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career

검색결과 540건 처리시간 0.024초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진로장애요인과 진로정체감 (Career obstacle factors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career choice type among paramedic students)

  • 박정미;한송이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95-105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career obstacle factors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career choice type among paramedic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34 paramedic students in C area from August 25 to September 3, 2015.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areer obstacle factors, career identity, and types of career choice. The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ANOVA, post hoc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 20.0. Results: Career obstacle factors and career identity of paramedic student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on motivation of university choice, major satisfaction, and job preference. A stable type of career choice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score for career obstacle factors and a higher score for career identity. Career identity had a strong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jor satisfaction and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obstacle factor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in variables affecting career identity were types of career choice, motivation of university choic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obstacle factors. The explanatory power was 58.0%.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a career integrity enhancement program can solve the career obstacle factors for paramedic students.

학제에 따른 진로인식, 간호사자질인식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Recognition of Future Career and Nurse'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Nursing School System)

  • 배두이;은영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07-218
    • /
    • 2014
  •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cognition of future career and nurse'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nursing school system. This study was based on cross sectional descriptive method. The data were analyzed by $x^2$-test, t-test, and ANOVA using PASW WIN 18.0 program. The data represented that students who were doing associated degrees or bachelor degrees, showed the similar level recognition of future career and nurse's characteristics. However they showed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he career where they could create and new things(t=2.933, p=.004) and working part time(t=2.328, p=.021). In regards to recognition of nurse's characteristics bachelor degrees students had higher professional ethics($4.59{\pm}.44$). This study propos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could be used for improving methodology of nursing education.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임상실습만족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n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 채민정;정효주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3-222
    • /
    • 2016
  • Objectives : This study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n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thods : Study participants were 454 nursing students with a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who were enrolled as members of two university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SPSS 19.0 program. Results : Satisfaction with maj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preparation. A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as found in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clusions :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should provide much effort and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curriculum and hands-on training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students' level and interests so that their outcomes can be connected to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시큐리티 요원의 근무경력에 따른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Customer Orientation by Service Career of Security Agents)

  • 김의영;이준우;조성진
    • 시큐리티연구
    • /
    • 제37호
    • /
    • pp.269-293
    • /
    • 2013
  • 시큐리티 산업의 질적 향상은 시급하다. 고객과 접촉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시큐리티 요원의 감정표현이 시큐리티 산업을 전반적으로 평가될 수 있거나 자신의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래서 고객 요구에 대한 감정조절이 무엇보다 필요한 직업군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시큐리티 요원들의 감정조절을 대표적으로 설명하는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시큐리티 요원의 근무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여 시큐리티 요원의 서비스 교육에 유효한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 및 충남 소재의 시큐리티 회사의 요원을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27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때 조사도구는 국내 외 선행연구를 기초로 재구성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시큐리티 요원의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시큐리티 요원의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고객지향성은 낮아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둘째, 시큐리티 요원의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근무경력이 차이를 보였다. 즉 시큐리티 요원의 근무경력이 낮을수록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고객의 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력이 낮은 시큐리티 요원들의 감정노동을 조절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신입사원의 감정노동은 근무환경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시큐리티 요원의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PDF

조리외식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율 및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 효과 (Effects of Culinary and Foodservice Major Selection Motive and Work Value on the Major Satisfaction,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 김남근;김종효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54-761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ulinary and foodservice major selection motive and work value on the major satisfaction,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ethods: Survey comprising total 53 questions including 8 for major selection motive, 8 for work value, 6 for major satisfaction, 20 for career search efficacy, 5 for career exploration was distributed to 400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or foodservic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ver. 21.0). Organization of concept and analy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ased on the advanced study and database is essential. Research model based on the theory and analysis of the extracted data was established; and subsequently, the proof 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were analysed. Result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only intrinsic work values among personal motivation and work values were significant. This is because personal motivation and intrinsic work values are related to subjects' aptitudes, interests, talents, and future professions when students choose their majors. Therefore, interest, abilities, achievement, high understanding, and satisfactory schooling are important factors. Conclusion: This study has newly expanded the research on career search behavior to include psychological factors and cognitive and attitudinal factors. We also determined competitive operations that enhanc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career search efficien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대학생의 진로장벽에 관한 연구 (D대학 치기공과 재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reer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Centering on students studying Dental Technology in D-College))

