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and Estimation of Carbon Emissions in Deforestation Using GIS and Administrative Data

GIS와 행정 자료를 이용한 산림전용지의 공간분포 및 탄소배출량 분석 - 강원도 원주시를 대상으로 -

  • Park, Jinwoo (Department of Forest management,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Jungsoo (Department of Forest management,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박진우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경영학과) ;
  • 이정수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경영학과)
  • Received : 2011.05.18
  • Accepted : 2011.07.11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spatial pattern and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 at the deforestation area based on the administrative and GIS data. The total size of deforestation area in last nine years (2000-2008) was about 649 ha, and it was occurred annually about 72 ha. The occurrence rate of deforestation per administrative area in Wonju was about 0.74%. It was 0.34% higher than that of Kwangwondo, and 0.06% less than that of National rate. On the other hand, the forms of deforestation by purpose were not related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The number of deforestation forms was highest at settlements. second most frequent form is other land. Grassland showed the lowest score. In addition, the deforestations were more occurred which is closed to the existing housing and building rather than roads. The number of deforestation was 1.2 times higher based on 300m. Seventy percent of deforestation was occurred which is less than 0.5 ha in size, and it increased to 91% when the size is less than 1ha. The total size of theoretical carbon emission based on deforestation area was estimated at 23,424 tc, and average annual carbon emission was estimated by 2,603 tc. Carbon emission per ha was 36.1 tC/ha. This study results will be useful to construct the greenhouse gas statistical verification system against the Post-2012 by GIS.

본 연구는 산림전용정보와 GIS 정보를 상호 이용하여 산림전용지의 공간특성 분석과 함께 탄소배출량 파악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최근 9년간(2000년부터 2008년까지) 산림에서 비산림으로 전용된 면적은 약 649 ha로, 연간 약 72 ha의 산림전용이 발생하였다. 행정구역 단위별 면적대비 전용발생률을 보면, 원주시는 약 0.74%로, 강원도 전용발생률보다는 0.34% 높게 나타났으나, 전국 전용발생률보다는 약 0.06%낮게 나타났다. 한편, 산림전용 목적별 형태는 행정구역 단위와 상관없이 유사하게 발생하였으며, 주거지, 기타 토지, 농경지, 초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전용은 기존 주택 및 건물로부터의 접근성이 도로로부터의 접근성보다 근접한 곳에서 발생하였으며, 300 m 기준으로는 약 1.2배정도 높게 발생하였다. 전체 산림전용발생의 70%는 0.5 ha미만의 지역에서 발생하였으며, 91%는 1 ha미만의 지역에서 발생하였다. 산림전용에 따른 총 탄소배출량은 약 23,424 tC이며, 연평균 2,603 tC로 나타났다. ha당 탄소배출량은 36.1 tC/ha로 나타났다. GIS에 의한 전용지의 공간특성을 파악함에 따라 Post-2012에 대비 온실가스 통계검증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 2010. 2010강원통계연보. pp. 228.
  2. 권순덕, 서정호, 손영모, 박영규. 2005. 산지전용에 따른 우리나라의 임목 바이오매스 탄소배출량. 임산에너지학회지 24(2): 10-15.
  3. 김의경. 2007. 제5차 산림기본계획과 신정부의 산림정책. 한국산림경제학회지 15(2): 65-77.
  4. 김종호. 2009. 온실가스 감축의무 협상동향 및 대응방향 연구I. pp. 18-20.
  5. 산림청. 2000. 산림과 임업기술-III편 부록, pp. 700-715.
  6. 산림청. 2009a. 산림기본통계. http://www.forest.go.kr/kfsweb/kfi/kfs/stats/localStats.do?mn=KFS_05_09_01_01.
  7. 산림청. 2009b. 재적중량표 및 임분수확표. pp. 206-221.
  8. 산림청. 2010a. 2010임업통계연보. pp. 42-166.
  9. 산림청. 2010b. 교토의정서 대응 산림탄소계정 기반 구축 연구 최종보고서. pp. 109-120.
  10. 손영모. 2006a. 기후변화협약 대응 임업부문 온실가스 통계체계 구축. 산림과학정보 185: 8-9.
  11. 손영모. 2006b. 산림바이오매스 탄소계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부분 온실가스통계 Workshop III, pp. 17-38.
  12. 손영모, 이경학, 서정호, 권순덕. 2007. 산림 사업지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화석연료 대체효과. 한국임학회지 96(6): 639-643.
  13. 이정수, 김효정, 박은미. 2008. 교토의정서에 대응하기 위한 산림전용 및 산림경영활동 대상지역분석. 한국임학회 학술연구발표논문집. pp. 377-378.
  14. 원주시. 2009. 2009 원주시 통계연보. pp. 149-151.
  15. 통계청. 2009. 2009 통계연보. pp. 45-92.
  16. 한기주, 윤여창. 2010. 산림전용과 산림황폐화 방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방안. pp. 5.
  17. IPCC. 2001. Marrakesh Accords decision 16/CMP.1(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pp.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