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of K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경기만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분포와 특성

  • 이창복 (서울대학교 해양학과) ;
  • 유홍룡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지질연구부) ;
  • 박경수 (한국해양연구소 연안방재연구실)
  • Published : 1992.12.01

Abstract

Kyeonggi Bay, a macrotidal coastal embayment in the Yellow Sea coast of central korea, is fringed by vastly developed tidal flats. About 400 surface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of Kyeonggi Bay for a study of the sediment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surface sediment characteristics of this environment. The kyeonggi Bay surface sediment becomes progressively finer in the shoreward direction, from offshore sand to shoreward silty sand and sandy silt. This shoreward-fining trend is repeated again on the tidal flat and, as a consequence, a grain-size break occurs near the low-water line which separates the intertidal area from the subtidal one. The intertidal and subtidal sediments differ from each other in tex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mean grain size and skewness and this can be interpreted to result from differences in hydraulic energy and morphology between the two environments. The mineral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Kyeonggi Bay sediments are largely controlled by the sediment grain size. Smectite was nearly absent in the clay mineral assemblage of Kyeonggi Bay sediment. The contents of Co, Cu and Ni were high in the Banweol tidal flat, which suggests a continuous process of accumulation of these metals. the intertidal environment appears to respond rapidly to artificial coastal modifications, the effects of which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planning a dam construction or coastal reclamation.

서해 경기만은 대조차 환경으로 해안선을 따라 넓조간대 퇴적층이 발달하여 있다. 이 환경에 분포하는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그 공간적 분포를 연구하기 위하여 총 400개 가량의 퇴적물 시료가 채취, 분석 및 연구되었다. 경기만의 표층퇴적물 분포는 전반적 인 해안선방향 세립화의 특징을 나타내며, 이러한 분포경향은 조간대 상에서 다시 나 타나 결과적으로 조간대와 조하대를 주부하는 간조선 부근에서 입도분포의 불연속성이 나타난다. 조간대 퇴적물과 조하대 퇴적물은 평균입도와 왜도 등 조직특성이 차이를 보이며, 이는 두 환경 사이에 나타나는 유속 및 지형의 차이에 기인한 현상으로 해석 되었다. 퇴적물의 광물 및 화학성분은 퇴적환경에 따른 차이보다 일차적으로 입소에 의해 조절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점토광물 조성에서는 스멕타이트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특징을 보였으며, 코발트와 구리 및 니켈 등 일부 금속원소의 경우에서는 반월지 역 조간대 퇴적층에서 특히 농도가 높아 인근 공업 단지로부터 유입된 오염물질의 축 적이 진행됨을 시사하였다. 한편 조간대 환경은 인위적인 해안지형의 변화에 비교적 민감하게 대응하여 퇴적상이 빠르게 변화하며 앞으로 방조제의 축조나 조간대 간첩사 업등을 계획함에 있어 이러한 영향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