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Styles of the Generation-X Man

X세대 남성의 패션스타일 유형과 특성

  • Hong, Yun Jung (Dept. of Textile Fashion Design, Hansei University) ;
  • Kim, Ri Ra (Dept. of Human Environment Design, Yonsei University) ;
  • Kim, Young In (Dept. of Human Environment Design, Yonsei University)
  • 홍윤정 (한세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학과) ;
  • 김리라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4.10.23
  • Accepted : 2014.12.30
  • Published : 2015.01.31

Abstract

Due to desire for more variation from male consumers within the men's fashion market in Korea, there has been an ongoing development of departmentalization of fashion styles. The Generation-X man, in particular, is the most active member of our current day society, and will be the principal agent in the senior market from here on forth. Thus, this study categorized their preferred fashion styles, and will seek to analyze the behaviors related to the pursuit of clothing of the Generation-X man.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s of the Q-method as well as the quantitative investigation of the SPSS 12.0 were used in conjunction as the method of study. Additionally, images and types resulting from the preceding first-year study entitled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Men's Fashion Images" were utilized as part of the surveys. As a result of the Q-method, which was used to derive the preferred fashion styles of the Generation-X man,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e classic suit preferring 'conservative class type', the polished, comfortable style preferring 'modern sophisticated type', and the adventure and variety seeking 'uninhibited individualistic style'. After analyz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lothing preference behaviors of these men, a total of seven cause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including: conservative indifference to fashion, others conscious pursuit of fashion, the aim to show off brand name products, high involvement in the aspect of design, pursuit of TPO, pursuit of self-image, and conformity to fashion. The elements that revealed differences in the behaviors in pursuing clothing within the preferred fashion style types of the Generation-X man included the conservative indifference to fashion, and others conscious pursuit of fashion, which therefore shows that rather than enjoying the fashion lifestyle, these men possess a more conservative disposition instead.

Keywords

References

  1. Kotler, P. (2010), 마켓3.0, 안진환 역, 서울: 타임비즈, pp. 20-21.
  2. 이지현 (2010), 20세기 한국 남성 성역할에 따른 남성복 디자인 변화 특성 연구, 복식, 60(8), p. 65
  3. 홍윤정 외 (2014), 현대 남성 패션 이미지의 유형 및 특성, 복식, 64(5), pp. 18-29. https://doi.org/10.7233/jksc.2014.64.5.018
  4. 위키피디아, "Generation_X", 자료 검색일 2014. 12. 16, http://en.wikipedia.org/wiki/Generation_X
  5. 김우성, 허은정 (2007),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10(4), p. 48.
  6. 김우성, 허은정 (2007),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10(4), pp. 79-97.
  7. 박재홍 (1995), 신세대의 일상적 의식과 하위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학, 29, pp. 651-683.
  8. 이진용 (1995), 신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마케팅전략, 마케팅, 317, pp. 38-41.
  9. 장윤정 (2001), X세대 라이프스타일 분석,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전인수, 최우원 (1996), X세대의 쇼핑 가치와 쇼핑 정보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상품학 연구, 15, pp. 199-219.
  11. 채서일 (1994), 신세대에 관한 라이프스타일 분석, 고려대 경영논총, 38, pp. 93-107.
  12. 함인희 (2002), 한국의 문화변동과 가치관: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와 세대 경험, 임희섭 외 편저, 서울: 나남, pp. 215-248.
  13. 김우성, 허은정 (2007),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10(4), pp. 31-53.
  14. 김우성, 허은정 (2007),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10(4), p. 93-107.
  15. 김희선 (1999), 남성복 패션 이미지 분류와 이미지별 텍스타일 소재특성에 관한 분석 연구: 1995년부터 2000년 남성복 트랜드 정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1), pp. 53-71
  16. 김윤경 (2005), 트렌드 분석을 통한 남성 패션 이미지연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5), pp.703-714.
  17. 박수연 (2012), 드라마 속에 나타난 남성 패션스타일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6(4), pp. 164-169.
  18. 이언영, 변미연, 이인성(2006), 현대 패션에 나타난 남성복 스타일 특성에 관한 연구: 메트로 섹슈얼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2), pp125-133.
  19. 박길순, 김서연 (2005), 남성 패션에 나타난 메트로섹슈얼 현상, 충남생활과학연구지, 18(-), pp. 30-40.
  20. 윤진아 (2008), 여성들이 선호하는 남성 패션스타일:20대 여성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9(4), pp.139-149.
  21. 김희연 (2012), 한국 중년 남성의 자기이미지와 패션스타일에 따른 취향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박사학위논문, pp. 87-98.
  22. 박소민 (2002), 남성 정장 캐주얼트렌드의 소비자선호도 및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류 상품 기획의 방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류환경학과 석사학위논문, pp.14-166.
  23. 신사임(2002),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남성 캐주얼웨어의 트렌드 선호도 분석 및 상품기획 방향의 모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류환경학과 석사학위논문, pp. 13-133.
  24. 정재훈, 황선정 (2014),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30대 남성들의 패션명품브랜드 태도와 구매행동에 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5(1), pp. 631-640.
  25. 김순은 (2007), Q 방법론과 사회과학, 부산: 금정, pp.5-246.
  26. 김희연 (2012), 한국 중년 남성의 자기이미지와 패션스타일에 따른 취향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박사학위논문, p. 50.

Cited by

  1. Impact of Female Consumer Self-Image on Pursued Fashion Style vol.21, pp.3, 2015, https://doi.org/10.12940/jfb.2017.21.3.29
  2. 꽃 이미지 남성복 패션 유형별 디자인 구성요소 분석 vol.23, pp.1, 2021, https://doi.org/10.30751/kfcda.2021.2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