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 Generation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3초

X세대 남성의 패션스타일 유형과 특성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Styles of the Generation-X Man)

  • 홍윤정;김리라;김영인
    • 복식
    • /
    • 제65권1호
    • /
    • pp.150-163
    • /
    • 2015
  • Due to desire for more variation from male consumers within the men's fashion market in Korea, there has been an ongoing development of departmentalization of fashion styles. The Generation-X man, in particular, is the most active member of our current day society, and will be the principal agent in the senior market from here on forth. Thus, this study categorized their preferred fashion styles, and will seek to analyze the behaviors related to the pursuit of clothing of the Generation-X man.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s of the Q-method as well as the quantitative investigation of the SPSS 12.0 were used in conjunction as the method of study. Additionally, images and types resulting from the preceding first-year study entitled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Men's Fashion Images" were utilized as part of the surveys. As a result of the Q-method, which was used to derive the preferred fashion styles of the Generation-X man,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e classic suit preferring 'conservative class type', the polished, comfortable style preferring 'modern sophisticated type', and the adventure and variety seeking 'uninhibited individualistic style'. After analyz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lothing preference behaviors of these men, a total of seven cause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including: conservative indifference to fashion, others conscious pursuit of fashion, the aim to show off brand name products, high involvement in the aspect of design, pursuit of TPO, pursuit of self-image, and conformity to fashion. The elements that revealed differences in the behaviors in pursuing clothing within the preferred fashion style types of the Generation-X man included the conservative indifference to fashion, and others conscious pursuit of fashion, which therefore shows that rather than enjoying the fashion lifestyle, these men possess a more conservative disposition instead.

한중 50대와 20대의 소비가치 비교연구를 통한 제품 및 서비스 콘텐츠 개발 방향 탐색 (The Strategic Direction for Product and Service Content Development according to Generation Cohorts and Consumption Values : A comparison of Korea and China)

  • 권준현;한세미;김숙응;김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13
    • /
    • 2018
  • 전세계적인 고령화 현상 및 베이비붐세대의 고령층 진입에 따라 시니어 대상 비즈니스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요층에 대한 이해 부족 및 한정적인 내수시장 규모 등 때문에 국내 관련 산업의 성장이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내 및 해외 시니어에 대한 이해 제고와 이를 기반으로 한 제품 및 서비스 콘텐츠 전략 제시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소비가치 개념을 적용하여 연령대(20대 vs. 50대) 및 국가간(한국 vs. 중국) 행동을 탐색함으로써, 각 집단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소비가치를 베이비붐세대이자 예비시니어층인 50대 소비자를 중점으로 비교분석하고 이들을 위한 제품 및 서비스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령 및 국가간 소비가치 비교분석을 위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설문문항은 12개 소비가치의 하위차원인 총 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예비시니어층인 50대에 대한 이해 제고가 가능하며 이는 타겟에 적절한 콘텐츠 기획, 개발, 유통, 홍보 등의 전략 구축에 활용될 수 있다.

Analysis of Fake News in the 2017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 Go, Seon-gyu;Lee, Mi-ran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105-12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1) who created and distributed fake news, 2) the distribution channels of fake news, 3) who fake news has targeted, and 4) the effects on voting and the impact of fake news on Korean politics. In South Korea, fake news was mainly created by candidates or election campaigns. The reason is that in the wake of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uen Hye, all the political parties in Korea used fake news as a means of mobilizing supporters for each of their candidates or parties to gain an advantage in situations involving political divisions and confrontations between the pro-impeachment, progressive young generation and anti-impeachment, conservative senior generation. Voters' media usage patterns were polarized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SNS) media and television. Fake news was mostly received through these two media outlets. According to the spreading structure of fake news in Korea, the younger generation generally uses SNS posts intended for unspecified individuals, and the older generation uses closed SNS like KakaoTalk or Naver's BAND. In the end, it is typically characteristic of the older generation to spread fake news through existing offline human networks. In the 2017 presidential election, fake news has been confirmed to have the effect of mobilizing supporters for each political party.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an increase in voter turnout was confirmed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those in their 60s or older. Evidently, fake news influenced the election of Moon Jae-In. The influence of fake news is expected to grow further as ideological polarization and consequent political polarization continues to intensify in South Korea.