  • 이화식;배봉진;박명호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1-253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reer barriers of students studying dental technology in D-College. Methods: This study targeted 490 college students studying Dental Technology in D-College. The survey about career barriers on this study consisted of 45 questions and was scored with 5-points per question. The corrected data was analyzed by SAS V8 for Windows. Results: The difference analysis of career barriers shows that differences exist depending on gender(p<.01) and serving military service(p<.05). Especially, female students(2.69) and male students(2.65) who didn't serve the military are more susceptible to career barriers. In the sub factors of career barriers, differences exist depending on and in order of gender, serving military service, experience studying one more year to enter the college, day and night, the affiliation of highschool graduated from, and hometow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 factors of career barriers and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manifested 'Lack of self assurance'(0.84), 'Sense of physical inferiority'(0.76), 'Relationship with other important people'(0.73) and 'Lack of information on occupation' in order. Conclusion: In the factors affecting non-decision on the career, 'Lack of self assurance'(=0.2465) is the highest in terms of influence, followed by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0.1801) and 'Lack of information on occupation' (=0.1391).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 (Job Implementation of In-service Training on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Career Education Traini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조동헌;이형국;배성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0-208
    • /
    • 2019
  • 이 연구는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수 이수 3개월 후 시점에서 이수자의 현업적용도 사전-사후 설문조사, 성공사례기법(SCM), 기대회수효과(ROE)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2018년 7월 중앙교육연수원의 직무연수를 이수한 진로진학상담교사 1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현업적용도 조사 연구와 연수에 대한 질적 분석으로 수행되었다. 연수 이수자 136명 중 현업적용도 조사에 응답한 인원은 75명, 성공사례기법에 참여한 인원은 4명이다. 중앙교육연수원에서 2018년에 추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대상의 직무연수 현업적용도의 평균값은 5점 만점에 4.17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로 확인되었다. 성공사례기법은 성공 사례자와 실패 사례자를 인터뷰하여 분석하였다. 직무 적용에 따른 행동 변화는 기획자 역할이 가장 컸고 교수자 역할, 진로교육자 역할, 학습자 역할 순이었다. 또한, 사례 분석은 면담자들이 현업적용에 대한 동기, 역량, 환경적 측면에서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대회수효과 측면에서 긍정적 평가가 85.3%로 매우 높았고, 순 추천 고객지수가 .85로서 참가자들은 다시 연수 참여 의지를 보일 정도로 만족도가 높았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하여 추후 연구를 제언하면, 새로운 연수 방법과 추가적인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경력정체 및 분배공정성이 간호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주도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Career Plateau and Distributive Justice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ity)

  • 장보윤;김광점;박오원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3-65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career plateau phenomenon and distributive justice among hospital nurse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ity on these correlations. Methods: Survey data from 459 out of 500 hospital nurses at 9 hospital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SPSS 24.0 was used for conducting regression,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es. Results: Career plateau was posi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whereas distributive justice was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Proactivity strengthened the positive influence of career plateau on turnover intention. By contrast, proactivity alleviated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at career plateau and distributive justice are important antecedent factors of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Proactivity played a key moderating role between these antecedent factors and turnover inten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잠재창업자의 직업 성격 유형이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 외식.조리 전공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 (Influence of Career Aptitudes of Potential Businessmen on Their Determination to Start Business - Focused on the College Students of Food-service & Culinary Art Departments -)

  • 김동진;엄태성;변광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7-78
    • /
    • 2009
  • 창업에서 외식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잠재창업자에 대한 연구는 일반창업자와 같이 연구되어지며 연구 자체도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먼저, Holland(1997)의 직업 성격에 의거하여 현실적(realistic), 탐구적(investigative), 예술적(artistic), 사회적(social), 설득적(enterprising), 관습적(conventional)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분류에 따른 성격 유형 중 창업 의지에 어느 성격 유형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직업 성격 유형 중 창업 의지가 가장 높은 유형부터 나열하면, 설득적 유형>현실적 유형>사회적 유형>예술적 유형>탐구적 유형>관습적 유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Holland의 직업 성격분류와 대부분 일치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Holland의 직업 성격 분류에 의하면, 설득적 유형의 직업으로는 기업가, 정치가, 관리자 등을 들고 있고, 본 연구에서도 창업 의지가 가장 높게 나타난 유형이 설득적 유형이었다. 이는, 창업 교육에 직업 성격을 도입하여 연구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 것이라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 성격 유형과 창업 의지를 관련변수로 하였다. 다른 연구 변수, 즉 창업 교육과 관련한 연구, 창업성공 결정요인 등과 관련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특히, 성격 유형에 따른 각각의 성격 유형에 적합한 창업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즉, 설득적 유형의 경우는 어떠한 준비점이 필요한지, 관습적 유형의 경우는 어떠한 준비점이 필요한지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 PDF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elf-Esteem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 이주양;차석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42-55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진로탐색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진로탐색행동, 진로탐색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간 영향 관계를 살펴본 후 자아존중감과 진로탐색행동 간 관계에서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청남북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의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인 중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4개 요인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냈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면접효능감 1개 요인에만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진로탐색행동의 매체이용 직업탐색,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직업탐색 등 2개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직업탐색효능감과 관계구축효능감, 개인탐색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진로탐색행동 간 관계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