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view of Domestic Literature Based on System Mapping for Computational Thinking Assessment

컴퓨팅 사고력 평가에 관한 시스템 매핑 기반 국내 문헌 고찰

  • Received : 2019.11.04
  • Accepted : 2019.11.30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mportance of solving problems through computing has been emphasized, and software education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as a core competency has been designated as an essential subject. In order for education for computational thinking to be effective, appropriate tools for evaluating computational thinking must be supported. While studies on computational thinking have been conducted in the meantime, there have been no systematic studies on such evaluation-related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ed studies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assessment conducted in Korea and analyzed the previous research of the evaluation tools,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methods. Based on this, the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computational thinking evaluation method were suggested.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컴퓨팅을 통한 문제해결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핵심역량으로서의 컴퓨팅 사고력을 높이기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었다.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컴퓨팅 사고력 평가를 위한 적절한 도구들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동안 컴퓨팅 사고력 평가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지만, 그러한 연구들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수행되어온 컴퓨팅 사고력 평가에 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그 평가도구들이 기반하고 있는 선행 연구와 평가 요소, 그리고 평가 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컴퓨팅 사고력 평가 방법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Oxford Martin School & Citi Research (2016). The Technology at Work v2.0.
  2. 이재호.장준형 (2018). 컴퓨팅 사고력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 창의정보문화연구, 4(3), 274-283.
  3. 최형신 (2018).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개발에 관한 연구 국내연구 고찰. 교육공학논문지, 34(3), 743-774.
  4.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Proceedings of the 2012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Vancouver, Canada.
  5. 한정민.정웅열.이영준 (2017). 컴퓨팅 사고력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발표논문집, 21(2), 3-5.
  6. Kolodziej, M. (2017). Computational Thinking in Higher Education. Dissertation, Pepperdine University,
  7. CSTA & ISTE (2011).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K-12 Education.
  8. Selby, C. (2013). Computational Thinking: The Developing Definition. ITiCSE Conference 2013, University of Kent, Canterbury, England.
  9. SRI International (2013). Exploring CS Curricular Mapping. Retrieved from http://pact.sri.com/?page_id=1380
  10. College Board (2014). AP Computer Science Principles: Curriculum Framework 2016-2017. New York: College Board.
  11. Korkmaz, O., Cakir, R., & Ozden, M. (2017). A Validity and Reliability Study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 Scales (C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2, 558-569. https://doi.org/10.1016/j.chb.2017.01.005
  12. 정웅열.이영준 (2017). 정보 교육에서 비버 챌린지(Bebras Challenge)의 활용 가능성과 향후 과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5), 1-14. https://doi.org/10.32431/KACE.2017.20.5.001
  13. Moreno-Leon, J., & Robles, G. (2015). Dr. Scratch: a Web Tool to Automatically Evaluate Scratch Projects. WiPSCE '15 Proceedings of the Workshop in Primary and Secondary Computing Education.
  14. 김병수 (2014). 계산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PPS기반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 제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5. 김성식.김영직.조아라.이민우 (2019).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력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 지필형 검사지 및 자기보고식 설문지.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2(3), 89-99.
  16. 김민정.이원규.김자미 (2017). 컴퓨팅 사고력 측정에 사용되고 있는 도구분석을 통한 새로운 검사도구 개발방향 제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6), 17-25. https://doi.org/10.32431/KACE.2017.20.6.002
  17. 최형신.김미송 (2017). 컴퓨팅 사고력 평가를 위한 3가지 상호보완적 접근 방안 한국어(KOR).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6), 639-646.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6.639
  18. 노지예.이정민 (2018). 로봇 활용 SW 교육에서 컴퓨팅사고력 평가: 지필 시험, 비버챌린지, 자기보고식 설문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4(3), 849-876.
  19. Petersen, K., Feldt, R., Mujtaba, S., & Mattsson, M. (2008). Systematic Mapping Studies in Software Engineerin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valuation and Assessment in Software Engineering. 17 (1), 1-10.
  20. 서영호.염미령.김종훈 (2016). 초등학교 SW교육에서 동료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이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3), 219-234.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3.219
  21. 김수환 (2015a). Computational Thinking 역량에 대한 학습자 평가를 위한 스크래치 코드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5), 25-34. https://doi.org/10.32431/KACE.2015.18.5.003
  22. 전수진.전용주.김슬기.김도용.정인기 (2017). 비버 챌린지 2017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컴퓨팅 사고 수준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3), 345-356.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3.345
  23. 최형신.김기범 (2015).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이 예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 컴퓨팅 사고 및 블룸의 텍사노미 활용 평가 한국어.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2), 225-232.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2.225
  24. 송의상.길준민 (2017). 초등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소프트웨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6(7), 353-360.
