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 sea of South Korea

검색결과 1,958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남서해안 자연채묘 양식 김의 DNA 염기서열과 종 동정 (DNA Sequences and Identification of Porphyra Cultivated by Natural Seeding o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 황미숙;김선미;하동수;백재민;김형섭;최한구
    • ALGAE
    • /
    • 제20권3호
    • /
    • pp.183-196
    • /
    • 2005
  • Nuclear SSU and ITS1 rDNA and plastid rbcL sequences were determined to identify the seven samples of Porphyra cultivated by means of natural seeding o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and analyzed to access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m with the natural populations of P. tenera and P. yezoensis from Korea and Japan. SSU, rbcL and ITS1 data from 18, 21 and 31 samples, respectively, including previously published sequences were investigated in the study. Results from our individual and combined data indicated that the seven samples were all P. yezoensis and the entities except one from Muan 2 aquafarm strongly grouped together with the natural populations of P. yezoensis from the south and the west coast of Korea. The sample from Muan 2 seems to be derived from a strain of P. yezoensis introduced from Japan by Porphyra farmers, based on DNA sequence data.

关于韩·蒙自由贸易协定缔结的因素和经济现状研究 (On the Factors and Economic Situations about the Concluding of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Mongolia)

  • 배상목;박여순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129-136
    • /
    • 2016
  • South Korea and Mongolia are both the member countries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but neither was the country with FTA. Nowadays, South Korea widely concludes the FTA with other countries, and the trade area has extended toward the neighboring continents and seas. Mongolia is a country with smallest economic entity but large in area and with abundant underground resources. And it's a main strategic zone of Eurasia. After the disintegration of the Soviet Union, Mongolia began to turn to market economy, and eagerly made effort to open and reform. With the expanse of trade and economy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Mongolia, Mongolia started its sea road expanding. And the south Korea went to inland to get the necessary resources. Both of them feed its needs and obtain its profits.

한국 남해안 여수~통영 연안해역의 멸치 난자치어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ggs and Larvae of the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Yeosu and Tongyeong Coastal Waters of Korea)

  • 고준철;서영일;김희용;이선길;차형기;김주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6-266
    • /
    • 2010
  • 2009년 5월부터 8월까지 한국 남해안의 여수~통영 연안역에서 멸치 난자치어 분포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멸치 난의 밀도는 6월에 가장 높았고, 자치어는 7월에 높게 나타났으며 주 분포해역은 나로도, 남해도 및 사량도 주변해역에서 수온 $19.0{\sim}24.0^{\circ}C$, 염분 33.0~34.4 psu, 용존 산소 6.05~8.13 mg/L, 클로로필 a $1.2{\sim}2.3{\mu}g/L$ 범위에 분포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수온은 외해역보다 연안역에서 고수온을 나타냈고, 염분은 연안역에서 낮고 외해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연안수의 유입은 조사해역 북쪽의 여자만, 가막만, 광양만 등지에서 유입되고, 외해수의 연안유입은 나로도 및 매물도 남쪽 외해측에서 유입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름철 국지적 강우에 따른 다량의 섬진강 하천수 유입은 주변해역의 염분을 감소시키면서 남쪽해역으로 확장되어 산란 및 부화된 난자치어들을 외해역 내지 다른 해역으로 이송시키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발생 초기 난들은 (I~IV) 나로도, 돌산도 및 남해도 주변 해역에 주로 분포한 반면, 발생 후기 난은 (V~IX) 욕지도 및 매물도 주변해역에서 고밀도로 분포하였고, 부화직전 후기 단계의 난과 자치어 대형개체들은 조사해역 동쪽방향으로 갈수록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안해역 해양특성 연구조사선 장목호의 구축현황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Information Network for JANG-MOK Oceanographic Research Ship)

  • 박동원;박종원;김덕진;백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14-516
    • /
    • 2006
  • 한국해양연구원에서 2005년 9월에 한국 연안 해역에서의 해양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탐사 및 관측 조사를 위한 40톤급 연구선(장목호)를 신조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장목호의 재원, 주요 탑재장비, 주요 탐사조사 기능 등의 구축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 PDF

한국 남해안 문치가자미, Pleuronectes yokohamae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Marbled Sole Pleuronectes yokohamae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서영일;주현;이선길;김희용;고준철;최문성;강주일;오택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3-89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해안에 서식하는 문치가자미(pleuronectes yokohamae)의 성숙과 산란에 관한 연구로, 2006년 5월부터 2007년 4월까지 경남 남해군 연안 호망어업과 연안자망에서 어획된 것을 무작위로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암컷의 생식소 발달과정 및 생식소 중량지수의 월 변화로부터 문치가자미의 산란기는 11~2월, 주 산란기는 12~1월로 추정된다. 전장(TL)과 포란수(F)간의 관계식은 $F=3.656TL^{3.518}$ ($R^2$=0.872)이며, 체장이 커질수록 포란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란에 참여하는 50% 성숙체장은 전장 19.8 cm이었다. 전 조사기간에 대한 성비(암 수)는 55.2:44.8로 암컷이 우세하였고, 체급별 성비는 전장 25 cm 이하에서는 수컷의 비율이 높았으나 체장이 커질수록 암컷의 비율이 증가하여 32 cm 이상에서는 전 출현개체수가 암컷이었다.

