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ot Yield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Slurry Composting Biofiltration (SCB) Liquid Manure on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ies of Peach (Prunus persica L.)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Orchard

  • Park, Jin Myeon;Lee, Seong Eun;Lim, Tae Jun;Noh, Jae Se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30-535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SCB) liquid manure application on shoot growth, fruit qualitie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peach orchard. SCB liquid manure was fertigated ten times from April to October in SCB plot, whereas chemical fertilizer was treated two times as basal and additional fertilizers in control plot. The shoot growth, leaf nitrogen and potassium content, soil exchangeable K, fruit weight and yield were higher in SCB plot than in control. Soluble solid content and acidity, soil organic matter, soil available phosphate and soil exchangeable M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and the leaf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were lower in SCB plot than in control. In conclusion, fertigating SCB liquid manure in peach orchard has positive effects on fruit weight and yield, and it is suggested that periodical soil testing is needed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K accumulation in SCB liquid manure treated soil when the orchard is fertigated based on the soil nitrogen content.

Orchargrass 단파 , Red Clover 단파 및 Orchargrass-Red Clove 단순혼파 목초의 경쟁구조 해석 (Analysis of Competition Interaction in Orchardfrass , Red Clover Pure and Orchardfrass-Red Clover Mixed Swards)

  • 이형석;이인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9-284
    • /
    • 1995
  • The competition relationship between orchardgrass(Docflis glomerutu L. cv; Potomac) and red clover (Trifnlium prurense L. cv; Kenland) was investigated under the pure and mixed swards. Each species were grown in intra- 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in pots and fields for 2-years. Intra- 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were evaluated by calculating traditional methods; expected yield, relative yield total(RYT), aggressivity and compensation index(CI), and shoot and root dry matter production in the orchadgrass(ffi) pure, red clover(RC) pure and orchardgrdss(W)-red clover(RC) mixed swar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Compared to OG and RC pure swards, the shoot and root dry maaer(DM) yield of OG-RC mixed sward were higher and more deeply rooted under the soil than those of OG and RC pure sward. Also, the number of tillen per plant of OG in the OG-RC mixed sward was less than that of OG pure sward, but that of RC in the OGRC mixed sward was more than that of RC pure sward. OG-RC mixed sward were evaluated as a productive sward type compared to OG and RC pure swards in that actual yield was higher than expect yield and that relative yield total(RYT), and compensation index(C1) were high. As mentioned above, compared to intraspecific competition as a OG and RC pure sward, interspecific competition as a OG-RC mixed sward was evaluated to productive type under the ffi and RC species utilization

  • PDF

완전제어형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선형 지수 함수를 이용한 씀바귀의 생육 모델 (Growth Model of Sowthistle (Ixeris dentata Nakai) Using Expolinear Function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차미경;손정익;조영열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2호
    • /
    • pp.165-170
    • /
    • 2014
  • 본 연구는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선형 지수 함수를 이용하여 재식거리($15{\times}10$, $15{\times}15$, $15{\times}20$, $15{\times}25$cm)에 따른 씀바귀의 생육과 수량 모델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개체당 건물중은 25cm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10cm 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단위면적당 건물중으로 보면 15cm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25cm 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따라서 씀바귀 생육을 위한 적정 재식밀도와 재식거리는 각각 44 plants/$m^2$$15{\times}15$cm였다. 정식 후 일수에 따른 건물중의 변화 곡선은 선형 지수적인 형태를 보였으며, 재식거리에 따른 선형 지수 형태를 이용하여 모델식을 예측할 수 있었다. 개체당 건물중과 개체당 생체중과의 관계는 재식거리와는 무관하게 직선적인 관계를 보여, 건물중 예측으로 생체중도 예측할 수 있었다. 선형 지수 함수식에서 작물생장율과 상대생장율, lost time는 쌍곡선 형태를 보였다. 씀바귀의 광사용효율는 $4.3-6.1g{\cdot}MJ^{-1}$였다. 재식거리에 따른 씀바귀의 생육과 수량은 선형 지수 함수식으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선형 지수 함수는 완전제어형 식물 공장에서 씀바귀의 생육과 수량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함수였으며, 생육과 수량 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

토양수분 함량별 인삼의 근 및 지상부 생육 (Root and Top Growth of Panax ginseng at Various Soil Moisture Regime)

