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pproach for Establishing Conceptual Framework of Management Spectirum on the Baekdudaegan Area, Korean

백두대간의 개념적 관리범위모형 수립을 위한 접근

  • 유기준 (상지대학교 경상대학 관광학부)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conceptual management spectrum framework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Baekdudaegan area. The conceptual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that includes the concepts from existing relevant systems and other expert sources In conceptual Baekdudaegan management spectrum framework presented here, three different classes (preservation, buffer, and multiple-use) that specify potential management objectives for area functions were classified in order to pursue management flexibility Three primary management classes should be identified by evaluating Indicators of ecological, physical, and social.cultural environments. An application of the framework requires an explicit selection of indicators and their evaluation. For establishing reliability of the framework, it will be desirable to test it empirically in Baedudaegan areas in the future. In addition, systematic case study for selecting appropriate indicators and identifying evaluation standards must be done.

본 연구는 백두대간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관리공간구획모형의 필요성으로부터 계획되었으며. 개념적인 백두대간의 관리범위모형을 수립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간구획 관련 이론 및 연구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토지이용 및 관리의 범위 설정의 개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개념적인 백두대간관리모형 수립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제시된 관리범위모형은 탄력적 관리를 위해 백두대간의 관리범위를 적극적 보전, 완충, 다목적 이용의 세 구역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에 적합한 관리목표를 설정하여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각 구역의 구획은 생태적 환경, 물리적 환경, 그리고 사회.문화적 환경을 대표하는 지표인자들의 평가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제시된 모형의 효율적인 적용은 백두대간 공간구획을 위한 적절한 지표인자의 선정 및 그에 대한 적합한 평가에 의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그 효율성 또는 효과성이 객관적으로 평가되어야하며 사례연구를 통해 적절한 지표인자 선정 및 평가기준의 마련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1999) 백두대간 종합관리계획. 본보고서
  2. 국립공원관리공단(2001) 국립공원백서. 국립공원관리공단, 540쪽
  3. 국토연구원(2000)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관리범위 설정을 중심으로(1차년도 보고서). 국토연구원, 63쪽
  4. 김성일(1995) 국립공원 및 자연보호구역의 효율적인 관리전략. 우리나라 국립공원 및 자연보호구역 보전을 위한 국가전략개발. 국립공원관리공단, 175-214쪽
  5. 김영환, 유기준, 신만용(1997) 국립공원의 용도지구 설정을 위한 지표인자의 구명. 한국임학회지 87(3):347-357
  6. 법제처(1990) 자연공원법. 대한민국 현대법령집 제34권 : 421-446
  7. 산림청,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602쪽
  8. 유기준(1996) Land Spectrum Model(LSM) Based on Resource Values and Recreation Opportunities for Korean National Park System. Ph.D. Dissertation.University of Maine, U. S. A
  9. 유기준(2001) 지속 가능한 관광을 위한 자원관리 . 김성일과 박석희 (편집): 지속 가능한 관광. 일신사. 265-296쪽
  10. 환경부(2001)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관리범위 설정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11. Canadian Park Service(1991) Proposed Policy. Environment Canada, Ottawa
  12. Kim, Y. H.(1977) Kuwol-san Nature Reserve, Korean Nature 3(46): 11-12
  13. Lim, C. H.(1975) Mammals in the Oga-san Nature Reserve, Korean Nature 2: 28-29
  14. McCurdy, D. R.(1985) Park Managemen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Carbondale and Edwardsville, Illinois
  15. Payne, R. J. and R. Graham.(1993) Visitor Planning and Management in Parks and Protected Areas. In P. Dearden and R. Rollins. eds. Parks and Protected Areas in Canada: Planning and Mana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Don Mills,Ontar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