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ow cover area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2초

최근 MODIS 자료(2009-2012)를 이용한 천리안 관측 지역의 적외채널 방출률 자료 개선 (Improvement of infrared channel emissivity data in COMS observation area from recent MODIS data(2009-2012))

  • 박기홍;서명석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9-1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최근(2009-2012)의 MODIS 자료를 이용하여 천리안위성 관측 지역의 지표면 방출률 자료를 개선하였다(KNULSE_v2). 방출률 산출기법은 지표면이 식생과 토양으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방출률을 계산하는 식생피복법(Vegetation Cover Method)를 이용하였다. 주요 개선 내용은 1) 적설지수를 이용하여 적설에 의한 방출률 변화를 고려한 점, 2) 산출채널을 기존 2개(11, 12 ${\mu}m$)에서 4개(3.7, 8.7, 11, 12 ${\mu}m$)로 확대한 점, 3) 가장 최근의 5가지 지면피복자료를 조합하여 양질의 지면피복분류 자료를 이용한 점, 그리고 4) 최근에 개선된 방출률 조견표를 사용한 점이다. 산출된 자료는 식생이 최대로 성장하는 여름에 비교적 높고 반대로 겨울에 낮은 방출률을 보이며 계절에 따른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사막이나 열대 우림 등 식생의 변화가 크지 않은 곳에서는 계절에 따른 방출률 변동이 매우 적게 나타났다. 눈덮임을 적용함에 따라 3.7, 8.7, 11 ${\mu}m$ 채널에서는 방출률이 증가되었으나 12 ${\mu}m$ 채널에서는 오히려 방출률이 감소되었다. 눈 덮임에 의한 방출률 변동을 고려한 결과 적설시 MODIS LSE와 유사한 방출률 변동패턴을 보였으며, 북반구 고위도에 적설이 존재하는 11월부터 4월까지의 상관관계가 크게 개선되었다(특히 11 ${\mu}m$). 그러나 방출률 차는 상대적으로 증가되었고 특히 3.7 ${\mu}m$ 채널에서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선된 자료는 분리대기창 기반의 지표면온도 산출시 기초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산출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천리안 위성자료 융합을 통한 적설역에서의 GEMS 지표면 반사도 개선 연구 (Enhancing GEMS Surface Reflectance in Snow-Covered Regions through Combined of GeoKompsat-2A/2B Data)

  • 심수영;정대성;우종호;김나연;박성우;홍현기;한경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1호
    • /
    • pp.1497-1503
    • /
    • 2023
  • 본 연구는 Near-UltraViolet (UV) 파장에서의 지표면 반사도 산출 시 발생하는 구름과 적설의 분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Geostationary Environmental Monitoring Spectrometer (GEMS)와 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AMI) 위성의 구름 자료를 융합하여 적설역에서의 지표면 반사도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GEMS 구름 산출물과 AMI 구름탐지 자료를 기반으로 융합 구름자료를 생산하였으며, 이를 GEMS 지표면 반사도 산출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적설역에서 GEMS 구름 산출물만 사용한 경우에 비해 미산출이 개선되었으며 이는 전체 관측 영역에서 약 17%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융합 구름자료를 활용하여 적설역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했던 지표면 반사도 미산출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음을 입증하며, 이를 통해 산출된 고품질의 지표면 반사도를 기반으로 타 Level-2 산출물의 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MaxEnt 모형과 고라니의 이동행태를 고려한 수변지역 이동통로 적지선정 (Selecting Suitable Riparian Wildlife Passage Locations for Water Deer based on MaxEnt Model and Wildlife Crossing Analysis)

  • 정승규;이화수;박종훈;이동근;박종화;서창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1-111
    • /
    • 2015
  • 최근 우리나라는 하천정비사업으로 인해 수변생태계는 큰 위협을 받고 있으며, 수변의 야생동물은 고립되고 이동의 영향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변지역을 대상으로 이동통로 적지를 선정하는 것이다. 목표종은 고라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Maximum Entropy 모형과 눈길위흔적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최소비용거리에 따른 야생동물의 행동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수변지역의 이동통로 적지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변인접서식지 분석에서 고라니의 잠재서식지 영향을 주는 중요요소는 수계와의 거리, 영급, 토지피복, 경사, 향, 고도, 밀도, 도로와의 거리순으로 나타났으며, 수변에서는 토지피복, 수변면적, 지류와의 거리, 시가지와의 거리가 주요 변수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적지선정 지점은 수변과 인접지역의 각각의 서식지에서 적합도가 높은 지점과 이동경로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적지선정 지점들은 수변의 산림, 초지 및 농경지가 고라니의 주요 서식지이나 도로나 제방으로 인해서 연결성이 저하된 곳이었으며, 이동에 영향을 받아 우회하는 것을 눈길위흔적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라니는 수변지역에서 지류를 통해서 수변과 인근의 좋은 서식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유추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적지 선정 방법은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분석을 통합한 방법으로 적지선정에 적용한다면 시간적 경제적인 소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취약인자의 엔트로피 기반 중첩 분석을 이용한 부산광역시의 적설재해 취약지역 등급 평가 (Evaluating Vulnerability to Snowfall Disasters Using Entropy Method for Overlapping Distributions of Vulnerable Factors in Busan, Korea)

