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tial Upscaling of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이용한 지상부 바이오매스의 공간규모 확장

  • Kim, Eun-Sook (Division of Forest Resource Inform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Kyoung-Min (Division of Forest Resource Inform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Jung-Bin (Division of Forest Resource Inform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Seung-Ho (Division of Forest Resource Inform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Chong-Chan (Division of Forest Resource Inform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은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 김경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 이정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 이승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 김종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Received : 2011.05.17
  • Accepted : 2011.07.21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In order to assess and mitigate climate change, the role of forest biomass as carbon sink has to be understood spatially and quantitatively. Since existing forest statistics can not provide spatial information about forest resources, it is needed to predict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biomass under an alternative scheme.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an upscaling method that expands forest variables from plot to landscape scale to estimate spatially explicit aboveground biomass(AGB). For this, forest stand variables were extracted from National Forest Inventory(NFI) data and used to develop AGB regression models by tree species. Dominant/codominant height and crown density were used as explanatory variables of AGB regression models. Spatial distribution of AGB could be estimated using AGB models, forest type map and the stand height map that was developed by forest type map and height regression models. Finally, it was estimated that total amount of forest AGB in Danyang was 6,606,324 ton. This estimate was within standard error of AGB statistics calculated by sample-based estimator, which was 6,518,178 ton. This AGB upscaling method can provide the means that can easily estimate biomass in large area. But because forest type map used as base map was produced using categorical data, this method has limits to improve a precision of AGB map.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산림의 탄소저장 능력을 정량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부바이오매스의 공간적 분포현황을 제공하기 위해 국가산림자원조사 표본점 단위로 계산된 지상부바이오매스를 임상도를 이용하여 공간규모를 확장(upscaling)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세/준우세목 수고와 수관 밀도를 설명변수로 하는 지상부바이오매스 회귀모델과 영급을 설명변수로 하는 우세/준우세목 수고 회귀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회귀모델들과 임상도 속성정보(수종, 수관밀도, 영급)을 결합하여 지상부 바이오매스 공간분포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단양군 산림의 지상부바이오매스는 6,606,324 ton으로 추정되었고, 표본점 기반 통계에 의한 추정치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도를 활용하는 본 기법은 손쉽게 대면적에 대한 바이오매스를 추정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임상도의 주요 속성이 범주형이기 때문에 산림바이오매스 공간 변이의 세밀한 추정에는 한계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두안, 이우균, 손민호. 2005. 개체목 및 임분조사를 위한 LiDAR 응용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4(6): 431-440.
  2. 국립산림과학원. 2005. 산림자원조사보고서(민유림). 국립산림과학원. pp. 656.
  3. 국립산림과학원. 2010. 교토의정서 대응 산림탄소계정 기반 구축 연구. 산림청. pp. 436.
  4. 국토해양부. 2010. 2010 국토해양통계연보. 국토해양부. 서울. pp. 421.
  5. 김갑덕. 1985. 산림측정학. 향문사. 서울. pp. 275.
  6. 김경민, 김은숙, 이정빈, 노영희, 박현주, 이승호, 박기호. 2010. 지상부 바이오매스 공간분포 추정에 관한 주요국 연구 동향 분석. 연구자료 제389호. 국립산림과학원 서울. pp. 109.
  7. 김경민, 이승호, 김종찬, 손영모, 허준, 김은숙, 이정빈, 박기호. 2011. 지상부 바이오매스의 탄소저장량 분포 추정을 위한 최적 공간모델 개발. 2010년도 연구사업 보고서. 국립산림과학원. pp. 353-432.
  8. 김은숙, 김경민, 김종찬, 이승호, 김성호. 2010. 국가산 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이용한 경기지역 산림의 임분재적 공간분포 추정. 한국임학회지 99(6): 827-835.
  9. 단양군. 2010. 단양군 산림정밀지도 제작 및 활용시스템 통합 완료보고서. 단양군. pp. 154.
  10. 박현주. 2011. 공간통계를 이용한 산림 탄소저장량 추정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91.
  11. 산림청. 2009. 재적.중량표 및 임분수확표. 산림청. 대전. pp. 271.
  12. 송장호, 강영호, 공지수. 1994. 항공사진에 의한 개벌기준표 조제 - 리기다소나무외 4수종을 중심으로 -. 임업연구원연구보고 50: 11-17.
  13. 심우범, 정진현, 김성호, 김준섭, 류주형, 김종찬, 서수안, 유병오. 2008.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매뉴얼-. 연구자료 제317호. 국립산림과학원. pp. 54.
  14. 이우균. 1996. 강원도지역 소나무의 임분 및 일반 수고 -흉고직경곡선 모델. 산림경제연구 4(2): 66-78.
  15. 임종수, 한원성, 황주호, 정상영, 조현국, 신만용. 2009. 위성영상자료 및 국가 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4): 311-320. https://doi.org/10.7780/kjrs.2009.25.4.311
  16. 정상영, 임종수, 조현국, 정진현, 김성호, 신만용. 2009. 산림 바이오매스 변환표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무주군의 산림 바이오매스추정. 한국임학회지 98(4): 409-416.
  17. 정재훈, 허준, 유수홍, 김경민, 이정빈. 2010. kNN 알고리즘과 계절별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한 단양군 지역의 지상부 바이오매스 탄소저장량 추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8(4): 119-129.
  18. Chun, J.H., Lim, J. and Lee, D.K. 2007. Biomass Estimation of Gwangneung Catchment Area with Landsat ETM+ Imag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5): 591-601.
  19. Fournier, R. A., Luther, J. E., Guindon, L., Lambert, M.- C., Piercey, D., Hall, R. J. and Wulder, M. A. 2003. Mapping aboveground tree biomass at the stand level from inventory information: test cases in Newfoundland and Quebec.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3: 1846-1863. https://doi.org/10.1139/x03-099
  20. Hernandez, R.P. 2004. Assessing carbon stocks and modelling win-win scenarios of carbon sequestration through land-use changes. FAO. Roma. pp. 156.
  21. Lecointe, S., Nys, C., Walter, C., Forgeard, F., Huet, S., Recena, P. and Follain, S. 2006. Estimation of carbon stocks in a beech forest: extrapolation from the plots to the whole forest. Annuals of Forest Science 63(2): 139-148. https://doi.org/10.1051/forest:2005106
  22. O'Brien, S.T., Hubbell, S.P., Spiro, P. and Condit, R. 1995. Diameter, height, crown, and age relationships in eight neotropical tree species. Ecology 76(6): 1926-1939. https://doi.org/10.2307/194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