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Education

검색결과 2,379건 처리시간 0.024초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초·중등 교사의 SW·AI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SW·AI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Using Text Mining)

  • 정미현;한옥영;김갑수;신승기;김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57-6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학생들의 기본소양을 갖추기 위한 SW·AI 교육의 중요성과 담당 교과에서 SW·AI 융합 또는 활용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판단표집 표본추출 방법으로 전국의 초·중등 교사 8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중등 교사 모두 SW·AI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학교 특성, 지역, 교육 경력, SW·AI 교육 운영 경험 여부와 상관없이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W·AI 교육을 운영하지 못하는 사유로는 업무부담과 본인의 교육 역량 부족이 높게 나타났다. SW·AI 교육 운영을 위한 필요 여건에 대한 의견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업무량 경감과 예산 지원,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연수, 콘텐츠 보급, 교과 연계 수업 확대, 시수 확보 등이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제시되어 다각적 수업 지원과 교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교 교장의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인식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Middle School Principals' Perception Change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 이병욱;김신명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3-67
    • /
    • 2017
  • 본 연구는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중학교 교장의 과거와 현재, 미래의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여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의 인식 변화를 구명하고,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의 인식 개선을 위한 정책 지원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교 교장 214명을 대상으로 하여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과거와 현재, 미래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학교 교장이 인식한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인식은 과거보다 현재가 더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현재보다 미래가 더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5년 이후 다양한 중등단계 직업교육 정책이 직업교육의 인식 개선의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음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중학교 교장의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과거 현재 미래의 인식의 내용에 대한 순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적성과 소질을 일찍 살릴 수 있음"과 "졸업 후 학생의 경제적 자립이 빠름"과 관련된 내용에서 과거 현재 미래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동일계 대학 진학이 용이함"과 관련된 내용은 과거와 현재에서는 높은 순위로 인식하였으나, 미래에는 낮은 순위로 인식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정부의 정책의 방향에 따른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중등학교 교육정보자원 운영의 내실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ubstantial Proposal of the Educ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Oper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 구덕회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03-112
    • /
    • 2007
  • 본 연구는 교육정보화 사업을 통해 현재까지 보급된 초 중등학교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교육정보자원 운영의 내실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련된 문제를 규명하고 내실화를 위한 방안들을 도출해 내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관련된 이전의 연구자료를 분석하고 설문 조사를 통하여 학교에서 교육 정보 자원의 사용에 대한 현 상태를 조사하였으며 학교 현장 및 국내 유관 부처를 방문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 중등학교 교육정보자원 운영의 내실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산출된 교육정보자원 운영의 내실화 방안들이 초 중등학교 및 정부부처에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Klopfer의 과학 교육 목표 분류 방법에 의한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조사연구 (A survey on the Attitud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Science Using Klopfers Classification of Science Education)

  • 안병균;김익균;서광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9-97
    • /
    • 1985
  • The measurement tad of student's attitudes towards secondary school science had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scheme of categories of science education object by Klopfer. Sixteen background factors of student had been chosen in order to find out a difference in student's attitudes towards secondary school science for each background factor. The twenty-eighth 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s secondary school science in the Province of Chung Cheong Buk Do had been investigated by the developed tool. The findings were as follow: 1. On the whole the investigated students had favorable attitudes towards secondary school science. 2. The adoption of scientific attitudes and favorable attitudes towards science and scientists were the best affirmative attitudes. 3. The correlation between enjoyment of science learning experiences and development of interest in pursuing a career in science was the highest level. 4. The seven of sixteen background factors-sex, interest in science, science mark, location of residence, sat sifaction level at science learning, familiarity level with the name of scientific instruments and intended job-affected studentss attitudes towards secondary school science.

  • PDF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과학연구윤리교육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Regarding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 김성덕;김효남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393-40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chool teachers in science research ethics and perception of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A survey was administered for this study and a total 167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studying in 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The survey was organized to examine participants' 1) science research ethics awareness, 2) status of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3) needs for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4) the perception of the direction of the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in school. Each item was responded using either 1 to 5 Likert type scale, multiple choices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oth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wed above average interest in science research ethic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rest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p<0.05). In degree of awareness of science research ethics, plagiarism (M=3.98)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ree-riding(M=3.78), the scientist's social responsibility(M=3.71), and forge(M=3.61). In response science research ethics problem occurs in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more than the average(M=3.39). Teacher's response on the teaching of science research ethics ranges from 3.02 to 4.47, but each science research ethics elements was showed a large devi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needed(M=4.34).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school curriculum. Eighty-five percent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should be started from elementary school. 'Discussion-type classes with examples' was preferr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teachers needed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ers training' for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중.고등학생들의 과학-기술-사회(STS)에 관련된 문제와 STS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The Perceptions of Korean Secondary Students Regarding Science-Technology-Society related Problems and STS Education)

  • 최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3-79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social problems and STS education to ascertain the extent to which the current science programs incorporate STS themes. Students indicated that STS related problems or STS issues were given little attention in their science classes, even though they believed that studying those problems would be important. Results of the study support the contention of need for more atten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STS themes into current Korean science education.

