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re house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4초

${\cdot}$${\cdot}$일 가족관계에 따른 전통주거공간 비교연구 (A Comparison of Traditional Living Space Based on Family System In Korea, China and Japen)

  • 김도연;오혜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3호
    • /
    • pp.169-183
    • /
    • 2005
  •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identif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which share similar social structure, an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n differences i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according to family relation in the three countries. For thes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residences, which are similar to one another in terns of time, class and economy and analyzed them using their floor plans and photograph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Knrea, China and Japan, all of which have family-centered social structure, separate their residential space from the external society and particularly women's space is placed inside men's space or in a secluded area.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residential space in Korea is the division of living spare between men and women. Space is allocated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order of families. In this way, the position or order of family members is reflected in the use of space. Characteristically in China based on the large-family system each family is given a space for independent life. Particularly as the relation among brothers is emphasized, space is allocated equally to all brothers but the status of a space is determined by the order of the residents. Residential space in Japan is organized to emphasize the absolute authority and status of the head of the family. As the space is planned focused on the family head's daily life and guest reception, the relation among other family members is ignored. That is, Japanese residence is a social space for the family head's guest reception, Chinese residence is a family-centered space rather than a social space, and Korean residence accommodates both space for family life and social space.

독일 공동주택 놀이터의 친환경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co-friendly Properties of Apartment Housing Playground in Germany)

  • 김자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87-98
    • /
    • 2015
  • As an apartment house as well as improving quality of life is becoming one of the brands, it is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the outer space with the facilities in the housing complex. In particular, the outdoor playground such as the community facilities that children and adults share as the activity areas for residents has received attention. However, actually children have not used many of Korean apartment housing playgrounds that were installed formally in the scrap area according to the housing plan by residential construction standard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layground in housing complex and reform it in order to make the eco-friendly play space in which children can play safely and h healthily. As an alternative, we analyzed the eco-friendly properties of the playgrounds installed in the eco-friendly housing complex in Germany and derived the main planning elements of eco-friendly playground. In the observational survey of the 10 playgrounds in 9 housing complexes in 5 regions in Germany, we evaluated the environment-friendliness of these playgrounds in the 8 fields(location and placement, ecological environment, play space, play equipment and facilities, additional facilities, materials and resources, energy saving, environmental load reduction) according to the levels(suitable, partial reflection, unsuitable, non-reflection) of reflection of eco-friendly planning factor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about the reflection of eco-friendly planning factors. In terms of "suitable": location and placement(88.8%), play equipment and facilities(73.5%), additional facilities(60.6%), environmental load reduction(54%), and ecological environment(50%) were higher than others. In terms of "unsuitable": there was nothing. In terms of "non-reflection": energy saving(95%), additional facilities(32.2%), and materials and resources(30.9%) were in order.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planning indicators to be considered first and the planning factors that should be complemented and improved in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ing playground in future.

인터넷 정보가전을 위한 통합 홈 서버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Home Sever For Internet Appliance)

  • 전병찬;이근왕;김윤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104-1113
    • /
    • 2007
  • 최근 초고속 네트워크 인프라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PDA, 핸드폰 등 무선 단말의 사용이 증대됨에 따라 이들 유 무선 망을 통합하고 연동하는 다양한 응용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가전기기들이 디지털화 되고 네트워크로 연동됨으로써 인터넷 정보가전기기로 진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기기들을 댁내에서 이더넷, 전력선, 전화선 및 IEEE1394로 연결함으로써 기기들 상호 간에 데이터 전송과 공유를 가능케 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홈 네트워크의 구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홈 네트워크와 초고속 네트워크 인프라를 연동하여 인터넷상에서 정보가전기기들을 제어하고 모니터링 하는 인터넷 정보가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으로 유 무선 통신망을 결합하여 댁내 외에서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 정보가전기기들에 접근하고 제어하는 무선 통합 홈 서버를 설계 구축한다. 또한 정보가전기기 시뮬레이터를 만들어 실제 동작을 테스트해 본다.

