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t and silty sand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1초

The Characteristics of Hydrogeological Parameter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in the Nakdong River Delta of Busan City, Korea

  • Khakimov, Elyorbek;Chung, Sang Yong;Senapathi, Venkatramanan;Elzain, Hussam Eldin;Son, JooHyeong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2권3호
    • /
    • pp.27-41
    • /
    • 2017
  • This study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nterrelations of hydrogeological parameters such as hydraulic conductivity, dispersivity and effective porosity of unconsolidated sediments for providing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planning of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groundwater quality in the Nakdong River Delta of Busan City, Korea. Groundwater quality in this area has been deteriorated due to seawater intrusion, agricultural fertilizer and pesticide, industrial wastewater, and contaminated river water. The physical properties (grain size distribution, sediment type, sorting) and aquifer parameters (hydraulic conductivity, effective porosity, longitudinal dispersivity) were determined from grain size analysis, laboratory permeability test and column tracer test. Among 36 samples, there were 18 Sand (S), 7 Gravelly Sand (gS), 5 Silty Sand (zS), 5 Muddy Sand (mS), and 1 Sandy Silt (sZ). Hydraulic conductivity was determined through a falling head test, and ranged from $9.2{\times}10^{-5}$ to $2.9{\times}10^{-2}cm/sec$ (0.08 to 25.6 m/day). From breakthrough curves, dispersivity was calculated to be 0.35~3.92 cm. Also, effective porosity and average linear velocity were obtained through the column tracer test, and their values were 0.04~0.46 and 1.06E-04~6.49E-02 cm/sec, respectively.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 among aquifer parameters of hydraulic conductivity, effective porosity and dispersivity. The relation between dispersiv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or effective porosity considered the sample length, because dispersivity was affected by experimental scale. The relations between dispersiv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or effective porosity were all in inverse proportion for all long and short samples. The reason was because dispersivity wa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groundwater velocity in case of steady hydrodynamic dispersion coefficient, and groundwater velocity was in proportion to the hydraulic conductivity or effective porosity. This study also elucidated that longitudinal dispersivity was dependent on the scale of column tracer test, and all hydrogeological parameters were low to high values due to the sand quantity of sediments. It is expected that the hydrogeological parameter data of sediments will be very useful for the planning of groundwater management and preservation in the Nakdong River Delta of Busan City, Korea.

표층퇴적물 분석을 통한 동계 안면도 바람아래해수욕장 주변의 퇴적환경 변화특성 (Characteristics Variation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 in Winter Season around the Baramarae Beach of Anmyeondo Using Surface Sediment Analysis)

  • 장동호;김장수;박노욱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27
    • /
    • 2010
  • 이 연구는 바람아래해수욕장 주변의 퇴적물 입도조성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여 퇴적환경 변화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2009년 겨울철 표층퇴적물은 크게 자갈, 모래, 역질사, 역니질사, 니질사, 실트질사, 모래질실트 등의 7개 퇴적상으로 구분되었다. 평균입도를 시계열 분석(2002~2009)한 결과, 간석지 퇴적물은 평균 입도가 세립해지고, 분급은 불량해졌다. 그러나 해빈지역은 동일시기에 퇴적물의 입도가 조립화 되었고 분급이 양호해졌다. 이러한 결과는 해빈과 간석지의 퇴적환경 변화가 서로 다른 경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할미섬을 중심으로 남서쪽 해빈지역은 외해로 열려 있어 상대적으로 고에너지 환경으로 세립질 퇴적물이 제거되는 환경에서 퇴적된 결과이다. 간석지 중 가장 안쪽의 만입지의 세립화는 왕복성 조류에 의해서 유입된 퇴적물이 정조시에 퇴적되었거나 지형적인 영향에 의한 에너지 감소로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남서쪽 외해 쪽의 간석지들의 세립화 원인은 규모가 큰 섬옷섬이 외해로부터 유입되는 파랑을 막아주어 상대적으로 저에너지 환경 하에 놓이면서 조석의 영향을 받으면서 세립질 퇴적물질들이 지속적으로 퇴적된 결과로 판단된다.