  • 목성균;손석용;박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5-120
    • /
    • 1981
  • 토양수분이 인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경Pot(1/2000cm)에 묘삼을 이식하여 토양수분함량별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장황, 근수량과 지상부 형질과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삼생육에 대한 토양의 적정수분 함량은 포장용수량의 65. 5%(절대수분 22.1%였고 생육이 정지되는 토양수분 함량은 포장용수량의 31.5%(절대수분 10.7%)였다. 2. 토양수분 함중이 적은 곳에서는 출아 및 전엽율이 상당히 지연되었으며 엽면적외 감소와 지상부 결주가 많아져 근수량이 현저히 감소되였다. 3. 근수량은 엽면적(r=0.91**) 경직경(r=0.76**) 경장(r=0.71**) 지상부생중(r=0.96**)간에 각각 정의 상기관계가 있었고 지상부 결주율(r=-0.77**) 간에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생근중과 수분함량(r=- 0.80**)간에 부의 상관관계가 있어 수분이 충분한 곳에서 자란 인삼은 조직이 치밀함을 나타내었다.

  • PDF

멀칭 방법이 삽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Affected by Mulching Methods)

  • 박정민;강진호;정은호;송근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6-230
    • /
    • 2004
  • 재배 생력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멀칭 방법이 삽주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여 최적 멀칭방법을 확립하고자 무멀칭, 볏짚, 투명비닐, 흑색비닐, 이들 비닐과 왕겨를 혼용한 멀칭이 삽주의 어린싹, 초기 및 후기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삽주의 어린싹 무게는 투명 비닐을 이용한 멀칭에서 가장 많았던 반면, 어린싹과 관련된 형질중에서는 엽수, 어린싹의 길이는 볏짚을 이용한 멀칭에서 가장 작았다. 2. 생장초기에는 볏짚을 이용한 멀칭시 엽수, 근수, 경수, 엽폭, 지상부 및 근경의 생체중이 가장 적었던 반면, 왕겨와 흑색비닐 혼합멀칭시 뿌리 관련 형질인 근수, 근경중 및 근중이 가장 많았다. 3. 생장후기에는 지온이 낮았던 생장초기의 멀칭효과가 고온기를 경과하면서 그 효과가 사라져 생장 및 형태적 형질에서는 멀칭처리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4. 단위면적당 수량과 상품 수량은 볏짚 단독멀칭과 왕겨와 흑색비닐의 혼합멀칭 에서 가장 높았다.

뽕나무의 온실재배에서 신초 생육 특성과 기상 요인 (Shoot Growth Characteristics and Climatic Factors in Greenhouse Cultivation of Mulberry)

  • 김호철;권태오;배종향;김태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4-78
    • /
    • 2012
  • 본 연구는 전북 부안에서 재배되고 있는 뽕나무를 대상으로 온실 재배를 통하여 조기 수확 및 안정적 수확량 확보가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신초 생육 특성과 이에 관계하는 기상 요인을 분석하였다. 발아 및 착색 시기는 온실의 뽕나무에서 노지에 비해 18~19일 정도 빨랐고, 발아시에서 착색시까지의 일수는 39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아 후 39일 동안 온실에서 뽕나무의 신초 길이, 신초당 착과수는 노지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마디수는 적었다. 생육 기간 동안 온실 내부의 주별 광량은 노지에 비해 0.3~0.8배 범위 수준이었고, 총 누적량은 절반수준으로 아주 적었다. 그러나 온실에서 주별 누적온도는 노지와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후반기로 가며 다소 상승하는 경향이었으며, 총 누적량도 노지에 1.1배로 거의 유사한 수준이었다. 생육 기간 동안 상대습도는 온실에서 53~94.5%로 노지에 비해 대부분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뽕나무는 광의 영향을 적게 받고 안정적인 수량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어 온실 재배 작목으로 적합하다.

