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 Directed Learning Skills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3초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가관찰 방법의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assessment using Smartphone Video Recording on Essential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 김현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199-1207
    • /
    • 2018
  • 핵심기본간호술의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가관찰 방법의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핵심간호술기 수행능력, 수행자신감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비동성 대조군 사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P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54명, 대조군 51명이었다. 연구결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의 사전- 사후점수 차이에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1). 수혈간호, 수술전간호의 핵심간호술기 능력과 수행자신감, 실습 만족도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폰 동영상촬영을 활용한 자가평가 학습법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켜 술기의 정확성과 숙련성을 갖출 수 있는 동기부여에 효과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earning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 SUNG, Eunm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8권2호
    • /
    • pp.249-26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respondents showed gender differences in life- learning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To address those goal, the data set was analyzed that nationally collected from Korea Youth Competency Measurement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III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South Korea. 680 samples were used in the study that were 343 males and 337 females of university students. As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in the participants' gender. 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higher score th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All variables. Also, learning agility in life-learning competency was strongly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Thinking skills in life-learning competency was strong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 terms of learning strategy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some suggestions have been made for university students.

지역아동센터학생 대상 EBS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 사례 연구 (Case Study on self-directed learning of mathematics using EBS contents for students at Child care centers)

  • 박경은;이상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589-62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라는 경제적 빈곤과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층 아동 청소년의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EBS 콘텐츠의 활용이 저소득층 아동 청소년의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 능력을 함양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본다. EBS 동영상과 학습자의 수준에 맞춘 수준별 학습 자료를 이용한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에게 수학에 대한 적극적인 학습 태도를 갖게 해 주며, 수학 개념 형성을 용이하게 해 주며, 의사소통능력과 인격함양에 도움을 주며, 수준별 학습을 강화시켜 주고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고 스스로 객관적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본 연구의 과정과 내용 및 결과물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학습공동체 활동이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y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이순덕;김가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249-8261
    • /
    • 2015
  •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활동이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광주에 소재한 N대학교에서 자발적이고 자율적으로 학습공동체를 조직하여 운영한 147명의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8주 동안 진행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활동 전후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 여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공동체 활동 경험은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모든 대상자들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는 해석 능력과, 학습욕구를 진단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학습을 위한 자원들을 스스로 파악하는 학습계획 능력이 향상되었다. 학생주도형 맞춤식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를 통한 지속적인 핵심역량 향상을 제안하였다.

간호대학 신입생들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Freshmen Nursing Students)

  • 김윤민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0-197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which influence freshmen nursing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9 students by mean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measur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March 7th and 11th, 2010. Result: For problem solving ability categories, the level of problem discover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olution plan, problem definition, solution evaluation and solution implementati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nursing students wer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gender. Conclusion: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foundation,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comprised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self-directed skills for the improvement of nursing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It is also recommended that further studies be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comprehensive curriculum designs that allow for maximum accumulation of these proficiencies.

스마트 폰 동영상을 활용한 피드백 자율실습이 기본간호수기 수행능력, 수행자신감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directed Feedback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on Basic Nursing Skills,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 이슬기;신윤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83-292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verify effects of a self-directed feedback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on nursing students' basic nursing skills,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Methods: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study with a post-test only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wenty-nine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9 to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treatment was exchanging feedback on deficiencies through smartphone recorded videos of nursing practice process taken by peers during self-directed practice. Results: Basic nursing skills scores were higher for all item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suring vital signs" (t=-2.10, p=.039);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quarantine room and the management of waste materials" (t=-4.74, p<.001) "Gavage tube feeding" (t=-2.70, p=.009)]. Confidence in performance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after the complete practi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performance confidence (t=-3.07. p=.003). Learning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1.67, p=.100).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elf-directed feedback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can improve basic nursing skills. The significance is that it can help nursing students gain confidence in their nursing skills for the future through improvement of basic nursing skills and performance of quality care, thus providing patients with safer care.

플립러닝학습법(Flipped learning)이 응급구조과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 이영아;김효실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9-111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NCS) based physical assistant skills in the emergency medical technology(EMT) students. Methods: One-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was used. Flipped learning was carried out for 2 hours per week for 16 week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56 EMT students from March 3 to June 16, 2016.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18.0 program. Results: After completion of flipped learning, significant improvement was found in self-directed learning(t = 6.04, p < .001), academic achievement($3.25{\pm}.79$) and academic achievement((t = 6.41, p < .00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 Flipped learning is usefu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the EMT students.

온라인 멘토링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정서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nline Mentor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Emotional St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영식;김경리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239-245
    • /
    • 2021
  • 한국교육방송공사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4주간 실시한 학습 멘토링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학습 멘토링에 참여한 2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정서적 안정감의 변화를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정서적 안정감이 모두 향상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학습을 지도해준 멘토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원격 수업 상황에서 소외계층 학생들의 학습 격차를 줄이려면, EBS 학습 멘토링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멘토링 기간과 멘토링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사의 수도 크게 증가시켜야 한다.

  • PDF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임상실습 교육환경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 (Correlation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Confidence of Performance in Core Nursing Skills,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구윤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501-511
    • /
    • 2023
  • 본 연구는 G시에 소재하는 간호대학생 178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임상실습 교육환경 및 임상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9월 24일부터 10월 19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학습 3.36점,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3.42점, 임상실습 교육환경 3.20점, 임상수행능력 3.66이었다. 자기주도학습,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임상실습 교육환경과 임상수행능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사키기 위하여 핵심간호술 교육을 체계화하고, 유기적인 산학협력을 통하여 임상실습 교육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사교육이 학생의 인지·비인지 역량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자기주도 학습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on Cognitive and Noncognitive Skill Formation of Students: In Comparison with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 강창희;박윤수
    • 노동경제논집
    • /
    • 제38권4호
    • /
    • pp.31-56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사교육이 학생의 인지 역량(국어, 수학, 영어 학업성취도)과 비인지 역량(교우관계, 자존감, 창의적 성격, 목표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주도 학습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사교육은 학생의 인지 역량 발달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으나 학교 급이 올라가면서 그 효과가 하락하였고, 비인지 역량 측면에서는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반면, 자기주도 학습은 학생의 인지 비인지 역량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