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Variables

검색결과 854건 처리시간 0.027초

격자자료 결측복원을 위한 DCT-PLS 기법의 활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DCT-PLS Method for Spatial Gap Filling of Gridded Data)

  • 윤유정;김서연;정예민;조수빈;이양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6_1호
    • /
    • pp.1407-1419
    • /
    • 2020
  • 지구환경 변화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는 장기 시계열의 격자자료가 필수적이며, 기후 재분석장과 위성자료는 대기 및 지표면 변수에 대하여 전 지구 규모에서 주기적이고 정량적인 정보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자료의 결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DCT-PLS (penalized least square regression based on discrete cosine transform) 기반의 결측복원 기법을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복수의 격자자료에 적용하고, 정량적인 검증을 통하여 그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원본 자료와의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결측이 없는 LDAPS (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모델로부터 상대습도, 풍속 일자료를 추출하고,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의 월간 합성 LST (land surface temperature),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영상을 사용하여, 임의로 생성된 결측 블록이 원본에 매우 가깝게 복원됨을 확인하였고, 4가지 변수 모두에서 상관계수 0.95 이상의 일치도를 나타내었다. DCT-PLS 기반 결측복원 기법은 별도의 보조자료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필요시 시간 및 공간 정보를 모두 활용할 수 있으며, 처리속도가 비교적 빠르기 때문에 현업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이용한 지상부 바이오매스의 공간규모 확장 (Spatial Upscaling of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 김은숙;김경민;이정빈;이승호;김종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455-465
    • /
    • 2011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산림의 탄소저장 능력을 정량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부바이오매스의 공간적 분포현황을 제공하기 위해 국가산림자원조사 표본점 단위로 계산된 지상부바이오매스를 임상도를 이용하여 공간규모를 확장(upscaling)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세/준우세목 수고와 수관 밀도를 설명변수로 하는 지상부바이오매스 회귀모델과 영급을 설명변수로 하는 우세/준우세목 수고 회귀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회귀모델들과 임상도 속성정보(수종, 수관밀도, 영급)을 결합하여 지상부 바이오매스 공간분포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단양군 산림의 지상부바이오매스는 6,606,324 ton으로 추정되었고, 표본점 기반 통계에 의한 추정치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도를 활용하는 본 기법은 손쉽게 대면적에 대한 바이오매스를 추정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임상도의 주요 속성이 범주형이기 때문에 산림바이오매스 공간 변이의 세밀한 추정에는 한계가 있었다.

Adjustment of A Simplified Satellite-Based Algorithm for Gross Primary Production Estimation Over Korea

  • Pi, Kyoung-Jin;Han, Kyung-Soo;Kim, In-Hwan;Lee, Tae-Yoon;Jo, Jae-Il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5-291
    • /
    • 2013
  • Monitoring the global Gross Primary Pproduction (GPP) is relevant to understanding the global carbon cycle and evaluating the effects of interannual climate variation on food and fiber production. GPP, the flux of carbon into ecosystems via photosynthetic assimila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global carbon cycle and a key process in land surface-atmosphere interactions. The 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is one of the primary global monitoring sensors. MODIS GPP has some of the problems that have been proven in several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was to solve the regional mismatch that occurs when using the MODIS GPP global product over Korea. To solve this problem, we estimated each of the GPP component variables separately to improve the GPP estimates. We compared our GPP estimates with validation GPP data to assess their accuracy. For all sites, the correlation was close with high significance ($R^2=0.8164$, $RMSE=0.6126g{\cdot}C{\cdot}m^{-2}{\cdot}d^{-1}$, $bias=-0.0271g{\cdot}C{\cdot}m^{-2}{\cdot}d^{-1}$). We also compared our results to those of other models. The component variables tended to be either over- or under-estimated when compared to those in other studies over the Korean peninsula, although the estimated GPP was bet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likely improve carbon cycle modeling by capturing finer patterns with an integrated method of remote sensing.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한 지역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 (The Spatial Electric Load Forecasting Algorithm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 남봉우;송경빈;김규호;차준민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3-70
    • /
    • 2008
  • 본 논문은 현 배전계통계획시스템(DISPLAN)의 지역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지역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지역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은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지역경제와 지역인구와 과거의 판매전력량을 입력변수로 사용하였다. 사례연구로 경북의 경산시, 구미시, 김천시, 영주시를 선정하여 제안한 방법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제안한 방법의 전반적인 정확도는 11.2[%]로 DISPLAN의 12[%]보다 향상되었다. 특히 입력변수의 변동성이 심한 지역의 경우에서 많이 개선되었다. 제안된 방법은 배전계통시스템의 최적투자를 위한 지역전력수요예측에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농촌마을 재생을 위한 정자쉼터 공간구조분석과 이용 후 평가 - 경산권, 김천권 정자쉼터를 대상으로 - (Spatial Structure Analysis and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Jungja(Pavilion) Shelter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 On the Jungja Shelter in Gimcheom city and Kyeongsan city -)

