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disaster prevention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9초

지능형 방재 시스템 시뮬레이션 환경 및 관리 어플리케이션 구현 (Design of Simulation Environment for Intelligent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Implementation of Management Application)

  • 조영호;강희조;성경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602-60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복잡도가 높은 건물 내에 산재되어 있는 비상등, 소화기 및 스프링클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자율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지능형 소방방재 시스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고, 장치의 현재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작동 유무를 확인하고 관리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시스템 환경은 센서노드가 부착된 시설물, 장치의 정보수집과 제어를 위한 관리서버, 그리고 관리서버와 정보를 주고받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실험결과 구현된 시스템은 각 시설물과 정보를 송수신하여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 하였으며,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서버와 시설물의 정보를 주고받고 제어 명령을 통해 장치가 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물지능통신을 이용한 차세대 재난안전통신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Next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in M2M Communication)

  • 강희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85-590
    • /
    • 2011
  • 지난 몇 년 동안 사물지능통신(Machine to Machine, M2M) 어플리케이션은 무선업계에서 뜨거운 화제가 되고 있다. 사물지능통신 어플리케이션이 (건강, 농업, 상업, 산업, 소매, 유틸리티 등) 다양한 용도(스마트 홈, 스마트 촉광/전기계량기, 차량관리, 모바일 인력, 자동차보험, 자동판매기 등)에 대한 많은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스마트 계량 어플리케이션 또는 스마트 그리드는 오늘날의 사물통신 시장에서 가장 큰 성장 잠재력을 나타낸다. 사물통신은 다양한 네트워크와 기기가 결합하여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의 통신망 기술로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센서 시스템들 사이에 표준화된 정보 교환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재난방재시스템에 관한 산업간 융합, 재난정보통신에 필요한 요소기술 및 응용에 대하여 연구한다.

스마트 환경에서의 실시간 재난 안전 관리 솔루션 설계 (Design of Real-tim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olution in a Smart Environment)

  • 서쌍희;김봉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31-36
    • /
    • 2020
  • 최근 들어, 대규모의 피해를 동반하는 각종 재난, 사고 등이 증가하고 있다. 재난은 불확실성을 지닌 사고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 재산보호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다양한 재난에 대한 예방, 대응, 복구 등의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 사고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을 위해 스마트 환경에서의 실시간 재난 안전 관리 솔루션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상황실과 유관기관, 전문가 등에게 1:1 또는 1:N 상황 전파를 수행하여 다자간 정보 공유 및 소통으로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구성하였다. 즉, 실시간·다자간 HD 영상 송출, 모바일 형식의 보고서 관리, 음성·문자 상황 전파, 위치정보 공유, 녹화 및 이력관리, 보안 등의 기능을 적용한 솔루션을 설계하였다.

드론 기반 스마트 방재 방안 연구 (Drone-based smart quarantine performance research)

  • 유순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37-44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드론 기반 스마트 방역 연구로서 드론을 방재 분야에 활용을 통한 대응방안과 기대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현행 방재업무의 문제점에 대한 검토와 이에 따른 대응안을 환경적, 시장적, 기술적 접근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환경적 측면에서 드론 기반 관제를 활용한 방재업무의 활용 효과는 산림, 조류인플루엔자, 가축, 시설지역, 모기 유충, 해충 등 광범위한 활용과 AI 및 콜레라 등 각종 방역업무 단순화 및 효과적 방역체계 제공 할 수 있다. 둘째, 시장적 측면에서 방역방법의 신기술 도입을 통한 국내 표준화 드론을 활용한 소독방역 임무 활용에 따른 축산·가축 방역 관련 법령, 행정규칙의 기준마련, 관련 산업의 동반성장과 신시장 발굴, 가축 질병 방역에 투입되는 연간 예산 절감의 효과를 가져온다. 셋째, 기술적 측면은 (1) 새로운 가축 질병 방역형태인 다중드론 활용 소독 방역의 현장적용, (2) 드론 산업 소프트웨어 분야의 혁신, (3) 다양한 시장에 적용 가능한 드론 관제/제어 통합시스템으로 산업 다변화, (4) 빅데이터 드론 이동로 3차원 공간정보 분석 정밀 드론 교통정보제공으로 안전성 높은 비행 보장, (5) 다수의 드론 동시 자동 임무 비행이 가능하여 저비용 고효율 시스템 보급 실현, (6) 고도의 정밀 비행기술 불필요에 따른 분야별 드론 이용자 증가로 고찰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 조사와 전문가의 의견을 기반으로 작성되어 향후 연구 분야는 드론 기반 서비스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기반으로 그 효과에 대해 입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드론을 방재업무에 적극적 활용 지원 또는 이와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는데 이바지 한다.