관할해역 해상교통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 연구: 이어도해양과학기지 실험 중심으로 (Preliminary Results of Marine Traffic Monitoring Field Campaigns for the Jurisdictional Sea Area of South Korea: Monitoring on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 양찬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8-69
    • /
    • 2014
  • 우리나라 관할해역까지 확장된 해상교통 모니터링이 필요하여, 장기적으로는 전 세계 원하는 해역의 선박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를 통해서만 우리의 Sea Line의 확보가 가능하며, 해양 경제영토의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목표를 위한 초기 단계로, 경기만 연안 통합모니터링 시험을 거쳐 2013년 11월에는 이어도해양과학기지에서 실험이 이루어졌으며, 이 결과를 이번 학술대회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한국 남해연안에 서식하는 해마류의 분포와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al Reexamination and Distribution of Sea horses in the Southern Sea of South Korea)

  • 김태일;한원민;이근의;이기원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1159-1170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distribution and taxonomy of sea horse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sea horses that were caught in the Southern Sea, centering on Yeosu, South Korea. Specimen collection methods The samples were collected by set net, skimming nets, dragnets, and landing nets on a boat, as well as scuba diving. A total of 128 sea horses belonging to three species were collected. To investigate the exact distribution pattern, the catch per unit effort and the population density per $1,000m^2$ were calculated for each site in the Southern Sea. The result shows the highest catch by set nets was 29 sea horses a day in Site B at Dolsan-eup, Port Impo, and the highest catch by scuba diving was 8 sea horses a day in Site B at Gijang-gun, Busan.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y was 61.2 sea horses in the coast of Gijang-gun, Busan. Genetic information analysis and morphologic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determination of species. As a result, four Hippocampus trimaculatus, (flat-faced sea horses), 45 Hippocampus coronatus (Crowned sea horses), and 79 Hippocampus mohnikei (Japanese sea horses) were distinguished.

한국 서남해 민어(Miichthys miiuy)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in the South-western Water of Korea)

  • 이승환;정상덕;유준택;김영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74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수산자원 중 하나인 민어의 이석을 이용하여 민어의 연령과 성장을 추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민어의 이석은 2015년 8월부터 2016년 7월까지 서해 남부 연안에서 안강망으로 어획되어 양육된 것으로 총 339개체 중, 연령사정에 이용된 개체수는 327미였다. 연령은 민어는 불투명대에서 투명대로 이행하는 지점을 윤문으로 간주하였으며, 윤문형성시기는 3~6월(주형성시기 6월), 산란기는 9~10월 (주산란기 9월)로 추정되어 초륜이 형성되기까지의 기간은 0.75년으로 나타났다. 최고 연령은 암컷 11세, 수컷 9세로 추정되었으며, 윤문이 형성될 시기의 평균 전장을 바탕으로 비선형 회귀방법으로 추정한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L_t=182.4(1-e^{-0.067(t+1.754)})$($R^2=0.96$)이었다.

진도 연안 낭장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a Gape Net with Wings in the Coastal Waters of Jindo, Korea)

  • 정재묵;유준택;김희용;이선길;고우진;김영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783-788
    • /
    • 2015
  •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 in the coastal waters of Jindo was determined using monthly sample collection by a gape net with wings in 2014. Of a total of 41 fishes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Engraulis japonicus, Thryssa kammalensis, Sardinella zunasi, Leiognathus nuchalis,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Neosalanx anderssoni, Acanthogobius flavimanus. The former three species were the migratory species and the other four species were the resident species. These 7 fishes accounted for 99.6%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Monthly species composition did not show a clear seasonal trend. The peak number of individuals occurred in May, lowest in November. Fish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the cluster analysis.

HEBEI SPIRIT호 기름유출사고에 의한 서남해안 유입 타르볼의 방제 (Response of Tarball entering the South-Western Sea by HEBEI SPIRIT Oil Spill)

  • 오정우;조현진;김두호;나은영;장명길;황성훈;신재길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21-124
    • /
    • 2008
  • 2007년 12월 7일 HEBEI SPIRIT호 기름유출 사고로 인해 형성된 타르볼이 12월 27일부터 서남해역에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유입된 타르볼은 해경을 중심으로 한 방제세력에 의해 해상 및 해안에서 제거되었으며, 해상 및 해안에 있어서 각각 0.345톤 및 1,739톤의 타르볼이 수거되었다. 서남해역 타르볼 방제에 동원된 방제인력은 약 2만 5천명의 자원봉사자를 포함하여 총 9만 7천명으로 파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뜰채나 그물 등 서남해권내의 해상과 해안에 유입된 타르볼의 방제에 실제적으로 사용되었던 방제방법들을 소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