ESG와 기업가정신을 접목한 교육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초·중·고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中心)으로 (The Exploratory Research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Connecting ESG with Entrepreneurship: Focusing on the Education Operation Cases of Elementary and Junior·Senior High School)

  • 남승완;이종현;이창수;김경민;이선영;김승철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5호
    • /
    • pp.117-132
    • /
    • 2022
  • 지구 곳곳의 이상 기후로 인류는 막다른 골목에 다다르고 있다. 자연 앞에 인간은 한낱 무기력한 존재로서 이제야 겸손함을 배우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이유를 자연으로 돌리는 데는 무리가 있는데, 이는 환경에 대한 사랑과 애정을 쏟지 않은 당연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작금의 시점에서 인류가 할 수 있는 것은 지구를 더 사랑하고 아끼는 방법 밖에 없는데 대안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ESG의 실천이 작금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며 큰 숙제로 다가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년 이상의 초·중·고 현장에서 경험이 풍부한 현직 교사, 대학 교수, 교육 실무전문가 등을 통하여 'ESG 실천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형 학습 방식'을 개발하여 「ESG와 기업가정신의 접목」을 통하여 이를 실행하였다. 교육 실시 이전·이후로 학습효과를 분석한 결과, 초·중·고 모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초등학교 때부터 ESG에 관심을 가지고 '세계의 위기 극복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에 관한 고민을 토대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국민의 세대별 국내여행 방식 및 만족도 영향요인 (A Comparative Study of Domestic Travel Patterns and Determinant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by Generations)

  • 이미숙;박윤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7-166
    • /
    • 2020
  • 대한민국 국민의 해외여행 비율은 매년 증가 추세인데 반해, 국내여행 비율은 수년간 답보 상태에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다양한 국내 관광 활성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를 통한 국내관광 증진 효과는 제한적이다. 국내관광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여행자들별로 선호하는 여행 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이해하고, 이에 맞춤화된 여행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국민들의 세대별 여행 방식의 특징을 분석한 후, 각 세대별로 맞춤화된 여행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세대'란 같은 시대에 살면서, 비슷한 생애주기에 유사한 내/외부의 경험을 하기 때문에(김기연 등, 2003), 다른 세대와는 구별되는, 그 세대만의 관광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여행상품 구성의 관점에서 세대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즉, 여행 상품 구성 및 마케팅에 필요한 요소인, 여행정보 수집 방식 및 출처, 사전 예약 상품의 종류, 패키지 이용 여부, 여행 시기/기간 및 장소, 여행시 주요활동 그리고, 여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에 대한 세대 간 차이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는 한국 문화체육관광연구원에서 수집한 2017년 국민 여행 실태조사 데이터 16,713건이 활용되었으며, 데이터는 패널들의 세대에 따라서, 밀레니얼(19세~34세), X세대(35세~54세), 베이비부머(55세~64세), 시니어(65세 이상)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 세대 모두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문화유산이 풍부하며, 숙박 시설이 쾌적할 때, 여행만족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전체 패키지보다는 숙박, 차량 대여 등 개별 상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맛집 탐방 상품을 제공하는 것도 유효할 수 있을 것이다. 각 세대별로는, 밀레니얼은 여름철 성수기에 인기 방문지를 중심으로 체험 상품을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들을 위한 관광 안내 시설을 잘 마련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포털사이트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마케팅도 밀레니얼 세대에게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X세대는 자가용으로 여행하기 좋은 지역에,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체험형 여행상품이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에게는 교통만족도가 중요하며, 여름철 성수기에 인기 관광지로 여행을 많이 간다는 특징은 밀레니얼 세대와 유사하다. 베이비부머와 시니어 세대의 경우, 자연 감상 및 휴식, 쇼핑 등을 포함한 여행 상품을 구성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이며,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보다는 구전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겠다. 특히 시니어 세대의 경우, 봄가을을 중심으로, 당일 여행 패키지 상품을 구성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세대별 여행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화된 관광상품을 구성한다면, 궁극적으로 국내관광산업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차세대 사이버 인증 보안을 위한 알고리즘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lgorithm for Next Generation Cyber Certificate Security)

  • 이창조;김상복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69-7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이버 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인증서의 암호화 형태를 보완하고 개인의 암호사용 부작용과 그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사이버 인증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실제 온라인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그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수시로 변하는 개인암호 및 인증서를 사용함으로써 좀 더 보안이 유지되는 암호화 기법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특히 은행 및 온라인상에서 통용되고 있는 보안카드나 인증서를 관리함에 있어 기존의 DB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암호의 도용과 사이버 범죄로부터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사전차단 방어 메카니즘에 대해 시뮬레이션하고 있다.

  • PDF

한국 장수식당의 정성적 모델 연구 (Study on Korean Long-lasting Restaurant Model: Use of Qualitative Observation and Research Interview)

  • 김희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1-219
    • /
    • 2011
  • To examine the key success factors for long-lasting restaurants, we visited 10 restaurants with 30 or more than 30 years of tradition,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districts, to research these restaurant menus and customer characteristics by observation and interview.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outstanding feature noted was that each and every restaurant had its own simple and specialized menu. We found that this feature created a virtuous circle that reinforced itself through a positive feedback loop. The simple and specialized menu increased both the cooking efficiency and food quality while it reduced both food and labor costs, this enabled the customers to eat at an affordable price and have generous servings. This lead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s to the restaurant, which triggered word-of-mouth referral and expansion of their customer base. This in turn created higher operating profit margins that could be reinvested in the business. The secret recipes for cooking, invented by their founders, were passed 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ir customer base included customers of all ages from children to senior people. And their regular customers consisted of neighboring office workers and families traveling from a long distance. We hope that our findings on long-lasting restaurants, especially of the virtuous cycle created due to the simple and specialized menus with secret recipe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style long-lasting restaurant model.

