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cial Indicators

검색결과 661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형 산림경영인증 기준과 지표의 개발 (Development of Criteria and Indicators for Forest Management Certification in Korea)

  • 신혜진;김의경;유병일;서정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24-35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특수한 임업현실을 반영하고 추후 민간차원의 시장도입을 고려하여 산림경영 단위에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산림경영인증의 기준과 지표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산림경영단위의 C&I 특성을 적용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산림경영인증 기준과 지표 중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과 지표의 도출을 위해 정책 생태 사회 경제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AHP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FSC 산림경영인증 심사과정에 참여한 현장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기존의 FSC 인증심사 시 제기된 문제 점과 인증심사 과정을 심층 분석하여 실제 인증심사 시 고려해야 할 우리나라의 임업특수성을 재조명하였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우리나라의 임업현실을 반영한 7개 기준 27개 지표를 한국형 산림경영인증 기준과 지표로 선정하여 92개 현장점검 항목을 제시하였다.

침해지표를 활용한 해킹 이메일 탐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cking E-Mail Detection using Indicators of Compromise)

  • 이후기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1-28
    • /
    • 2020
  • 최근 해킹 및 악성코드는 점검 기법이 매우 정교하고 복잡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침해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그 중 정보유출, 시스템 파괴 등에 활용되는 침해사고의 가장 큰 이용 경로는 이메일을 이용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특히, 제로데이 취약점과 사회공학적 해킹 기법을 이용한 이메일 APT공격은 과거의 시그니처, 동적분석 탐지만으로는 식별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대한 원인을 식별하고 해당 내용을 공유하여 유사한 침해사고에 대해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침해지표(IOC, Indicators Of Compromise)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클라이언트단의 침해사고를 수집하기위해 활용되었던 디지털 포렌식 탐지 지표 방식을 활용하여 보안사고의 가장 큰 피해를 유발하는 해킹 메일의 탐지 및 조사 분석 시 필요한 다양한 아티팩트 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고층고밀 아파트단지의 노후특성 평가 연구 - 1기 신도시 중 분당신도시의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Evaluating the Level of Deterioration of High-rise and High-density Apartments)

  • 조성희;이태경;오덕성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89-9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high-rise and high-density apartment complexes in 1st period new towns in order to regenerate apartments as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level of deterioration was evaluated by using 'evaluating indicators of the level of deterioration of high-rise and high-density apartments'.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inclusively and concretely based on evaluation results. In addition, the deterioration level according to residents' awareness of the deterioration of their apartment was evalu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methods of field data collection, staff interview, field measurement, and resident survey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evaluating indicators. And the re-organized questionnaire based on the evaluating indicators was utilized for a survey of resident's awaren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physical dimensions of apartments,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included deteriorated equipment and a decline in structural performance due to the aging of the apartment, a shortage of parking spaces, and the low flexibility of the bearing wall structure, etc. In terms of the social dimensions, the apartments show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households, a shortage of community facilities, and a lack of the opportunity for community participation etc. In terms of the economic dimensions, the apartments showed limitations in maintenance & repair and a lack of environmentally friendly features.

백두대간의 개념적 관리범위모형 수립을 위한 접근 (An Approach for Establishing Conceptual Framework of Management Spectirum on the Baekdudaegan Area, Korean)

  • 유기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8-419
    • /
    • 2002
  • 본 연구는 백두대간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관리공간구획모형의 필요성으로부터 계획되었으며. 개념적인 백두대간의 관리범위모형을 수립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간구획 관련 이론 및 연구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토지이용 및 관리의 범위 설정의 개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개념적인 백두대간관리모형 수립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제시된 관리범위모형은 탄력적 관리를 위해 백두대간의 관리범위를 적극적 보전, 완충, 다목적 이용의 세 구역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에 적합한 관리목표를 설정하여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각 구역의 구획은 생태적 환경, 물리적 환경, 그리고 사회.문화적 환경을 대표하는 지표인자들의 평가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제시된 모형의 효율적인 적용은 백두대간 공간구획을 위한 적절한 지표인자의 선정 및 그에 대한 적합한 평가에 의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그 효율성 또는 효과성이 객관적으로 평가되어야하며 사례연구를 통해 적절한 지표인자 선정 및 평가기준의 마련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서울시 소지역 건강불평등에 관한 연구 : 지역박탈에 대한 재해석 (Health Inequality of Local Area in Seoul : Reinterpretation of Neighborhood Deprivation)