  • 안찬중;박용미;최원식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2_1호
    • /
    • pp.217-229
    • /
    • 2020
  • 최근 한반도는 지구온난화로 기상이변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그 중 우리나라에서 주로 발생하는 5대 자연재해는 호우, 태풍, 풍랑, 대설, 지진 등이 있다. 부산광역시는 광역시 이상의 도시 자연재해 피해액 중 50% 이상을 차지하고 도심 속 구릉성 산지가 다수 분포하여 적설재해에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지형적 특성과 인위적 특성을 함께 고려한 적설재해 위험지역을 선정하였다. 재해취약 지역의 평가요소(표고, 경사도, 토지피복, 도로, 인구통계)에 가중치를 부과하기 위해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가중치가 부과된 평가요소 지도를 중첩하여 위험1-5등급으로 위험도를 산정하였다. 중첩된 격자별 위험등급을 정책결정이나 정보제공의 편의성을 위해 읍·면·동 단위로 평균하여 단순화된 적설재해 취약지도를 추가 분석하였다. 재해 취약지역은 산지를 중심으로 도로가 분포하는 지역 주변에 분포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도로 통제 빈도가 높았던 금정구의 산성로, 북구의 만덕터널, 수영구의 황령산로에 위험지역이 포함되어 본 분석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론은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우며 취약인자의 추가나 개선에 대한 업데이트가 용이하기 때문에 다른 재해나 환경위험도 분석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논문 - GIS/RS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폭설 피해지역 추출 기법 연구 (Estimation of Greenhouse Damaged Area by Heavy Snowfall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Technique)

  • 김샛별;신형진;윤동균;홍성욱;김성준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11-121
    • /
    • 2011
  •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ossible damage area of greenhouse by heavy snowfall event using terra MODIS snow cover area (SCA) and the ground measured snowfall data (GMSD). For the 4 heavy snowfall events of January 2001, March 2004, December 2005 and January 2010, the areas exceeding the design criteria of snowfall depth for greenhouse breaking were extracted by coupling the MODIS SCA and GMSD. The main damaged regions were estimated as Gangwon province in 2001, Chungbuk and part of Gyeongbuk province in 2004, Jeonbuk and Jeonnam province in 2005, and Gangwon and part of Gyeonggi province in 2010 respectively. Comparing with the investigated number of greenhouse damaged data, the estimated areas reflected the statistical data except 2001. The 2001 greenhouse damages were caused by the high wind speed (35.7m/sec) together with snowf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mproved if the design criteria of wind speed is added.

  • PDF

설악산국립공원 지역의 노루 서식지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Habitat-using of Siberian Roe Deer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 박용수;이우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10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research about Siberian roe deer (Capreolus pygargus), and to establish a conservation area into Seoraksan(Mt.) National Park, South Korea. We recorded Siberian roe deer field signs (bedding sites, feeding areas, feces and tracks etc), and habitat variables such as nearest distance to the watercourse, trails, slope, aspect, forest type and land cover etc. from Jan. 2006 to Dec. 2007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habitat characteristics of Siberian roe deer inhabited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preferred mixed forest consisted of aged forest and middle-aged forest on the gentle slope which was close to hydrosphere in the middle elevation area of altitude of 400~600m above sea level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The results indicated that Siberian roe deer appeared to prefer south slope or north slope during the snow season and west or east slope during the non-snow season. The area of most suitable habitat for Siberian roe deer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was $128.5km^2$ (32% of the total area) followed by $244.3km^2$ buffer area (62.2% of the total area), and $22.9km^2$ unsuitable habitat area (5.8% of the total area), which means environmentally unsuitable habitat for Siberian roe deer was rare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Thus, the area classified as major area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appeared to be most important for the protection of Siberian roe deer.

2004년 밀양의 이상더위의 특징과 종관적 원인 (Characteristics and Synoptic Causes on the Abnormal Heat Occurred at Miryang in 2004)

  • 변희룡;황호성;고혜영
    • 대기
    • /
    • 제16권3호
    • /
    • pp.187-201
    • /
    • 2006
  • During summer (JJA) of 2004, a record-high temperature in Korea appeared at Miryang ($38.5^{\circ}C$ on July 30). Moreover, Miryang showed the most frequent occurrence (25 days in JJA) of the daily highest temperature among observational sites in Korea. Based on meteorological analysis, it is found that this phenomenon is caused by neither the global warming effect nor the urban climate effect. It is caused by the mesoscale and synoptic and/or global scale atmospheric circulations, as evidenced by several factors described below. Firstly, the hottest areas have normally occurred not at a point but over an area, particularly along an axis connecting Sancheong and Daegu. But in 2004, this axis has moved southward and locates over Namhae-Miryang due to northerlies that were induced by the heating effect related to the low snow-cover on the Tibet Plateau. Secondly, although the maximum temperature was the highest among observational sites in Korea, the daily mean temperature and the number of nights with air temperature over $25^{\circ}C$ were not the highest at Miryang. Thirdly, the downdraft induced by the second circulation of typhoon and abnormal development of the North-Pacific High were found to have exerted an important role.

