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Concept

검색결과 1,022건 처리시간 0.028초

고등학생들의 공간지각능력에 따른 탄소 순환 개념 연구 (Conception of Carbon Cycle in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Spatial Perception Ability)

  • 이지은;한신;박태윤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08-32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지각능력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탄소 순환 개념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광역시 소재의 평준화 일반계 남녀공학 S고등학교 학생들 중 2학년 1학기에 지구과학 I을 이수한 자연계열 남학생 30명과 여학생 33명을 대상으로 공간지각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공간지각능력 상 하 두 집단의 학생들 중에서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남학생 4명과 여학생 4명을 대상으로 탄소순환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공간지각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공간지각능력이 낮은 학생들 보다 단어연상에서 탄소 순환 개념, 상태 변화개념, 과정 개념이 더 많았으며 그림 그리기에서 탄소 순환 개념, 상태 변화와 과정 개념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적 관점에서 사용된 연결고리는 공간지각능력이 높은 학생들의 인과지도에서 1명이 2개, 1명이 1개, 2명이 0개로 나타났고 그림 그리기에서 3명이 1개, 1명이 0개로 나타났으며 공간지각능력이 낮은 학생들의 인과지도와 그림 그리기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공간지각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공간지각능력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지구시스템의 하위영역의 상호작용으로 탄소가 이동하는 것을 이해하고 있었다. 공간지각능력이 높은 3명의 학생들은 낮은 수준의 시스템 사고 개념이 있었으며 공간지각능력이 높은 학생 1명과 공간지각능력이 낮은 학생들 4명은 시스템 사고 개념이 없었다.

What Does the Learning Region Mean for Economic Geography\ulcorner

  • Hassink, Robert
    • 지역연구
    • /
    • 제15권1호
    • /
    • pp.93-116
    • /
    • 1999
  • Recently the concept of learning has become very fashionable among academics from different economic disciplines. Economic geographers and spatial planners joined this fashion by increasingly speaking about the 'learning region'. This paper makes clear that this learning region'. This paper makes clear that this learning region concept has been launched from three angles; as spatial outcome of grand societal changes, as spatial concentration of entrepreneurial learning for innovation and as regional development concept. Despite the deficits and flaws such a young concept is faced with, such as vague definitions, the lack of empirical research and an insufficiently clear separation from existing concepts, the learning region concept might provide economic geography with more insight in agglomeration effects, stronger links with policy-making and more knowledge on path dependency and thus on unravelling the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bad' industrial agglomerations.

  • PDF

Design of 4S Web Services Model for the Infrastructures of National Spatial Clearinghouse of Spatial Data and Services

  • Kim, M.S.;Oh, B.W.;Kim, M.J.;Jang, B.T.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34-836
    • /
    • 2003
  • Recently, web services concept is rapidly rising as new solution to solve the integration problem among heterogeneous application systems . This web servic es concept is adaptable in the field of 4S application systems integration that handles the spatial information of GIS, SIIS, GNSS and ITS. So, this paper suggests a new 4S web services model for the infrastructures of nationwide spatial clearinghouse, which is mainly based on the OGC and W3C web services specifications. Conclusively, this proposed model that could serve various spatial data and services has some advantages of being flexibly and powerfully capable of integrating the 4S application systems owing to adapt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specifications of OGC and W3C.

  • PDF

다차원 개념 계층을 지원하는 공간 데이터 큐브의 점진적 일괄 갱신 기법 (Incremental Batch Update of Spatial Data Cube with Multi-dimensional Concept Hierarchies)

  • 옥근형;이동욱;유병섭;이재동;배해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395-1409
    • /
    • 2006
  •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는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연산을 제공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를 공간 데이터 큐브의 형태로 관리한다. 개념 계층을 지원하는 공간 데이터 큐브의 크기는 삽입되는 데이터에 비해 방대하기 때문에 구축된 큐브의 구조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새로 삽입되는 데이터를 반영시킬 수 있는 점진적 갱신 기법이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접두 및 접미의 중복을 제거하여 데이터를 압축 저장하는 큐브에서는 병합된 경로 간의 충돌로 인해 큐브 갱신 시 갱신 내용과 상관없는 셀까지 동시에 갱신되어 갱신이상 현상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 큐브의 점진적 일괄 갱신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갱신에 필요한 노드 복사본을 관리하는 자료 구조 및 재귀 탐색을 이용하여, 경로 간의 충돌이 발생할 경우 해당 노드의 복사본을 생성한 후 이를 갱신함으로써 갱신이상 현상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다차원 개념 계층이 포함된 공간 데이터 큐브를 효율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성능 평가를 통해 기존 갱신 기법에 비해 제안 기법의 갱신 속도가 향상되었음을 보인다.

  • PDF

GeoVideo: A First Step to MediaGIS

  • Kim, Kyong-Ho;Kim, Sung-Soo;Lee, Sung-Ho;Kim, Kyoung-Ok;Lee, Jong-H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827-831
    • /
    • 2002
  • MediaGIS is a concept of tightly integrated multimedia with spatial information. VideoGIS is an example of MediaGIS focused on the interaction or interaction of video and spatial information. Our suggested GeoVideo, a new concept of VideoGIS has its key feature in interactiveness. In GeoVideo, the geographic tasks such as browsing, searching, querying, spatial analysis can be performed based on video itself. GeoVideo can have the meaning of paradigm shift from artificial, static, abstracted and graphical paradigm to natural, dynamic, real, and image-based paradigm. We discuss about the integration of video and geography and also suggest the GeoVideo system design. Several considerations on expanding the functionalities of GeoVideo are explained for the future works.