모래와 실트의 혼합층에서 순간충격시험에 의한 지하수위 강하구역의 공극체적 산정 (The Pore Volume of Groundwater Level Drawdown Zone Through Slug/Bail Tests in Sand and Silt Soils)

  • 김태영;강동환;정상용;양성일;이민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4호
    • /
    • pp.1-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모래층(sbt-1공), 실트질 모래층(sbt-2공) 및 모래와 실트질 모래의 혼합층(sbt-3공)에서 순간충격시험이 수행되었다. 그리고, 현장시험에 의해 산정된 수리전도도와 비저류계수를 이용하여 회수시험 시 지하수위 강하구역의 공극체적을 산정하였다. 순간충격시험의 해석은 KGS 모델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주입시험과 회수시험 시 평균수리전도도는 sbt-1공 $6.65{\times}10^{-5}$m/sec, sbt-2공 $6.33{\times}10^{-6}$m/sec, sbt-3공 $3.72{\times}10^{-5}$m/sec이며, 평균비저류계수는 sbt-1공 0.0225, sbt-2공 0.0177, sbt-3공 0.0259로 산정되었다. 투수량계수, 저류계수, 시험시간 및 시험공 제원을 이용하여 무차원 시간과 무차원 우물저류계수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Cooper 등(1967)이 제시한 변수 ${\alpha}$${\beta}$를 이용하여 무차원 수두강하량이 선정되었다. 산정된 무차원 시간, 무차원 우물저류계수 및 무차원 수두강하량을 이용하여 순간충격시험 시의 영향반경이 산정되었다. 주입시험과 회수시험 시 평균영향반경은 sbt-1공 1.377 m, sbt-2공 1.253 m, sbt-3공 1.558 m로 산정되었다. 그리고, 회수시험 시 더미 회수에 의한 지하수위 강하구역의 공극체적은 sbt-1공 $145,636cm^3$, sbt-2공 $71,561cm^3$, sbt-3공 $100,418cm^3$로 산정되었으며, 시험공의 부피를 제외한 지하수위 강하구의 공극체적은 sbt-1공 $145,410cm^3$, sbt-2공 $71,353cm^3$, sbt-3공 $100,192cm^3$이었다.

충적점토의 토질공학적 제성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Alluvial Clays)

  • 류기송;김시원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05-4811
    • /
    • 1978
  • This paper deals with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results of the physical property tests and the mechanical property tests for estimating the mechanical indexes by the physical property test results. The soil samples were taken at changweon area, Gyeon-gsangnam-do, where the structures would be placed on the alluvial clay foundation. The outcom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Judging from casagrande's plasticity chart, it is considered that the almost all soil samples belong to inorganic silty clay with medium plasticity (clay 14∼62%, silt 36∼73%, sand 1∼29%). The specific gravities are between 2.61 and 2.72, the wet unit weights 1.53g/㎤ and 1.93g/㎤, the liquid limits 28% and 51%, the plastic limits 15% and 31%, the plastic indexes 7% and 27%, the natural moisture contents 33% and 64%. 2. The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s are between 0.07kg/$\textrm{cm}^2$ and 0.77kg/$\textrm{cm}^2$, the cohesions 0.04kg/$\textrm{cm}^2$ and 0.37kg/$\textrm{cm}^2$, the internal friction angles 0$^{\circ}$ and 9$^{\circ}$. 3. The consolidation tests show that the initial void ratios are between 0.68 and 1.68, the precompression loads 0.27kg/$\textrm{cm}^2$ and 1.15kg/$\textrm{cm}^2$, the compression indexes 0.12 and 0.59. 4.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results of the physical property tests and the mechanical property tests for the soil samples are presented as follows: rt=0.011 (203-wn), Cc=0.025 (LL-27.2), Cc=0.46 (e0-0.58), Cc=0.013 (wn-23.2), C=0.021+qu/2.08, qu=2.268rt-3.635

  • PDF

Comparison of Growth, Yield and Yield Components among Rice Cultivars for Organic Farming in No-tillage Paddy

  • Son, Daniel;Lee, Young-Ha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6
    • /
    • 2010
  • Organic farming system in rice paddy is rapidly expanding in Korea. This study was to find out optimum japonica rice cultivars for organic farming. A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japonica rice cultivars under no-tillage paddy at Doo-ryangmyeon, Sacheon, Gyeongsangnam-do, Korea. The experimental soil was Juggog series (silty clay loam: 56.0% silt, 31.2% clay and 12.8% sand). In experiment, ten lines of Japanese rice cultivars were tested under no-tillage amended with rye (NTR) and no-tillage without cover crop treatment (NTNT). In addition, two Korean japonica rice cultivars as check cultivar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grain yield in NT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6.13 Mg $ha^{-1}$ for Kinuhikari, 5.30 Mg $ha^{-1}$ for Komekogane, 5.25 Mg $ha^{-1}$ for Kosihikari, 5.22 Mg $ha^{-1}$ for Mazizbare and 5.12 Mg $ha^{-1}$ for Akitakomachi compared to two Korean rice cultivars (4.57 Mg $ha^{-1}$ for Hwayoungbyeo and 4.00 Mg $ha^{-1}$ for Ilmibyeo) in that order. While, grain yield in NT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4.90 Mg $ha^{-1}$ for Akitakomachi 3.81 Mg $ha^{-1}$ for Hinohikari, 3.74 Mg $ha^{-1}$ for Umezkusi, 3.67 Mg $ha^{-1}$ for Kosihikari and 3.54 Mg $ha^{-1}$ for Dondokuri compared to 3.02 Mg $ha^{-1}$ for Ilmibyeo and 2.36 Mg $ha^{-1}$ for Hwayoungbyeo, respectively. The number of panicle per $m^2$ and grain number per panicle were indispensible for increasing the yield of rice. These results were able to find out optimum japonica rice cultivar Akitakomachi for organic farming in no-tillage paddy.