Production of clothes for beach volleyball players: Safe against ultraviolet radiation damage

  • He Hua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2권6호
    • /
    • pp.627-637
    • /
    • 2023
  • Volleyball is an international sport with many fans. This sport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schools and clubs. Volleyball is suitable for all age groups and can be used in different environments. It has many social and physical benefits. During the game provides special physical training for the players and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exciting games. Another type of volleyball is beach volleyball, a beach sport and one of the Olympic sports held on the sand with the same rules as volleyball. This sport is usually played in coastal areas, especially with wide sandy beaches. Because this sport is played in open spaces, the players stay in this space for a long time and are exposed to dangerous ultraviolet radiation. It is a wavelength of light in the range of electromagnetic waves with a wavelength between 10 and 400 nm. This wavelength is shorter than visible light and more protracted than X-ray. Ultraviolet (UV) rays are naturally present in sunlight and include about 10% of all waves emitted from the sun's surface. Prolonged exposure to ultraviolet light causes acute and chronic damage to the skin and vision and even destroys the entire immune system. Different covers of the earth's surface reflect different amounts of UV rays. For example, snow cover, sand, and seawater surface reflect this radiation. Therefore, the health of volleyball players is in danger due to this harmful radiation. This work aims to introduce a type of clothing made of nanoparticles that can repel ultraviolet rays and protect beach volleyball players whose health is at risk from this radiation.

VIIRS-DNB 데이터를 이용한 수도권 야간 빛 강도의 시·공간 패턴 분석 (Analysis of Spatio-Temporal Patterns of Nighttime Light Brightness of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VIIRS-DNB Data)

  • 주뢰;조대헌;이소영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7권2호
    • /
    • pp.19-37
    • /
    • 2017
  • VIIRS-DNB 데이터는 기존의 DMSP-OLS 데이터에 비해 야간에 발생하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데 더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VIIRS-DNB 데이터를 이용해 야간 빛의 분포 변화를 분석한 연구는 상당히 드물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수도권을 대상으로 2013~2016년간의 야간 빛의 분포 및 변화 패턴을 파악하고, 공간회귀모델을 통해 그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두 시점 간의 변화를 살펴봄은 물론 계절간 변화 양상 또한 함께 분석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3년과 2016년 두 시점 모두 야간 빛은 서울과, 인천, 그리고 서울과 인접한 경기도의 도시에 집중되어 인구밀도 및 주거지관련요인, 경제토지이용관련요인 등과의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2013년과 2016년을 비교해보면 야간 빛의 강도는 특히 서울에서 약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인구밀도의 변화 및 산업용 건물의 비중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울, 그리고 인천과 경기도의 주변 지역들은 야간 빛의 계절 변동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겨울(12월, 1월, 2월) 및 가을(10월, 11월)에 빛의 강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야간 빛의 계절간 변동은 적설면적 변화와 유의미하게 양적 상관관계 나타났고, 알베도의 변화와 유의미하게 음적 상관관계 나타났다.

국내 지면온도의 시공간적 변화 분석 (Analyzing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Ground Surface Temperature in Korea)

  • 구민호;송윤호;이준학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3호
    • /
    • pp.255-268
    • /
    • 2006
  • 58개 기상관측소에서 최근 22년간(1981-2002) 측정된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의 기온(SAT) 및 지면온도(GST)의 시공간적 변동 경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관측 자료로부터 각 관측소의 평균기온(MSAT)과 평균지면온도(MGST)를 계산하였으며,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MSAT와 MGST를 예측할 수 있는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회귀모형의 회귀변수는 관측소의 위도 및 고도이다. 회귀모형의 추정치와 실제 관측값의 결정계수($R^2$)는 각각 0,92와 0.94로 나타나 모형의 예측 정확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MGST는 지열펌프 시스템 설계의 주요 입력 변수이므로 최근 지열에너지자원 활용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변수이다. 따라서 제시된 회귀모형은 신뢰할만한 관측 자료가 없는 지역에서 MGST를 추정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SAT 자료에 대한 선헝회귀분석을 통해 지구온난화 및 도시화에 기인한 기온 상승의 장기 추세 변동성을 탐색하였다. 1개 관측소를 제외한 57개 관측소에서 $0.005{\sim}0.088^{\circ}C/yr$ 범위의 기온증가율을 가지는 추세 변동이 확인되었다. 또한 GST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로서 일사량, 지구복사, 강수량 및 적설량 자료를 분석하였다. GST는 주로 SAT 및 일사량에 의하여 결정되지만 강수 및 증발에 의한 토양의 열용량 변화, 적설에 의한 대기와 지표면 차단, 지구복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기의 조건 변화 등이 복합적인 변동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