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n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Convergence Education

컴퓨터· 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Received : 2019.09.26
  • Accepted : 2019.11.13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CIL) convergence education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promoting CIL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actual school fields. We conducted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needs for CIL convergence education and analysed 227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ponse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CIL convergence education was very high while understanding level of the CIL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actual frequency of teaching experiences were relatively low. In addition, CIL convergence education activities are mainly conducted through Informatics curriculum rather than various subjects. We identified that the main constrains of CIL convergence education were the burden on the progress of subject based curriculum as well as the lacking of teaching and learning equipments including computers. We identified that the needs for empower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s and constructing the physic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of school sites were high. In discussion, we suggested the support strategies in term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stitutional supports, and physical environ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확인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융합 교육 활성화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중등학교 교사 22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융합 교육에 대한 이해도와 실제 교육 수행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융합 교육 활동은 다양한 교과가 아닌 정보 교과를 통해 주로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융합 교육 수행의 어려움은 기존 교과 수업 진도에 대한 부담과 컴퓨터를 비롯한 기자재의 부족 및 노후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향상 및 학교 현장의 물리적, 제도적 환경 구성에 관한 요구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연수, 제도적 지원, 물리적 환경 구축 측면의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Glister, P. (1997). Digital literacy. New York: Wiley Computer Pub.
  2. 한정선.오정숙 (2006). 21세기 지식 정보역량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지수 개발 연구: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구성 (RM 2006-56).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 박상욱.이은경.전성균.정채관 (2018).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8-8.
  4. 김수진.박지현.전경희.김미영.이영준.서지희.김민정 (2014).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 ICILS 2013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4-3-2.
  5.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2017).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Assessment Framework Draft for review. Unpublished document.
  6. 교육부 (2014). 초.중등 SW교육 활성화 방안. 교육부(2014.7.23.).
  7. 과학.수학.정보 교육 진흥법(법률 제14903호, 2017. 10. 24. 전부개정). 국가법령정보센터.
  8. 과학.수학.정보 교육 진흥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8798호, 2018.4.17., 전부개정). 국가법령정보센터.
  9. Nag, S., Katz, J. G., and Saenz-Otero, A. (2013). Collaborative gaming and competition for CS-STEM education using SPHERES Zero Robotics. Acta Astronautica, 83 , 145-174. https://doi.org/10.1016/j.actaastro.2012.09.006
  10. Davidson, C. N. (2011). Now You See It: How the Brain Science of Attention Will Transform the Way We Live, Work, and Learn. New York: Viking Penguin Books. 342.
  11. 이철현.한선관 (2011),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4), 139-161.
  12. 박광렬 (2015). 공학설계기반 미국 STEM 융합교육 사례의 고찰과 시사점.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2), 225-242.
  13. 박만재.이철현 (2016).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실과교육학회지. 29(3), 21-41.
  14. 전성균.박상욱.이은경 (2019). 컴퓨터.정보소양 교육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2(4),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