Chlorophyll α fluorescence as an indicator of establishment of Zostera marina transplant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Li, Wen-Tao;Park, Jung-Im;Park, Sang-Rul;Zhang, Xiu-Mei;Lee, Kun-Seop
    • ALGAE
    • /
    • 제25권2호
    • /
    • pp.89-97
    • /
    • 2010
  • To test the feasibility of using chlorophyll ${\alpha}$ fluorescence to assess the establishment success of seagrass transplants,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eelgrass Zostera marina transplants were measured using a Diving-pulsed amplitude modulation fluorometer in Jindong Bay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Maximum quantum yield ($F_v/F_m$), photosynthetic efficiency ($\alpha$), saturating irradiance ($E_k$) and maximum electron transport rate ($ETR_{max}$) of transplants and reference plants in a nearby transplant site were measured using the fluorometer for 5 months. Additionally, shoot morphology, individual shoot weight and productivity of transplants and reference plants were also monitored. Shoot height, leaf weight and productivity of transpla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during the first two or three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compared to those of reference plants, and then increased to the levels of reference plants Characteristics of chlorophyll a fluorescence, including $F_v/F_m$, $\alpha$, $E_k$ and $ETR_{max}$ of transplants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initial period, but recovered slightly sooner than shoot morphology or leaf produ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fter transplantation, Z. marina transplant photosynthesis recovered faster than shoot morphology, biomass or productivity. Thus, chlorophyll a fluorescence can be used as an indicator for early assessment of the status of eelgrass transplants without destructive sampling.

Gibberellin 처리에 의한 Hop Shoot Apex의 전자현미경적인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Hop Shoot Apex by Gibberellin Treatment)

  • 임웅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2호
    • /
    • pp.95-98
    • /
    • 1974
  • This experiment was undertaken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effect of gibberellin on the growth and electron microscopic ultrastructure of hop(Humulus lupulus var. Hallertau) shoot apex.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growth of stem in the plots treated with GA(10, 25, and 50ppm) is more predominant than control. The leaves and cones of treated plots turn to pale green. 10ppm plot of GA treatment is the most effective in growth and yield than the others. 2) Under the GA-treated cond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nucleoplasmic index (NP) are higher than the control, and so nucleus, nucleolus, mitochondria, primary cell wall, middle lamella, and etc. tends to be larger than the control. 3) Mitochondria contained in the cell of shoot apex treated with concentration of 10ppm GA was seemed to increases in number and be larger in size than the control.

  • PDF

Responses of Mungbean Varieties to Rhizobium Inoculation in respect of Nodulation, Nitrogenase Activity, Dry Matter Yield, and Nitrogen Uptake

  • A.R.M. Solaiman;M.M. Haqu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355-360
    • /
    • 2003
  • The responses of six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varieties to Rhizobium inoculation on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s, nitrogenase activity of root nodule bacteria,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nitrogen content, and uptake by shoot were investigated. The mungbean varieties were BARI Mung-2, BARI Mung-3, BARI Mung-4, BARI Mung-5, BINA Moog-2, and BU Mung-1. Two-third seeds of each variety were inoculated with Rhizobium inoculant and the remaining one-third seeds were kept uninoculated. Rhizobium strains TAL 169 and TAL 441 were used for inoculation of seeds. Inoculation of seeds with Rhizobium strains significantly increased nodulation, nitrogenases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nitrogen content, and uptake by shoot of the crop compared to uninoculated control.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s, nitrogenase activity,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nitrogen content, and uptake by shoot of the crop. It was concluded that BARI Mung-4 in association with Rhizobium strain TAL 169 performed best in recording nodulation, nitrogenase activity, dry matter production, and nitrogen uptake by shoot of mungbean.

개화기 신초비틀기에 의한 '캠벨얼리' 포도의 착립 및 과실품질 (The Effect of Shoot Twist at Bloom on Fruitfulness and Fruit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vine)

  • 이재웅;송명규;박재성;이윤상;홍의연;한점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76
    • /
    • 2018
  • 본 연구는 수세가 강한 '캠벨얼리'를 시험재료로 착립률 증진을 위한 개화기 신초 비틀기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세가 강한 '캠벨얼리'의 신초 비틀기 처리에 따른 발아기 및 개화기는 처리별 차이가 없었으나 수확기는 3일 정도 지연되었다. 신초 비틀기 처리구에서 수확기가 지연된 것은 '캠벨얼리'의 과방중과 착립률이 개화전 7일과 개화시 모두 3절 비틀기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었다. 신초 비틀기에 의한 '캠벨얼리'의 가용성 고형물 및 산도는 처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량은 '개화 전 7일 3절 비틀기' 처리에서 12.1 kg/주으로 무처리에 비하여 1.6배 증가하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무처리에 비하여 수량이 많은 처리구에서 낮았으나 착색도인 Hunter 값은 처리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