  • PDF

아틀라스 개념을 적용한 공간정보서비스 방안 - 토지피복지도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Spati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Concept of Atlas - A Case Study of Land Cover Map -)

  • 홍상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53-159
    • /
    • 2012
  • 최근 들어 일반인의 공간정보 활용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토지피복지도를 비롯한 국가공간정보의 구축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공간정보서비스가 미비하여 일반인의 공간정보 활용 증대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용 지리부도를 통해 우리에게 익숙한 아틀라스의 개념을 적용하여 일반인의 토지피복지도 활용을 증진할 수 있는 공간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내 토지피복지도의 활용 현황 및 해외사례를 검토하여 콘텐츠, 사용자, 활용 시스템의 측면에서 토지피복지도를 활용한 공간정보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아틀라스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아틀라스정보시스템의 특성과 기능을 정의하였으며, 환경공간정보서비스 제공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토지피복지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가공간정보에 적용 가능하므로 일반인의 국가공간정보 활용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공간적 개념이 적용된 가구디자인의 사례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urniture Design of Spatial Concept)

  • 김진우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4-54
    • /
    • 2008
  • The blur phenomenon, in which the boundaries of fields or roles become vague, has become an important concept of design in the 21st century. In furniture design, the physical boundary between furniture and space and that between space and furniture has been broken down and their meaning tends to be redundant. This concept was begun by a variety of furniture designers who led the trends about 30 years ago. A progressive exhibition titled ${\ulcorner}$Living Tomorrow${\lrcorner}$, which was included in the Koln International Mobelmess from 1968 to 1970, showed that the blur phenomenon in furniture design has never actually been novel. These exhibitions and the works exhibited in the events are still recognized as progressive examples that proposed an avant-garde concept of life. They are in line with the current furniture design based on spatial concepts, which has been created by the blur phenomen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termine the cases of furniture design that enable the so-called spatial functions beyond the simple functions of seating, use, and display, from those of furniture design and to research their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furniture based on spatial concepts means furniture that creates 3D spaces consisting of the floor, walls, and ceiling by the blur phenomenon that occurs from the spaces among these pieces of furniture. The organiz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2, a background on the generation of furniture design based on spatial concepts is described based on the research literature of this socio-cultural phenomena. In Chapter 3, the cases of relevant furniture design redescribed. In Chapter 4, the collected cases are analyzed and their characteristics described. In Chapter 5, Chapter 1 to Chapter 4 are summarized and conclusions are given. In addition, future research is proposed.

  • PDF

공간계획의 개념에 관한 검토 - 유럽의 ESDP와 영국의 PCPA 2004를 중심으로 - (Critical Reviews on Concept of Spatial Planning - From the Perspective of ESDP and PCPA in 2004 in the UK -)

  • 김태훈;권혁진;이천재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1호
    • /
    • pp.99-122
    • /
    • 2015
  • 공간계획은 논리적 체계적 접근을 통하여 계획의 패러다임 변화에 상응하는 개념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공간계획의 개념은 계획 이론과 실제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계획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통합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및 그 개념을 파악하고, 전통적인 개념인 토지이용계획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공간계획의 의의를 재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범위는 공간계획의 개념으로 한정하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2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비교론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공간계획에 대한 접근은 계획이론의 이론적 실제적 통합적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둘째, 공간계획의 개념은 공간계획의 정의, 차원, 그리고 평가의 측면에서 검토하고, 토지이용계획과의 개념적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계획의 의의는 미래상, 정책도구, 지속가능한 발전 그리고 개방성 차원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공간 빅데이터의 개념 및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cept and Services Framework of Geo-Spatial Big Data)

  • 유선철;최원욱;신동빈;안종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13-21
    • /
    • 2014
  • 본 연구는 수요 및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공간 빅데이터의 개념설정과 이를 기반으로 공간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개념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간 빅데이터는 정형 반정형 비정형 공간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관리하는 동시에 공간정보와 융합된 다양한 속성정보에 대해 실시간 통합 분석을 수행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빅데이터는 기존 빅데이터가 가지는 3V(Volume, Variety, Velocity) 특성에 4V(Veracity, Visualization, Versatile, Value)가 추가된 특성을 가지며, 저장 관리, 분석, 서비스로 구분하여 활용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서비스 측면에서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관리, 서비스 콘테이너, 서비스 모니터링의 구성요소로 구상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참조로 새로운 기술 및 기법들을 적용하여 수정 보완하고, 향후 개발예정인 저장 관리, 분석 기술개발과 연계하여 구체적인 서비스 제공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Effects of Participatory Design on the Development of Space Concept in Young Children

  • Kang, Tae-Sun;Cho, Su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64-7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s conducted to design forest play spaces that reflect young children's needs and demands on the development of spatial concepts in young children.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 (6 times) and Landscape Montage Techniques (LMT). We conducted this study at the "Songsan-mulbit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FECC)" located in Gwangsan-gu, Gwangju Metropolitan City, from the second week of May to third week of June 2018 for preschoolers in K-kindergarten (six and seven-year-old integrated classes; 41 preschoolers in total). We conducted the LMT evaluation on the same preschoolers before and after the workshop, and the drawings of 39 preschoolers drawn for LMT evaluation before and after the workshop were subject to the final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gnitive levels for the spatial concept after the workshop are higher than those for the spatial concept before the workshop, especially showed the result of comparing the LMT values of 6 age and 7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pre and post workshop in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