  • PDF

커뮤니티 가든 조성을 위한 실험 연구 - 사하 장애인복지관 옥상을 대상으로 - (A Study on Experimental Construction of Community Garden - A Case Study on Rooftop of SAHA Disabled Welfare House -)

  • 김승환;윤성융;차민준;유연서;조지영;김윤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4-3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가든의 다양한 국내외 사례 및 선진 연구동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커뮤니티 가든의 개념에 대해서 참가자그룹이 주체적으로 운영해 나가면서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할 수 있는 커뮤니티의 장의 확보,지역을 활성화해 나가는 새로운 형태의 도시녹지 확보방안, 도시재생운동의 의미로서 정의해 보았다. 나아가 열악한 복지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험적으로 시도하여 조성한 장애인복지관 옥상의 커뮤니티 가든 사례지를 대상으로 하여 이의 계획 및 공사과정, 파트너십 참여, 사업비용 분담 등의 과정을 고찰하였다. 본 실험적 조성사업의 예산확보를 비롯한 전 과정은 부산그린트러스트와 100만평문화공원조성범시민협의회가 주관 하였다. 공동모금회를 통한 스탠다드챠타드 SC제일은행의 50%의 기금분담과 자원봉사의 참여, 그리고 부산시와 사하구의 행정적 지원, 그 외에 다양한 파트너십에 의한 참여의 시도 및 역할 분담은 커뮤니티 가든 실험적 조성의 핵심이 되었다. 조성된 커뮤니티 가든의 공간은 장애인복지관 이용자들의 먹거리생산, 도시농업체험 프로그램에의 참여,원예치료, 커뮤니티의 장과 문화공간의 제공이란 점에서 성과가 있었다. 나아가 옥상형 커뮤니티 가든은 이동식과 고정식 플랜터를 조합 응용한 저비용형 옥상커뮤니티 가든의 개발이란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복지관의 옥상을 활용한 실험적인 커뮤니티 가든 조성사례는 도시환경의 개선, 커뮤니티 장의 확보, 도시재생 및 도시녹지의 확보 측면에서도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앞으로 커뮤니티 가든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위험가족 선별을 위한 위험요인 분석 (The factors to identify high risk family)

  • 방숙명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51-361
    • /
    • 1995
  •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critical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a family assessment tool to screen high risk family. This study used a conceptual framework of family diagnosis developed by Eui-sook Kim's (1993) and analyzed risk factors to identify the high risk family. As employing a explorative and methodological study design, this study has four stages. 1. In the first stage, 34 family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by doing intensive literature review on conceptual framework of family diagnoses. 2. In the second stage, above risk factors were tested for content validity by consultation with 29 persons in community health nursing, nursing education, family theory, and social work. 3. In the third stage, existing survey data was used for actual application of the identified risk factors. The survey data used for this purpose was previously collected for the community diagnosis in a region of Seoul. At the final stage,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high risk and low risk families, initially identified 34 risk factors decreased to 25 risk factors. Among 34 risk factors, six factors did not agree with content of questionnaries sand two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in differentiating the high risk family Also, two risk factors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themselves, so only one of those two factors was chosen. As a result, twenty-five risk factors chosen to identify the high risk family are following ; 1. A single parent family due to divorce or death of a partner, or unweded single mother 2. A family with an unrelated household members 3. A family with a working mother with a young child 4. A family with no regular income 5. A family with no rule in family or too strict rules 6. A family with little or no support from other lam-ily members 7. A family with little or no support from friends or relatives 8. A family with little or no time to share with each other 9. A family with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diabetus, cancer 10. A family with a sick person 11. A family with a mentally ill person 12. A family with a disabled person 13. A family with an alcoholic person 14. A family with a excessive smoker who smokes more than 1 pack / day 15. A family with too much salt intake in their diet. 16. A family with inappropriate management skills for family health 17. A family with high utilization of drug store than hospital to solve the health problems of the family 18. A family with disharmony between husband and wife 19. A family with conflicts among the family members 20. A family with unequal division of labor among family members 21. An authoritative family structure 22. A socially isolated family 23. The location of house is not residential area 24. A family with high risk of accidents 25. The drinking water and sewage systems are not hygienic. The main im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clinical use. The high risk factors can be used to identify the high risk family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use of high risk factors woule contribute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of family diagnosis in Korea and the list of risk factors need to be revised continuously.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develop an index of weight of each risk factor and to validate the risk factors.