  • PDF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 교과교육학 출제동향 및 개선방안 분석 (Analysis of Exam Trend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Secondary-school Teacher Employment Test)

  • 곽영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8-8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중등교사임용시험의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개선방안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중등교사자격증 표시과목 '지구과학'의 기본이수과목 중 '지구과학교육론'에 해당하는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교육학 문항 분석을 위한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지구과학교육학 문항 분석틀은 대영역, 평가영역, 평가요소 등으로 구성된다. 중등교사임용시험의 변천 과정을 시기별로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임용시험 체제가 현재와 같은 2단계 전형으로 바뀐 2014학년도 부터 2018학년도까지 출제된 1차 전공시험의 지구과학교육학 문항들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체 전공 80점 중에서 지구과학교육학에는 22-24점이 배정되어 출제되어왔다. 평가영역별 출제 경향과 배점을 살펴보면, 지구과학 교수학습 영역의 출제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지구과학 탐구, 과학사 및 과학철학 등의 순으로 출제되었다. 각 평가영역별로 출제경향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및 평가 개선방안과, 교사양성대학의 지구과학교육학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Modern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e Organization of Educational Work in Secondary Institutions of Great Britain

  • Shvydenko, Valentyna;Korovii, Daria;Duchenko, Anna;Semenova, Olena;Koval, Valentyna;Lukatska, Y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호
    • /
    • pp.358-366
    • /
    • 2022
  • The article considers current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e organization of educational work in secondary schools in Great Britain. The forms and types of organization of educational work in secondary schools of Great Britain with the help of modern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covered. The purposes of education with the help of modern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singled out. Mental, physical, labor, moral, aesthetic and other types of education, merged in a holistic educational process, provide an opportunity to achieve the main goal - the formation of a comprehensive and harmoniously developed personality. All forms of educational work have their pedagogical significance, and each of them is valuable in the process of education. Democratization and partnership development are the leading principles of education in British schools at the present stage; multiculturalism and student independence. This is the ability to promote the role of different types of education, such as: labor, moral, legal, religious, family, environmental, aesthetic, civic, physical, mental education, which is now possible with the help of current information technology. The article considers current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e organization of educational work in secondary schools in Great Britain. The forms and types of organization of educational work in secondary schools of Great Britain with the help of modern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covered. The purposes of education with the help of modern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singled out. Mental, physical, labor, moral, aesthetic and other types of education, merged in a holistic educational process, provide an opportunity to achieve the main goal - the formation of a comprehensive and harmoniously developed personality. All forms of educational work have their pedagogical significance, and each of them is valuable in the process of education. Democratization and partnership development are the leading principles of education in British schools at the present stage; multiculturalism and student independence. This is the ability to promote the role of different types of education, such as: labor, moral, legal, religious, family, environmental, aesthetic, civic, physical, mental education, which is now possible with the help of current information technology.

Identification of Guideline-Based Components for Innovative Science Curricula

  • Son, Yeon-A;Pottenger III, Francis M.;Lee, Yang-Rak;Young, Donald B.;Pak, Sung-Jae;Choi, Don-Hyung;Chung, Wan-Ho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867-892
    • /
    • 2001
  • In both Korea and the U.S., science education leaders and specialists insist that there is a shortage of curricula to address the new national science education guidelines in support of reform. This paper addresses development of new curricula for science education reform in the hopes of facilitating further development of guideline-based curricula. We examine Korean and U.S. thematic-based (Korean Science Field Trip at Cultural Sites Program and U.S. Graduate Teaching Fellows in K-12 Education) and project-centered (Korean Teachers for Exciting Science and U.S. Foundational Approaches in Science Teaching Program) programs. Using the criteria of rationale for curriculum, content and scope, processes of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strategies, we identify the curricular components that are common across four successful secondary science programs and determine which of these components address the national guidelines. Our findings indicate that common components of these four programs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science guidelines being used to revamp scienc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Therefore, these programs not only engage secondary students and teachers in practicing successful science education, but also lead to successful science education practices that can be incorporated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curriculum to support secondary science reform.

  • PDF

컴퓨터· 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n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Convergence Education)

  • 이은경;박상욱;전성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35-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확인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융합 교육 활성화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중등학교 교사 22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융합 교육에 대한 이해도와 실제 교육 수행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융합 교육 활동은 다양한 교과가 아닌 정보 교과를 통해 주로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융합 교육 수행의 어려움은 기존 교과 수업 진도에 대한 부담과 컴퓨터를 비롯한 기자재의 부족 및 노후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향상 및 학교 현장의 물리적, 제도적 환경 구성에 관한 요구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연수, 제도적 지원, 물리적 환경 구축 측면의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