  25. 이정민.고은지 (2018). 소프트웨어 교육이 중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2), 238-250. https://doi.org/10.5392/jkca.2018.18.12.238
  26. 최형신 (2014a). 로봇활용교육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 사회.문화적 맥락 및 컴퓨팅 사고 연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4), 541-548.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4.541
  27. 박주연 (2019). 초등학생의 스크래치 프로젝트 코드 분석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의 평가.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3), 207-217. https://doi.org/10.14352/jkaie.2019.23.3.207
  28. 김재경 (2017). 컴퓨팅 사고 개념 학습과 프로그래밍 역량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6), 27-36. https://doi.org/10.32431/KACE.2017.20.6.003
  29. 최형신 (2016). 예비교원의 Computational Thinking(CT) 역량 계발 방안 : CT의 5가지 핵심 역량 분석 한국어.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6), 553-562.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6.553
  30. 김민자.유길상.김현철 (2017). 비전공자 프로그래밍 수업 창의적 산출물의 컴퓨팅 사고력 기반 평가 루브릭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2), 1-11. https://doi.org/10.32431/KACE.2017.20.2.001
  31. 박정호 (2015). Storytelling기반 SW교육이 Computational Thinking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1), 57-68.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1.57
  32. 김거현.유인환 (2017). 앱인벤터 활용 SW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4), 371-380.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4.371
  33. 한영신 (2018). 비전공자 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성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1), 41-52.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1.41
  34. 김용민.김종훈 (2018).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데이터 과학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2), 219-280.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2.219
  35. 김미송.최형신 (2018).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컴퓨팅 사고력 자기평가 방법.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1), 61-70.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1.61
  36. 주여진.마대성 (2018). 컴퓨팅 사고력 측정을 위한 추상화 역량 평가 기준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3), 375-383.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3.375
  37. 전수진.한선관 (2016). Computational Thinking 역량 평가를 위한 서술형 수행평가 도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3), 131-138
  38. 최형신 (2014b). Computaitonal Thinking 역량 계발을 위한 수업 설계 및 평가 루브릭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1), 57-64.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1.57
  39. 노지예 (2018). 로봇 활용 SW 교육에서 보조교사 유무에 따른 컴퓨팅사고력, 로봇에 대한 태도의 차이.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3), 307-316.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3.307
  40. 신주현.송기상 (2015). 컴퓨팅 사고력 교육과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인지부하 변화. 정보기술학회논문지, 13(4), 121-129.
  41. 박대륜.유인환 (2018).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 활용 파이썬 학습 모형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3), 357-366.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3.357
  42. 김수환 (2015b). Computational Thinking 개념 평가를 위한 스크래치 코드 분석 시스템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6), 2015. 13-22.
  43. 박선주 (2018). 스크래치 프로젝트 분석을 통한 컴퓨사고력 수준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6), 661-669.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6.661
  44. 김민자.김현철 (2018). 컴퓨팅 사고력 관점에서 본 컴퓨터 비전공자 대상 교양 컴퓨팅 수업의 효과성 분석 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1), 11-21. https://doi.org/10.32431/KACE.2018.21.1.002
  45. 노지예.이정민 (2018). 로봇활용 SW교육 프로그램 설계: 초등학생의 컴퓨팅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4(1), 1-37.
  46. 최형신.정인기.소효정 (2014). 컴퓨팅 사고 프레임워크 기반 방과후 스크래치 팀프로젝트 경험의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4), 2014, 549-558,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4.549
  47. 성영훈 (2017). 컴퓨팅 사고 함양을 위한 HVC 학습전략 기반 SW교육모델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5), 583-593.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5.583
  48. 전수진.한선관 (2016). 컴퓨팅 사고 향상을 위한 UMC 수업전략의 개발과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 131-138.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2.131
  49. 박주연.김종혜.김석희.이현숙.김수환 (2017). 초.중등 SW교육의 평가요소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6), 2017. 47-59. https://doi.org/10.32431/KACE.2017.20.6.005
  50. 김민자.유길상.김현철 (2017). 비전공자 프로그래밍 수업 창의적 산출물의 컴퓨팅 사고력 기반 평가 루브릭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2), 1-11. https://doi.org/10.32431/KACE.2017.20.2.001
  51. 전수진 (2017). SW 교육에서의 컴퓨팅 사고력 기반 디자인 중심 모형(NDIS)의 효과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2), 13-21. https://doi.org/10.32431/KACE.2017.20.2.002
  52. 김거현.유인환 (2017). 앱인벤터 활용 SW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4), 371-380.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4.371
  53. 이철현 (2017). 컴퓨팅 사고력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학습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4), 91-107.
  54. 박형용.안성훈.김종민.임현정 (2017). 3수준 다층모형을 통한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및 SW교육태도 영향요인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6), 83-91. https://doi.org/10.32431/KACE.2017.20.6.008

Cited by

  1. 파이선(Python) 학습을 위한 평가 프로세스 설계 vol.24, pp.1, 2019, https://doi.org/10.14352/jkaie.2020.24.1.117
  2. Computational Think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vol.25, pp.5, 2020, https://doi.org/10.9708/jksci.2020.25.05.229
  3. 중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 검사 도구 개발 vol.23, pp.3, 2019, https://doi.org/10.32431/kace.2020.23.3.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