  • PDF

중국 주요 50개 도시의 전자상거래 발전성과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n Development Performances of E-Commerce for 50 Major Cities in China)

  • 정동빈;왕강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67-74
    • /
    • 2016
  • Purpose - In this paper, the degree of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between pairs of 50 major cities in China can be shown on the basis of three evaluation variables(internet businessman index, internet shopping index and e-commerce development index). Dissimilarity distance matrix is used to analyze both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between each fifty city in China by calculating dissimilarity as distance. Higher value signifies higher degree of dissimilarity between two cities. Cluster analysis is exploited to classify 50 cities into a number of different groups such that similar cities are placed in the same group. In addition, multidimensional scaling(MDS) technique can obtain visual representation for exploring the pattern of proximities among 50 major cities in China based on three development performance attribut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research is performed by the 2013 report provided with AliResearch in China(1/1/2013~11/30/2013) and utilized multivariate methods such as dissimilarity distance matrix, cluster analysis and MDS by using CLUSTER, KMEANS, PROXIMITIES and ALSCAL procedures in SPSS 21.0. Results - This research applies two types of cluster analysis and MDS on three development performances based on the 2013 report of Aliresearch.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grouping is possible by categorizing the types into four clusters which share similar characteristics. MDS is exploited to carry out positioning of both grouped locations of cluster and 50 major cities belonging to each cluster. Since all the values corresponding to Shenzhen, Guangzhou and Hangzhou(which belong to cluster 1 among 50 major cities) are very large, these cities are superior to other cities in all three evaluation attributes. Twelve cities(Beijing, ShangHai, Jinghua, ZhuHai, XiaMen, SuZhou, NanJing, DongWan, ZhangShan, JiaXing, NingBo and FoShan), which belong to cluster 3, are inferior to those of cluster 1 in terms of all three attributes, but they can be expected to be the next e-commerce revolution. The rest of major cities, in particular, which belong to cluster 4 are relatively inferior in all three attributes, so that this automatically evokes creative innovation, which leads to e-commerce development as a whole in China. In terms of internet businessman index, on the other hand, Tainan, Taizhong, and Gaoxiong(which belong to cluster 2) are situated superior to others. However, these three cities are inferior to others in an internet shopping index sense. The rest of major cities, in particular, which belong to cluster 4 are relatively inferior in all three evaluation attributes, so that this automatically evokes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which leads to e-commerce development as a whole in China.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to help e-governmental officers and companies make strategies in both Korea and China. This is expected to give some useful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the recent situation of e-commerce in China, by looking over development performances of 50 major cities. Therefore, we should develop marketing, branding and communication relevant to online Chinese consumers. One of these efforts will be incentives like loyalty points and coupons that can encourage consumers and building in-house logistics networks.

일본의 인터넷 쇼핑 실태에 관한 연구: 쇼핑동기, 지각위험, 혁신성을 중심으로 (Internet Shopping in Japan: Shopping motivation, Perceived Risks, and Innovativeness)

  • 박철;강유리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2권1호
    • /
    • pp.91-114
    • /
    • 2011
  • 일본 전체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2006년에 15조엔을 넘었고, 2009년에 B2C 인터넷 쇼핑 규모는 6조 5,700억엔을 넘는 등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일본의 대표적인 인터넷 쇼핑 업체로는 락쿠텐을 들 수 있다. 락쿠텐은 인터넷 쇼핑 시장에서 45%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고, 등록된 상점 수만 7만개가 넘는다. 사이트내의 과장 광고에 대한 규제 및 판매자에 대한 철저한 사전 통제로 소비자들의 높은 신뢰를 받고 있다. 일본 소비자들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수용과 동화가 빠른 편이고, 인터넷과 모바일 통신 사용률이 높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의 이웃이면서 큰 인터넷 쇼핑 시장이 있는 일본의 온라인 쇼핑 실태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즉, 인터넷 쇼핑 동기, 인터넷 쇼핑 지각 위험, 인터넷 쇼핑 혁신성 등에 따른 인터넷 쇼핑 이용의도, 만족도, 추천의도 등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해 살펴보았다. 총 464부 설문지에 대해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분산분석 등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이용의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고, 만족도는 주부가, 추천의도는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높았다. 또한 혁신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이용 빈도, 만족도, 추천의도, 지속 사용의도가 높았다. 인터넷 쇼핑 동기와 관련해서는 여성과 주부의 쾌락적 동기가 높았고,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경제적 동기가 높았다. 또한 혁신성이 높은 집단이 경제적, 편의적, 쾌락적, 사회적 인터넷 쇼핑 동기 모두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또한 학생일수록, 여성일수록,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인터넷 쇼핑 지각된 위험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성 정도가 낮은 집단이 역시 지각된 위험을 높게 평가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일본 전자상거래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나라 기업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구성을 위한 사용자 행태 분류 (User Behavior Classification for Contents Configuration of Life-logging Application)

