL-c/HDL-c, Log (TAG/HDL-c) and HDL-c/TC ratio when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study demonstrates the phytotherapeutic effect of Vitex doniana (leaves, stem and root bark) ethanolic extract in poloxamer 407 induced hyperlipidemia.

Micro-CT Analysis of Cranial Bone and Tooth Density in Mice Deficient for GDF11 or Myostatin

  • Suh, Joonho;Kim, Na-Kyung;Lee, Yun-Sil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5권4호
    • /
    • pp.83-88
    • /
    • 2020
  • Purpose: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11 (GDF11) and myostatin (MSTN) are closely-related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family members reported to play crucial roles in bone formation. We previously reported that, in contrast to MSTN, GDF11 promotes osteogenesis of vertebrae and limbs. GDF11 has been also reported as an important regulator in tooth development by inducing differentiation of pulp stem cells into odontoblasts for reparative dentin formatio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roles of GDF11 and MSTN in dental and cranial bone formation. Methods: Micro-computed tomography analysis was performed on cranial bones, including frontal, parietal, and interparietal bones, and lower incisors of wild-type, Gdf11 knockout (Gdf11-/-), and Mstn knockout (Mstn-/-) mice. Tissue volume, thickness, and mineral density were evaluated for both cranial bone and lower incisors. Lower incisor lengths were also measured. Because Gdf11-/- mice die shortly after birth, analysis was performed on newborn (P0) mice. Results: Compared to those of Mstn-/- mice, cranial bone volume, thickness, and mineral density levels were all significantly diminished in Gdf11-/- mice. Tissue mineral density of Gdf11-/- mice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wild-type mice. Likewise, lower incisor length, tissue volume, thickness, and mineral density levels were all significantly reduced in Gdf11-/- mice compared to Mstn-/- mice. Incisor length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Gdf11-/- mice compared to wild-type mice. Mstn-/- mice exhibited mildly increased levels of tissue volume, thickness, and density in cranial bone and lower incisor compared to wild-type mice although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GDF11, unlike MSTN, endogenously promotes cranial bone and tooth development.

재식밀도와 재배광도가 인삼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light and Planting Density on Yield and Quality of Panax ginseng C. A. Meyer)

  • 박훈;윤종혁;변정수;조병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86-391
    • /
    • 1987
  • 재배광도와 재식밀도(40, 56, 90주/칸)가 인삼의 수량과 홍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사양토산지삼포에서 수행하였다. 1. 20%의 광도는 수량이나 홍삼품질에서 5% 관행광도에 이하여 유의차를 보이지 아니하였다. 2. 고광도는 줄기를 줄이고 엽면적을 적게 했으며 비엽중을 증대시켰으나 경직경이 적은 것으로 보아 조기낙엽의 피해 가능성이 있다. 3. 고광도는 엽록소함량을 적게 하였으나 Chl a /b값은 차이가 없었고 잎의 수분함량에 차이가 없었다(6 월 15일). 4 최대수량과 최대천지삼율을 나타내는 재식밀도는 칸당 64본으로 일치하였다. 5. 외관천지삼율은 천지삼율과 유의(P=0.01) 정 상관을 보였다. 6. 내백은 56 주구에서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 백피는 90본에서만 유의성 있게 낮았다 7. 내공은 재식밀도와 유의성 있는 관계가 없어 밀식이 내공방지에 유효하다는 일반의 믿음과 일치하지 아니하였다.

  • PDF

양액재배에 있어 근류균의 접종 및 질소반응에 관한 연구 2보. 근류균의 접종 및 질소시용량이 대두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Response of Rhizobium Inoculation and Nitrogen Concentration to Soybean Growth in Nutri-culture 2. Effects of Rhizobium Inoculation and Nitrogen Concentration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Cultivars)

  • 이홍석;윤성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00-407
    • /
    • 1989
  • 양액재배에 있어 근류균의 접종, 양액중의 질소농도 및 재식밀도 등의 대두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추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에 미치는 처리효과는 생육중기 (V$_{7}$, Stage)에 있어서는 현저하지 않았으나 개화기미(R$_3$ Stage)에서는 그 효과가 증대되어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경장이 증대되었는데 그 정도는 황금콩과 장백콩에서 더욱 컸고 근류비착생계통에서는 현저히 떨어졌으며 질소시용 또는 195ppm까지의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대되었고 밀식에 의하여 증대되었다. 2. 건물중에 미치는 영향은 생육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건물중이 증대되었는데 그 효과는 무질소구에서 더욱 현저하였고 근류비착생 Clark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질소증시에 의하여 장백콩과 팔달콩에서는 건물중이 계속 증가되었으나 황금콩과 Clark에서는 질소증시효과가 미미하였다. 그리고 밀식에 의하여 건물중이 현저히 감소하여하였는데 특히 팔달콩에서 더욱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3. 근중에 대한 지상부중 비율은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무질소 또는 저질소 수준에서는 현저히 증가하였고 근류비착생 Clark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질소증시 및 밀식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나 팔달콩에서는 질소증시에 의하여 근중에 대한 지상부중 비율이 증가되었다. 4. 폿트당 수량이 미치는 근류균의 접종 효과는 품종간에 차이가 있어 황금콩과 팔달콩에서는 증수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장백콩과 Clark에서는 현저히 낮았으며 질소증시효과도 품종간에 차이가 있어 황금콩과 팔달콩에서는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수되었으나 장백콩과 Clark에서는 증수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밀식에 의한 증수효과도 황금콩에서는 현저하였으나 기타 품종에서는 뚜렷하지 않았다. 5. 개체당 수량도 황금콩과 팔달콩에서 근류균 접종에 의한 증수효과를 나타내었고 질소시용효과는 밀식조건에서는 질소증시에 의한 증수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소식조건에서는 근류균을 접종하였을 때는 증수되지 않았으나 근류균을 비접종하였을 때는 팔달콩과 Clark에서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수되었다. 그리고 밀식에 의하여 개체당 수량이 전반적으로 감소되었다. 6. 수량은 건물중, 식물체중의 전질소함량, 그리고 개화기미의 근류수와, 식물체중의 전질소함량은 경장, 건물중, 근류수 및 근류중들과, 그리고 줄기중의 allantoin 질소함량은 근류수 및 근류중들과 각각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