인천국제공항(IIA)의 다짐시험시공 결과 및 적용

  • 김영웅;김용철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5호
    • /
    • pp.235-247
    • /
    • 1998
  • 다가오는 21세기 동북아의 HUB공항이 될 인천국제공항은 인천광역시의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의 간석지 일대를 인근지역의 해사를 준설하여 매립함으로써 자리를 잡게 된다. 이 지역의 원지반은 연약한 점토질 실트 (ML) 또는 실트질 점토 (CL)이고, 준설매립지반은 SP-SM으로 분류되며, 입도가 불량(Cu>3)하여, 다짐이 용이하지 않을 것으로 조사결과(다짐지수=0.6~0.74)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지역과 같이 빈입도이고, 주 다짐대상층이 3m~5m로 분포하고 있어 준설매립토의 개량에 대하여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공법을 제시하기 위하여는 시험시공이 필수적이다. 이에 국내외의 학술자료, 시공사례등의 자료를 통하여 적용가능한 4가지의 공법을 선정하여 시험시공을 실시하고, 정확한 개량효과를 확인키 위한 지반조사 및 계측을 실시하여 본 공사적용을 위한 최적 다짐공법(유압식 햄머 다짐공법)을 선정하였다.

  • PDF

대불간척지 충적점토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Alluvial clay in the Daebul Reclaimed Tideland)

  • 김홍일;진병익;유기송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9-37
    • /
    • 1984
  • This study was made to find several significant relations among various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cone penetration resistance. The alluvial clay samples were taken at the Daebul Reclaimed Tideland in Samhomyeon, Yeongamgun, Jeonranam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Most samples belong to medium or high plastic, inorganic, silty clay(clay contents;32-64%, silt contents; 36-68%, sand contents; 0-3%). The specific gravities range from 2.70 to 2.73, the unit weights from 1.45 to 1. 75g/cm$^3$, the natural moisture contents from 45 to 77%, the liquid limits from 32 to 56%. It is certain that the foundation is weak because the natural moisture contents are much higher than the liquid limits. 2.It is known from the shear tests that the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hs vary from 0.09 to 0. 38kg/cm2, the cohesions from 0.05 to 0. 21kg/cm2, the internal friction angles from 0 to 3˚. 3.The consolidation tests show that the initial void ratios range from 1.25 to 2.28, the compression indeices from 0.43 to 0.84, the preconsolidation loads from 0.21 to 0.74kg/cm$^2$. 4.Cone penetration resistances are usually less than 5kg/cm$^2$ from ground surface to the depth of about 8m, and from S to l0kg/cm$^2$ in the layer below about 8m to hard layer. 5.The cohesion and cone penetration resistance are in proportion to the depth of soil layer. 6.The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cone penetration resistance for the alluvial clay samples are as follows; a) Wn=0.944C+ l2.733 (r=0.829) b) LL=0. 728Cy+6. 991 (r=0. 873) c) PI=0.659Cy-8.168 (r=0.860) d) rt=0. 0077(272-Wn) =2.092-0. 0077Wn (r=0. 859) e) 60=0. 035wn-0 447 (r=0. 893) f) C=0.380qw+0.031 (r=0.816) g) qu=0.0707qc+0.029 (r=0.810) h) C=0.018Z+0.055 (r=O.802) I) qc=0. 415Z+1, 438 (r=0. 943)

  • PDF

임도설계(林道設計)에의 응용(應用)을 위한 흙의 토질(土質) 역학적(力學的) 특성(特性) (A Soil Mechanical Study for a Practical Application to Forest Road Construction)