  • 김형용;최진무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7-229
    • /
    • 2014
  • 본 연구는 건강을 설명하는 지역 박탈 지표를 선별하고 이러한 지표들이 근린사회의 인구구성효과와 구분되는 독립적인 맥락효과를 지니는지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를 대상으로 행정동 단위의 표준화사망비를 산출하여 소지역 건강불평등 실태를 분석하였고, 표준화사망비 격차를 설명하는 지역박탈 지표들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다수 준 모형을 통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통제한 후 지역박탈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건강불평등의 지역 격차가 대부분 사회경제적 지위 요인을 반영할 뿐이며, 거주지 지역사회의 독립된 맥락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에서 행정동별 표준화사망비 분포가 취약근린지수의 분포와 유사하고 더 나아가 공시지가, 하위교육수준, 복지수급자 비율, 여성가구주 가구의 개별 지표 분포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인구집단의 취약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빈곤 지역이 내생적으로 형성하는 건강문화나 보건의료접근성 등의 가능한 매개 요인들의 가능성은 인구 구성에 따른 빈곤과 결핍보다 상대적으로 저조할 것으로 보인다. 즉 건강의 지역별 격차는 다름 아닌 계층간 격차로 해석될 수 있다.

  • PDF

계층분석과정(AHP)을 이용한 지자체 감염병 취약지표의 가중치 평가 (Relative Weight Evaluation for the Vulnerability Indicators of Infectious Disease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Local Governments)

  • 배민기;오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704-71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감염병 발생 및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감염병 취약지표의 상대적 가중치를 평가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사례 고찰을 기반으로 감염병 취약지표를 확산취약시설, 감염취약 계층, 사회적 취약여건, 대응능력 4개의 부문으로 분류한 후, 각 부문별로 총 24개의 세부지표를 선정하였다. 그 후 22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계층분석과정(AHP)을 이용하여 각 지표들 간의 상대적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부문별 가중치는 확산취약시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문별 지표와 세부지표를 모두 고려한 종합 가중치는 병상확보율(1순위), 종교시설 밀도(2순위), 의료인력 비율(3순위), 고령자 비율(4순위), 유흥업소 밀도(5순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자체의 감염병 대응정책 수립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활용 가능할 것이다.

농촌 복지·문화 서비스 및 인프라 진단체계 개발 (Development of Diagnosis System about Services and Infrastructure for Rural Welfare and Culture)

  • 김수진;배승종;김대식;임상봉
    • 농촌계획
    • /
    • 제25권1호
    • /
    • pp.51-65
    • /
    • 2019
  • This study developed diagnostic system to understand the level of welfare cultural service and infrastructure in rural areas. The applicability was reviewed through the Delphi survey and the sample survey of 60 villages. The diagnostic indicators consist of three areas: the demand area, supply area, and delivery area. The demand area consists of 8 indicators, 25 indicators for welfare services and infrastructure (healthcare, social welfare) and 32 indicators for cultural services and infrastructure (culture, education, leisure sports). The service delivery area was divided into service supply area access and traffic accessibility (public transport use status and rural transport model status) by each indicator. A diagnostic system was applied to 60 villages. Services and infrastructure for rural welfare and culture were supplied more in the Si area than Gun area. The delivery area was easier to access the Gun area than Si area. In the case of traffic access, public transportation was more frequently used in the Si area than Gun area, and the rural transportation model was found to have a relatively large amount in the Gun area compared to Si area. The diagnosis system about services and infrastructure for rural welfare and culture will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establishment and decision making of regional development policy taking into account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in the future.