  • 구민아;엄붕훈
    • 농촌계획
    • /
    • 제23권4호
    • /
    • pp.99-110
    • /
    • 2017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and POE of Jungja(pavilion) shelter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14 Jungja shelter space at rural villages in Gyungbuk province, were investigated. An interview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otal 139 residents as POE. The use behavior and satisfaction for Jungja shelter space, were investigated.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mean of satisfaction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nd discussions can be objective data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In satisfaction level, 'Continuous use intention'(3.99), 'Well-suited approach'(3.87), and 'Helpful in resident living'(3.84) were shown to be high points of agreement in 5 point Likert type scale. But, the mean points were low as 2.01 in 'Surrounding landscape', 'Creation of green areas'(3.22), and 'Traffic safety'(3.22), respectively. Within use satisfaction, 5 factors were categorized, 'Use', 'Safety', 'Facility', 'Management' and 'Users'. By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variables of 'Continuous use', 'Convenient location', and 'Image improvement', were shown to be main affecting variables to overall satisfaction. Furthermore, in spatial structure analysis, 4 types were categorized with the aspect of landform, roads, and location in village. The levels of satisfaction were shown to be high in village type of semi-open, road type of circular, and location type of center/back. Conclusively, these findings could be utilized as basic data and useful tool of space-structural satisfaction analytic method, and for each stage of planning/design and remodeling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고해상도 격자 기후자료 내 이상 기후변수 수정을 위한 통계적 보간법 적용 (Application of a Statistical Interpolation Method to Correct Extreme Values in High-Resolution Gridded Climate Variables)

  • 정여민;음형일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31-344
    • /
    • 2015
  • A long-term gridded historical data at 3 km spatial resolution has been generated for practical regional applications such as hydrologic modelling. However, overly high or low values have been found at some grid points where complex topography or sparse observational network exist. In this study, the Inverse Distance Weighting (IDW) method was applied to properly smooth the overly predicted values of Improved GIS-based Regression Model (IGISRM), called the IDW-IGISRM grid data, at the same resolution for daily precipitation, maximum temperature and minimum temperature from 2001 to 2010 over South Korea. We tested various effective distances in the IDW method to detect an optimal distance that provides the highest performance. IDW-IGISRM was compared with IGISRM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IDW-IGISRM with regard to spatial patterns,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metrics over 243 AWS observational points and four selected stations showing the largest biases. Regarding the spatial pattern, IDW-IGISRM reduced irrational overly predicted values, i. e. producing smoother spatial maps that IGISRM for all variables. In addition, all quantitative performance metrics were improved by IDW-IGISRM; correlation coefficient (CC), Index Of Agreement (IOA) increase up to 11.2% and 2.0%, respectively. Mean Absolute Error (MAE)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were also reduced up to 5.4% and 15.2% respectively. At the selected four stat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improvement was more considerabl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DW-IGISRM can improve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IGISRM, consequently providing more reliable high-resolution gridded data for assessment,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studies of climate change impacts.