스마트 재난관리 영상감시시스템과 적용 (Video Surveillance System for Smart Management Disaster and Applications)

  • 강희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234-1240
    • /
    • 2011
  • 최근 여러 분야에 걸쳐 기존의 감시시스템은 많은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종 사고 예방 및 안전 운행에 도움을 주고, 위험 사항을 외부로 연계하거나 관리자에게 알려주며, 실시간 분석 및 파악이 가능한 지능형 영상감시시스템의 구성, 기술요소, 요구 기능과 이의 응용과 그 적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재난관리 원격 모니터링용 오픈소스 하드웨어 모듈 응용 (Open-Source Hardware Module Application for Remote Monitoring of Disaster Prevention)

  • 진경찬;이은주;이성호
    • 센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99-305
    • /
    • 2015
  • Since the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droughts, heat wave and cold wave are increasing, the need for risk managemen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damage with utilizing IT technology. Also, the monitoring services of disaster response type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Recently, the open source hardware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or, or the monitoring studies have been carried. In this paper, by analyzing a low-cost open source hardware platform such as Beagle board, we examine the utilization of the hardware-based module for sensor monitoring.

The needs for advanced sensor technologies in risk assessment of civil infrastructures

  • Fujino, Yozo;Siringoringo, Dionysius M.;Abe, Masato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5권2호
    • /
    • pp.173-191
    • /
    • 2009
  • Civil infrastructures are always subjected to various types of hazard and deterioration. These conditions require systematic efforts to assess the exposure and vulnerability of infrastructure, as well as producing strategic countermeasures to reduce the risks. This paper describes the needs for and concept of advanced sensor technologies for risk assessment of civil infrastructure in Japan. Backgrounds of the infrastructure problems such as natural disasters, difficult environment, limited resource for maintenance, and increasing requirement for safety are discussed. The paper presents a concept of risk assessment, which is defined as a combination of hazard and structural vulnerability assessment. An overview of current practices and research activities toward implementing the concept is presented. This includes implementation of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systems for environment and natural disaster prevention, improvement of stock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structural failure.

Combustible Gas and Visible Distance by Sprinkler Head for Safety of Gymnasium Workers

  • Ahn, Jae-Cheon;Kong, Ha-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3호
    • /
    • pp.232-244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oxygen and visual distance by presence of sprinkler heads and their types in the event of a fire in an indoor gymnasium. Based on carbon monoxide and visual distance that affects human bodies enormously, first, if there is no sprinkler head, carbon monoxide will reach 0.4% within five seconds and visual distance rapidly shrank within five seconds. Seconds, in the event of standard sprinkler heads, carbon monoxide gradually increased from 30 seconds onwards and visual distance rapidly shrank after five seconds. Second, Third, if there are special sprinkler heads, carbon monoxide fluctuated after opening the head and visual distance became 5m or below from 15 seconds. Finally, in the event of early response sprinkler heads, carbon monoxide fluctuated up and down at 3 seconds due to falling water drops. Visual distance shrank up to 5m or below at 6 seconds. In the future, time for operation of each sprinkler head shall be analyzed.

Evacuation Safety Evaluation According to Slope of the School Ramps

  • Choi, Chang-Jun;Kong, Ha-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1호
    • /
    • pp.184-196
    • /
    • 2021
  • This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safety of evacu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SET according to the slope change of the ramp, which is a vertical evacuation route in case of fire in a high school building, Evacuation simulation was run the Pathfinder program changed the slope of the ramp to 10°, 15°, and 20° for each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it was analyzed that when the final RSET slope was 15°, 25.7 seconds were shorter than when 10°, and 4.2 seconds were shorter than when 20°. Male students also found that when the final RSET slope was 15°, 23.8 seconds were shorter than when 10°, and 5.4 seconds shorter than when 20°. It was analyzed that even if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increased and the evacuation simulation was executed, the safety of evacuation could be improved when the slope of the slope is 15° as the RSET when the slope of the slope is 15° is shorter than that of 10° and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