출판년도의 즉시 인용빈도를 포함하는 학술지 인용지수 개발 (Developing New Journal Citation Indicators including Immediate Citation Frequencies in the Published Year)

  • 이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71-90
    • /
    • 2018
  • 국내 학술지 평가에서도 인용지수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학술지 평가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학술지 인용 영향력 지수 JIF에서는 학술논문이 발행된 당해 연도에 즉시 인용된 횟수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달리 통시적 영향력 지수 IMP는 논문이 발행된 당해년도의 인용 횟수를 포함하지만, 평가시기 직전년도의 논문을 평가하지 못하고 몇 해 전에 출간된 논문에 대한 평가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지수로 총 영향력 지수 TIF와 평균 영향력 지수 MIF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지수를 KCI 데이터에 실험적으로 적용해본 결과, TIF가 당해년도의 인용을 포함하면서 연차별 안정성이 높아서 특히 국내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의 다면적 평가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식품보장 기준선 마련을 위한 기본 개념과 세부 영역 설정 및 관련 지표 탐색 (Basic Concepts and Detailed Dimensions of Food Security and Related Indicators for Policy Development and Evaluation)

  • 박소현;황지윤;심재은;김기랑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29-440
    • /
    • 2021
  • Objectives: Standardized guidelines and reference points for a food security policy are necessary to guarantee that basic social safety nets work properl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basic concepts and detailed dimensions of food security, including the potential relevant indicators, and sought to establish standardized well-being baselines. Methods: A literature review and 14 expert roundtable discussions were carried out to analyze and extract the key concepts of food security. After determining these concepts and detailed dimensions of food security, a conceptual framework was modeled. Then, indicators for each local government that could be monitored and evaluated for each sub-area were suggested. Results: The concept of food security was defined as follows: Individuals should be provided with sufficient, safe, and quality food, which should be accessible to the community and available for use to achieve health and well-being. In addition, food security should be ensured sustainably in a changing environment. Four dimensions were suggested while conceptualizing food security. First, sufficient food, which means sufficient food supply in quantity, quality, and safety. Second, equitable food which includes creating environments in which high-quality and safe food can be purchased at an appropriate price and can be provided regardless of the socioeconomic gap. Third, healthy food which should be provided to promote people's health and happiness through the eco-friendly consumption of food. Fourth, sustainable food, which can be supplied in a sustainable manner and as part of an eco-friendly food system that considers the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s. Conclusions: The basic concepts and detailed areas of food security including the potential indicators proposed in this study, may be useful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and programs to support food and nutrition security in the future.

지역사회가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가족행복종합지수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Community on Family Relations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Family Happiness Composite Index in Korea)

  • 오영은;추주희;고광이
    • 지역과문화
    • /
    • 제7권2호
    • /
    • pp.173-202
    • /
    • 2020
  • 이 연구는 가족관계와 지역사회 환경의 관계를 살피고, 가족을 둘러싼 지역 환경을 객관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지역의 가족친화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화적, 경제적 차원의 영역을 검토하였으며, 특히 지역사회지표로 개발된 한국가족행복종합지수(이하, 종합지수)를 활용하여, 지역별 종합지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종합지수는 국가통계포털의 「e-지방지표」에서 공시한 지역사회지표를 활용하였으며, 이 변수들은 가족관계만족도와 연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행복종합지수의 7개 영역(인구가족, 건강문화, 교육, 소득소비, 고용노동, 주거 교통, 환경 및 사회통합)을 비교하여 10년간 추이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2008년도부터 2018년도까지 종합지수의 전국 평균점수는 점점 상승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가족관계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지역사회환경 역시 개선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상위레벨에 속한 지역은 전남, 강원, 충남, 전북, 경북으로 비수도권 및 농촌권역이었다. 하위레벨에 속한 지역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로 모두 특광역시로 대도시권역이다. 전반적으로 하위레벨에 속한 지역들은 인구 밀집 및 과밀도에 비해 관련 물리적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았으며 조금씩 개선하고 있었으나, 지역민의 욕구를 반영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만큼은 아니었다. 향후 가족관계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각 지역별 맞춤형 정책 마련을 위해서 보다 정기적이고 보완된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위기가 각 영역별, 지역별 미친 영향과 향후 변화추이를 지속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