  • 권지은;곽소정;임윤아;황민철
    • 감성과학
    • /
    • 제19권4호
    • /
    • pp.13-20
    • /
    • 2016
  • 최근 사용자들의 일상생활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기록하며 타인과의 공유까지 확장되고 있는 라이프로깅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폰의 발달로 애플리케이션에 기반한 라이프로깅 서비스가 대중화되면서 사용자 행태에 의해 서비스 콘텐츠가 제작되고 메뉴화되어 인포그래픽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라이프로깅 서비스의 콘텐츠 항목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행태를 추출하고 분류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첫째, 학술 서적과 논문,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 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라이프로깅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기존의 라이프로깅 관련 사용자 행태 기반 콘텐츠 항목을 살펴본다. 둘째, 라이프로깅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항목으로서 사용자 행태를 추출하고 분류 한다. 문헌 자료, 선행 논문 및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항목에서 사용자 행동 어휘를 수집한다. 수집된 어휘는 FGI(Focus Group Interview)와 설문을 통한 적합성 검정 분석에 의하여 라이프로깅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항목에 필요한 39개 어휘를 추출한다. 최종적으로 추출한 39개 어휘는 설문과 통계 분석 및 FGI를 통해 19개 사용자 행태 - '먹다', '집안일을 하다', '다이어트를 하다', '여행하다', '운동하다',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다', '촬영하다', '만나다', '감정을 느끼다', '말하다', '보살피다', '운전하다', '듣다', '온라인에 접속하다', '잠자다', '가다', '일하다', '배우다', '보다'-로 분류되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결과를 통하여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콘텐츠 항목 구성에 대한 활용과 한계점을 논할 것이다.

한국청소년의 성평등의식 실태와 일반적 가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urvey of Korean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Its Relationship with General Value)

  • 박수미
    • 한국인구학
    • /
    • 제31권3호
    • /
    • pp.85-106
    • /
    • 2008
  • 이 연구는 자라나는 미래세대인 청소년들의 성평등의식 실태를 살펴보고 청소년들의 성평등 의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연구내용은 첫째, 전국 대표성 있는 표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국사회 청소년들의 성평등의식 실태를 파악한다. 둘째, 청소년들의 일반적 가치 실태를 조사하여 청소년들의 성평등 의식 제고를 위한 단서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분석 자료는 2006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청소년가치관조사" 자료이며, 조사대상자는 전국 132개 학교에서 추출된 학생 11,240명이다. 분석 결과, 2006년 청소년들은 과거 청소년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성평등의식 수준이 높아졌으며, 특히 '가정내 공평한 가사분담'에 대한 청소년들의 지지 정도는 과거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그러나 청소년 가치관 조사 결과 우려되는 부분은 성평등 의식 등 일반적인 태도 항목에서 남녀간 성별지체 현상이 매우 뚜렷하다는 점이다. 여학생의 성평등 의식이 남학생보다 훨씬 높을 뿐만 아니라, 차별감수성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보편주의 가치관', '자기 성취 가치관'도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다. 이에 비해 남학생은 차별적 태도와 연결되는 '권력 가치'적 성향이 뚜렷하다. 따라서 학교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매체의 교육내용에 의식의 다양한 수준에서의 성별격차를 완화하는 내용이 중점적으로 다뤄져야 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전과정평가기법을 활용한 폐전선 재자원화 공정의 환경성 평가 (Environmental Analysis of Waste Cable Recycling Process using a Life Cycle Assessment Method)

  • 장미선;서효수;박희원;황용우;강홍윤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1권1호
    • /
    • pp.37-45
    • /
    • 2022
  • 전기·전자·통신 산업의 발전은 총 에너지 소비에서 전력이 차지하는 비중을 증가시켰다. 2021년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개발·이용·보급촉진법」의 시행으로, 신재생에너지의 의무공급비율이 확대될 전망이며, 해당 산업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의 교체 및 폐기단계에서 발생하는 폐전선의 양도 증가할 그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과정평가(LCA)기법을 통해 폐전선 재자원화 공정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폐전선 내 함유된 접착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미세먼지와 온실가스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가지 환경영향범주에 가중치를 부여한 결과, 해양생태독성(MAETP)과 인간독성(HTP)에서 가장 환경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영향범주의 주된 원인은 폐전선에 포함되는 접착제(Glue)와 이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척제의 성분인 헵탄(Heptane), 에탄올(Ethanol)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전선의 생산과정에서 접착제의 사용을 자제하고, 재자원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폐전선 세척액의 사용량 감축 또는 대체물질의 사용을 통해 환경부하를 감축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