  • 김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166-177
    • /
    • 1995
  • 본 연구의 내용은 임도건설(林道建設) 예정지역(豫定地域)의 흙을 어떻게 토질(土質) 역학적(力學的)으로 실험하여 실제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가를 다루는 것이다. 이를 위해 8개 플롯에서 각 플롯 당 2 개씩 총 16개의 토양시료(土壤試料)를 채취하였다. 실험내용은 흙이 흩어지기 전후의 단위중량(單位重量), 함수량(含水量), 액성(液性) 및 소성한계(塑性限界), 다짐도 시험(試驗), 입도시험(粒度試驗) 등이다. 흩어지기(교란(攪亂)) 전후의 전체 단위중량(${\rho}_t$)은 각각 $1.69g/cm^3$$1.19g/cm^3$이었으며, 함수량(含水量)은 21.0%와 20.5%였다. 체분석과 비중계(比重計)에 의한 입도시험결과 얻은 균등계수(均等係數) U와 곡율계수(曲率係數) C는 각각 125와 0.42를 보이고 있어 전체적으로 좋은 입도분포는 아니었다. USCS에 의한 토양분류는 SM(실트질 모래 내지 모래실트 혼합토)으로서 성토재료(盛土材料)로서는 좋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다짐시험결과 자연상태의 단위중량(${\rho}$)과 최적(最適) 단위중량(單位重量)(${\rho}pr$)은 각각 $1.40{\pm}0.065g/cm^3$$1.88{\pm}0.049g/cm^3$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rho}pr$에 도달하기 위해 성토시(盛土時) 더 많은 다짐작업과 토량(土量)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 PDF

경기만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분포와 특성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of K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 이창복;유홍룡;박경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77-289
    • /
    • 1992
  • 서해 경기만은 대조차 환경으로 해안선을 따라 넓조간대 퇴적층이 발달하여 있다. 이 환경에 분포하는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그 공간적 분포를 연구하기 위하여 총 400개 가량의 퇴적물 시료가 채취, 분석 및 연구되었다. 경기만의 표층퇴적물 분포는 전반적 인 해안선방향 세립화의 특징을 나타내며, 이러한 분포경향은 조간대 상에서 다시 나 타나 결과적으로 조간대와 조하대를 주부하는 간조선 부근에서 입도분포의 불연속성이 나타난다. 조간대 퇴적물과 조하대 퇴적물은 평균입도와 왜도 등 조직특성이 차이를 보이며, 이는 두 환경 사이에 나타나는 유속 및 지형의 차이에 기인한 현상으로 해석 되었다. 퇴적물의 광물 및 화학성분은 퇴적환경에 따른 차이보다 일차적으로 입소에 의해 조절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점토광물 조성에서는 스멕타이트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특징을 보였으며, 코발트와 구리 및 니켈 등 일부 금속원소의 경우에서는 반월지 역 조간대 퇴적층에서 특히 농도가 높아 인근 공업 단지로부터 유입된 오염물질의 축 적이 진행됨을 시사하였다. 한편 조간대 환경은 인위적인 해안지형의 변화에 비교적 민감하게 대응하여 퇴적상이 빠르게 변화하며 앞으로 방조제의 축조나 조간대 간첩사 업등을 계획함에 있어 이러한 영향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해창만 벗굴, Ostrea denselamellosa 서식지의 환경특성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Conditions of the Flat Oyster, Ostrea denselamellosa in Haechang Bay, Korea)

  • 양문호;한창희;김형섭;최상덕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5-113
    • /
    • 1999
  • 벗굴을 양식산업에 적용하여 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이 종에 대한 자연서식지의 환경특성과 이매패의 자원량을 조사하였다. 벗굴 서식지 주변해역에서 수온은 5.5$^{\circ}C$-27.4$^{\circ}C$의 범위였고, 염분은 31.2-33.4 로 평균 32.3 였다. DO, COD, DIN 및 PO$_{4}$$^{3}$-P은 각각 평균 7.11 mg/L, 0.44 mg/L, 4.55 $\mu\textrm{g}$-at./L 및 0.36 $\mu\textrm{g}$-at./L이었다. 표층퇴적물의 입도조성은 사력질, 니사질, 사니질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퇴적물의 IL, COD 및 AVS는 각각 평균 2.6%, 13.70 mg/g dry 및 0.33 mg/g dry였다. 한편,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90.3(9월)-1,272.0 cell/ml(2월)이었으며, 우점종은 Skeletonema costatum, Paralia sulcata, Eucampia zodiacus, Chaetoceros curvicetus, Chaetoceros affinis, Chaetoceros debilis, Chaetoceros decipiens, Asterionella glacialis, Pseudo-nitzschia longissima, Pseudonitzschia seriata, Ceratium furca, Ceratium fusus 등이었다. 벗굴 서식지에서 출현한 조개류는 벗굴(Ostrea denselamellosa), 참굴(Crassostrea gigas), 바지락(Tapes philippinarum), 새고막(Scaphaca subcrenata), 피조개(Scaphaca broughtonii), 키조개(Atrina pectinata), 새조개(Fulvia mutica), 진주담치(Mytilus edulis), 살조개(Protothaca jedoensis), 갈색이랑조개(Megacardita ferruginosa) 등 모두 10종이었다. 그리고 이매패류의 평균 자원량은 21개체/$m^2$(479.14 g/$m^2$)이었고, 벗굴은 0.25 개체/$m^2$(231.25 g/$m^2$)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