장년층(長年層)의 은퇴 후 삶에 대한 지방정부의 정책대응 -50+센터의 역할 정립을 중심으로- (New Aging Support Policy in Local Government: Focusing on 50 Plus Center)

  • 정재한;김형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291-299
    • /
    • 2016
  • 본 연구는 새로운 노인층을 구성하는 장년층 세대에 부합할 수 있는 정책 대응 방안을 50+센터의 역할 정립을 중심으로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장년층 세대는 기존 노인층에 비해 사회 참여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종합복지관 등 기존 기관들은 해당 역할 수행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50+센터는 서울의 장년층 세대가 은퇴 이후 최초로 진입하는 공공영역의 기관으로 그들의 인생설계교육 및 사회참여 교육을 중심으로 역할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An Intelligent Auto Parking System for Vehicles

  • Razinkova, Anastasia;Cho, Hyun-Chan;Jeon, Hong-Tae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2권3호
    • /
    • pp.226-231
    • /
    • 2012
  • Autoparking assistant systems are a new and very promising area in automotive systems engineering. Since the traffic in modern cities becomes more intense, it is getting harder for a driver. Those systems are necessary for an inexperienced one to find a proper parking slot, or to park in a narrow parking slot without damaging his car or the vehicles around. The implementation of autoparking assistant systems may reduce drivers' stress and make parking generally more comfortable. In addition, such system can be extremely useful for senior or disabled people or for drivers with reduced mobility. The implementation of autoparking assistant systems may increase the safety of the parking, and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such systems is a highly-demanded task. We introduce an intelligent autopark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trajectory for parking using a fuzzy logic.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In first part we introduce trajectory generation method for parallel parking without collisions. Fuzzy-logic based trajectory generation algorithm is described in second part. Experimental results presented in the third part of the paper prov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공적연금의 사각지대 : 실태, 원인과 정책방안 (The Excluded from Public Pension : Problem, Cause and Policy Measures)

  • 석재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3권
    • /
    • pp.285-310
    • /
    • 2003
  • 국민연금제도 도입 11년만인 1999년에 전국민연금화를 위한 적용확대 과정이 마무리되면서, 이미 40년 역사를 가진 공적직역연금을 포함한 공적연금이 전국민 노령소득보장체계의 주축으로서 온전히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로부터 4년이 지난 현재, '전국민연금화'라는 슬로건에 걸맞지 않게 국민연금제도에 가입하여 보험료를 납부하면서 연금수급자격을 갖추어 나가는 경우가 국민연금 적용대상인구의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말하자면, 절반의 국민을 대상으로 공적연금제도가 운영되고 있을 뿐이고, 나머지 절반의 국민들은 공적연금의 사각지대에 놓여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적연금 사각지대의 규모와 특성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진단함으로써, 사각지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재 연금수급세대인 노령계층의 공적연금 사각지대 규모는 60세 이상 노령인구 대비 무려 86%에 이르고 있으며, 미래 연금수급세대인 근로연령계층의 공적연금 사각지대 규모도 18-59세 총인구 대비 61%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 연금수급세대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여성일 경우 사각지대에 노출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래 연금수급세대의 경우 연령별로는 18-29세 연령층에서, 성별로는 여성의 경우 사각지대에 놓여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 연금수급자 증심으로 공적연금보험료 납부여부를 가지고 공적연금 사각지대 결정요인을 분석해 보면,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취업상태가 무직 임시일용직 등 불안정할수록, 종사산업이 농림어업, 건설업, 도소매음식숙박업, 금융보험부동산업에 종사하는 경우 제조업 종사에 비하여, 종사직업이 단순노무직, 전문기술교육직, 판매서비스직, 생산직, 고위행정관리직에 종사하는 경우 일반사무직에 비하여 공적연금의 사각지대에 놓여질 확률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연금수급자인 노령계층의 공적연금 사각지대는 제도역사가 짧아 노령으로 공적연금 가입기회를 갖지 못한 경우가 많으므로, 공적연금 성숙단계까지 경로연금 등 타 공적소득보장제도의 보완적 역할을 강화함으로써 현 노령계층의 공적연금의 사각지대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정책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미래 연금수급자인 근로연계층의 공적연금 사각지대 개선은 노동시장 및 가족 등 경제 사회적 여건의 심대한 변화에 조응안 보다 근본적인 제도체계의 재편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현행 1소득자 1연금에서 1인 1연금 체계로의 전환과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한 시민권적 급여의 원리가 공적연금에 결합되어 공적연금의 기초보장적 성격의 강화가 이루어져야만, 비로소 공적연금이 보편적인 1차 노령소득보장의 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미래 연금수급자의 사각지대 문제가 궁극적으로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