실내와 실외의 공간감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tial Sense of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 유미경;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3-72
    • /
    • 2012
  • 현대 도시의 실내와 실외의 경계는 모호해짐과 동시에 서로 융합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환경 설계가들에게는 실내와 실외공간에 대한 통합적 사고와 이에 따른 공간 설계의 기준이 요구되고 있다. 설계의 기준이 되는 공간에 대한 감각(공간감)을 정량화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63명의 실험자들이 서울대학교 캠퍼스 내 실내 15곳, 실외 14곳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어휘는 크기감(좁은-넓은), 개방감(폐쇄적인-개방적인), 온도감(따뜻한-차가운), 밝기감(밝은-어두운), 경연감(부드러운-딱딱한), 공간친밀도, 방문빈도였으며, 이를 통해 실내 외 공간감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실내 외 크기감의 차이는 약 2배로 나타났으며, 실내 외 친밀한 공간의 기준은 실내에서 W/H비가 약 5.71이면서 창문면적/입면적의 비율이 높은 공간으로, 실외에서 넓이 $3,800m^2$와 W/H비 5.57정도의 공간으로 정할 수 있었다. 실내 외 공간감의 차이는 심리적 감각에 의해 주도되는데, 실내에서는 규모가 커질수록 차갑고 어두우며, 딱딱하게 느낀 반면 실외에서는 따뜻하고 밝으며 부드럽게 인식하였다. 또한 실내의 심리적 감각은 공간의 규모와 지각에 크게 영향 받지 않았기 때문에 친밀한 공간을 파악하기 어려웠으나, 실외의 심리적 감각은 규모와 지각에 관계되었으므로 친밀한 공간의 크기와 비율을 알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실내와 실외의 공간감은 서로 상대적인 차이를 가지며, 물리적인 기준 또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향후 실내 혹은 실외공간 설계 시 환경설계가들에게 유용한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Generalized Lasso를 이용한 공간 군집 기법 (Spatial Clustering Method Via Generalized Lasso)

  • 송은정;최호식;황승식;이우주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4호
    • /
    • pp.561-57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질병과 연관성을 갖는 국소 공간 군집을 검출할 수 있는 벌칙 가능도 방법을 제안한다. 핵심적인 계산 알고리즘은 Tibshirani와 Taylor (2011)에 의해 제안된 일반화된 라소(generalized lasso)에 기반한다. 제안된 방법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국소 공간 군집 방법인 Kulldorff의 기법에 비해 두가지 주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제안된 방법은 사전에 군집의 크기를 미리 결정해 줄 필요가 없다. 둘째로, 임의의 설명변수를 공간 군집 탐색 기법에 고려할 수 있기 때문에 인구학적인 변수를 보정하였을 때 나타나는 국소 공간 군집을 찾는 것이 가능하다. 우리는 제안된 방법을 서울시 결핵 자료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Determinants of Economic Segreg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overty

  • Park, Yoonhwan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1-30
    • /
    • 2019
  • Purpose - While many related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the segregation by race and ethnicity, the academic interest in the separation of residence by income and social class is gradually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not only investigate spatial pattern of economic segregation and poverty rate in South Korea, but also shed light on what affect residential distribution of the poo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unit of analysis is Si-Gun-Gu municipal level entities of South Korea. Most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residential variables were derived from Korean Census Data in 2015. In order to examine spatial patterns of economic segregation and poverty rate in South Korea, a series of measurements and visualiza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Geo-Segregation Analyzer and ArcGIS programs. Determinants of economic segregation and local poverty rates were investigated by regression analyses using STATA. Results - The spatial patterns of areas with high poverty rates were extremely clustered, while the distribution of areas with high economic segregation was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Demographic, residential, and local factors appeared to affect whether the poor live in particular area or spread evenly. Conclusions - The factors that raise the poverty rate result in lower level of economic segregation, while factors that reduce the poverty rate lead to severe level of economic segregation.

유형화기법에 의한 농촌지역개발범역 설정방향모색 - 리/읍.면 단위지역의 지역특성 규명을 중심으로 - (An Approach on the Spatial Boundary of Rural Development Project by Areal Classification Technique - With Spatial Reference to Searching of Areal Homogeneities in Two Hierachial Administrative Units, Ri, Eup/Myun -)

  • 전영길;류수형
    • 농촌계획
    • /
    • 제4권2호
    • /
    • pp.128-137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on the spatial boundary of rural development protect by areal classification technique with spatial reference to searching of areal homogeneities in two hierachial administrative units, Ri Eup/Myun. In this study, a criterion for judging areal homogeneities is the degree of agriculture and urbanizing. Variables selected by these two criteria are analysed with the method of fator analysis. The results of are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the importance of agricultural factors in areal analysis is getting less. Second, areal classification by Myun, Ri in Ansong City is revealed variously because of urban factors. Urban factors make areal heterogeneities become greater, Therefore urban factors are important when analyzing areal characteristics. Third, lately, in areas near by Chung- cheong Do and areas with bad road's condition, areal heterogeneities have been also getting greater.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areal characteristics of Myun and Ri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urban factors are more influential on the areal characteristics than agricultural factor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rural development project for inindle spatial boundary between Myun unit and Ri unit is nee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