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deficit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5초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Standing-Balance in Stroke with Sensory Deficit)

  • 이성란;배성수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3-70
    • /
    • 201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VR) program on standing balance in stroke with sensory deficit. Methods :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VR group (n=28) or the control group (n=31) when study began. Both groups were conducted electricity therapy, exercise therapy 5 times per week during six weeks, and a group who have VR group 3 times per week during six weeks. Both groups assessed for standing balance before and after virtual reality program. Results : In standing balance, the virtual reality program which have sensory deficit in stroke group, open eyes from the center area of the body and center line significantly reduced the training period(p<.05). The virtual reality program to instantly move the weight through maximum voluntary safety limits to sensory deficit of virtual reality program(p<.05). Conclusion : Stroke patients with sensory deficit affects the recovery of the standing balance. In addition, virtual reality program was stroke patients with sensory deficit affects the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시지각 기술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nd Visual Perception Skill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ypical Children)

  • 주진옥;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3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과 시지각 기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지역적 환경이 동일한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소아정신과에서 ADHD로 진단받은 아동 25명과 초등학교 1, 2학년의 일반 아동 51명을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과 시지각 기술을 평가하였다.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 SP)을 사용하였고 시지각 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2; K-DTVP-2)를 사용하였다. 두 군 간의 감각처리능력과 시지각 기술의 차이는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감각프로파일(SP)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감각요인을 비교한 결과 감각예민을 제외한 8가지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K-DTVP-2의 모든 시지각 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K-DTVP-2의 하위 항목 표준점수를 비교한 결과 공간위치(p=.031), 도형-배경(p=.001), 시각 통합(p=.005), 눈-손 협응(p=.000), 따라 그리기(p=.044), 공간관계(p=.00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임상에서 ADHD 아동의 행동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감각처리능력과 시지각 기술이 중요하다는 근거가 되며 ADHD 아동의 평가, 교육 및 연구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 Case of Widespread Cavernous Malformation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ssociated with Acute Neurologic Deficit

  • Noh, Kyung Chul;Chung, Sung Eun;Lee, Dokyung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1권1호
    • /
    • pp.34-37
    • /
    • 2017
  • A 45-year-old female visited our clinic due to sudden right leg weakness and sensory loss. Brain and spinal cor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widespread cavernous malformations. Cavernous malformation in L1 spine area was accompanied by a subacute stage hematoma with perilesional edema. Sensory loss subsided after corticosteroid therapy. Usually, neurologic deficit by spinal cavernous malformation appears more chronically in the adults compared to children. Treatment options are difficult to establish in a case with multiple cavernous malformations. Identifying hemorrhagic lesions by extensive neuroimaging evaluation could be helpful to select the treatment target for cavernous malformation.

하지 허혈 유발에 따른 선형 운동 역치 변화 (Effect of Lower Limb Ischemia on Linear Motion Perception)

  • 이용우;박수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11호
    • /
    • pp.1185-1190
    • /
    • 2011
  • 말초 신경 병변 환자들에게 하지 체성감각의 저하는 균형 능력 저하와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균형 능력은 운동 결과를 측정하여 평가하여 왔다. 그러나 인체 움직임은 다양한 감각 신호들이 통합된 운동지각에 의해 유발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지 체성감각의 저하는 운동 지각 능력 또한 저하시킬 것이라는 가정하에,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허혈에 의한 하지 체성 감각 저하를 유도하였고, 이때의 피부감각 민감도 및 선형 운동 방향 지각 능력의 변화를 측정 하였다. 이 결과 발바닥 체성감각 저하 유도시에는 운동 지각 역시 저하되었다. 그러나 운동 결과에 해당하는 압력 중심은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운동 지각 측정이 체성 감각 저하를 조기 발견할 수 있는 평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본감각력개정판(JSI-2)에 의한 발달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감각처리능력 비교에 관한 예비연구 (Comparison of Japanese Sensory Inventory-2 Score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 Pilot Study)

  • 지석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
    • /
    • 2003
  • Objective : To describe the sensory-based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s reported on the JSI-2. Methods : The score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JSI-2 was completed by parents of 38 children with disability 3 through 6 years of age and 36 children without disability 3 through 6 years of age. Results : The score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for 6 of 8 factors, including vestibular, tactile, auditory, visual and oth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age or sex. Conclusion : From this study, it is found that children with disability have deficit in a variety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s measured by JSI-2.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plicate and develop these findings.

  • PDF

추가된 체성 감각에 의한 선형 운동 지각 변화 (Linear Motion Perception under Additional Somatosensation)

  • 이용우;박수경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78-686
    • /
    • 2011
  • When one sensor cannot provide information by sensory deficit or loss, the sensory information can be provided by substituting other sensors for the defected sensor. This sensory substation might be influence on the deteriorated motion perception that consists of multi-sensory information such as visual, vestibular and somatosensory information.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whether the additional sensation by sensory substitution could be integrated into the motion perception, we examined the effect of substituted postural sway sensation on the directional perception of body movement. Deteriorated motion perception by the reduced plantar sensation was enhanced under sensory substitution condition that provided the body sway information as the plantar vibratory stimulu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additional sensation might be integrated into and improve the motion perception.

감각통합치료에서 고유수용성 감각 활동에 관한 고찰 (The Review of Proprioceptive Activities i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 김진미;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1-6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efinition of proprioception, foundations and roles of neuroanatomy, and systemical review of proprioceptive activities i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Proprioception exists in muscle, ligaments, joints and skin and it plays important role in controling body movements and interacting with environment during child development. Proprioception interacting with tactile and vestibular systems contributes to the change of muscle tone, postural control, refinements of planning and praxis. Children who are deficit in proprioceptive processing would seek hypo-responsive proprioceptive input or avoid hyperactive one. Outcome of poor proprioceptive input would cause the problems of praxis and postural control. Because proprioception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body and limb it is important for development of body scheme and motor planning. It also influences the arousal and emotional ton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which provides rich proprioceptive activities will improve the level of arousal and enhance motor planning.

  • PDF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Test of Playfulness 신뢰도 연구 (A Reliability Study of the Test of Playfulnes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 이나핼;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
    • /
    • 2016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의 질적수준을 평가하는 놀이다움 평정척도(Test of Playfulness: ToP)의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G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2학년~3학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20명이다. 놀이다움 평정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측정자간 일치율과 Kappa계수로 제시하였고, 측정자간 신뢰도 분석은 급간내 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를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 놀이다움 평정척도의 각 항목간 측정자간 일치율은 75~95%이었다. 각 항목의 Kappa계수의 범위는 .45~1.00이었다. 각 요소에 대한 측정자간 신뢰도를 급간내 상관계수로 분석한 결과 내적동기는 .96, 통제지각은 .98, 현실감 부재는 .90, 참조체계는 .98, 총점은 .99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결론 : 연구결과를 통하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놀이다움 평정척도의 측정자간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하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임상적인 평가의 유용성을 제공하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놀이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