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Achievement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8초

과학교과 흥미도의 종단적 변화와 그 영향요인 (The Impact Factors and Longitudinal Change of Interest on Scientific Subject)

  • 김경식;이현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100-11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청소년들의 과학교과 흥미도의 종단적인 변화와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간의 변화에 따른 종단적인 개인의 변화와 차이를 분석할 수 있는 잠재성장모형(LGM)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먼저 한국 청소년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도가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의 패턴은 이차곡선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과학교과 흥미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의 상관이 부적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무의미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과교과 흥미도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면 자아관, 학업성취, 학교생활 및 풍토 그리고 진학계열이 주요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 PDF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using the Geological Materials of a Localit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해경;이경학;나경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3-184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G광역시 G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47명이다. 이 중 실험집단은 23명, 비교집단은 24명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에는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교과서에 제시된 사진 및 기존에 비치되어 있는 암석과 화석표본 또는 모형을 활용하여 수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과학적 태도 전체 점수 및 하위 요소인 과학수업의 즐거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및 관심에서도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변화 양상을 심도 있게 들여다보는 질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다양한 자료에 대한 개발 및 보급이 되어야 하고 수업자료 개발 및 적용을 위해서는 관련 교사교육의 기회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실내에서 지역의 지질에 대해 소개하고 실제 분포하는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을 야외학습으로 연결할 경우 야외 지질학습 활동의 준비단계 활동으로서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에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n the STEAM Learning Program of Intelligent Life in Elementary School)

  • 김혜란;최선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550-561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STEAM 교육이 초등학교 현장에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현장 상황을 반영한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자연 영역에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적용한 후 결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탐구능력, 성취도, 과학에 대한 흥미와 태도를 긍정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적용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H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실험반(34명)과 비교반(34명)을 각각 1개 학급씩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반 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더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투여한 프로그램은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과학적 태도의 변화 분석에서는 실험반 학생들이 비교반보다 향상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학생과 학부모 면담 및 설문지 조사 결과와 교사의 수업 일지를 간단히 분석해 본 결과, 프로그램 적용 전에는 프로그램 계획에 교사의 학습 준비와 구조화에 어려움이 있고, 학습자와 학부모의 STEAM에 대한 인식도가 낮아 프로그램 실행에 대해 우려가 많았으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결과, 학부모, 교사, 학생들은 다양하고, 감성적인 학문 융합의 체험 활동을 통해 창의성을 발현하는 STEAM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으며, 종국에는 대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 PDF

초등과학 수업에서 정리단계에 적용한 창의적 과학연극 수업의 효과 (Impact of Creative Science Drama during the Class-closing Stage on Elementar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 김지숙;최선영;권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3호
    • /
    • pp.409-420
    • /
    • 2023
  • 이 연구는 초등과학 수업의 정리단계에서 창의적 과학연극을 사용하는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창의적인 과학연극은 수업의 정리활동으로서 교사가 학습주제에 대한 기본 대본을 제공한 후 나머지 이야기를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활용하여 대본을 완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윤혜경(2016)의 연구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과학연극 수업을 고안하였고, 이 연구의 과학수업 내용은 3학년 1학기의 자석의 이용, 지구의 모습단원을 중심으로 지도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G시에 있는 H초등학교에서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연극을 통한 과학학업성취도에서는 실험반에서 향상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았다. 그러나, 과학에 대한 태도는 ANCOVA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둘째, 과학연극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연극을 적용한 실험반 학생들 면담 결과, 과학연극 대사를 작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의견과 모둠활동에서 의견을 조율하고 맞추는 토론과 협동이 가장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과학연극을 한 경험은 즐겁고 재미있었다는 의견도 다수 있었고, 배운 내용을 과학연극으로 하게 되어서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TIMSS 2003 성취 수준에 따른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분석 (Analysi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 Science Achievement at International Benchmarks in TIMSS 2003)

  • 홍미영;정은영;이미경;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6-257
    • /
    • 2006
  • TIMSS 2003에서는 교육과정과 교수 학습 개선에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체 과학 성취점수를 수윌, 우수, 보통, 기초 4개의 수준으로 구분하여 각 성취수준에 해당하는 학생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윌 수준과 우수 수준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 내용 영역별 성취도 경향 및 문항별 정답률 분포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월 수준 문항들의 정답률을 내용 영역별로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평균 정답률은 물리, 지구과학, 생물, 화학, 환경의 순으로 높았다. 반면에 국제 평균 정답률은 지구과학, 화학, 생물, 물리, 환경의 순으로 높았다. 우수 수준에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환경, 물리, 생물, 지구과학, 화학의 순으로 평균 정답률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국제 평균 정답률은 지구과학, 생물, 환경, 물리, 화학의 순으로 높았다. 수윌 수준과 우수 수준에 해당되는 문항들의 정답률을 내용 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은 물리 영역에서 강세를 나타내었고 화학영역은 상대적으로 약세를 나타내었다. 각 수준에 해당하는 문항들 중 정답률이 높거나 낮은 문항들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수윌 수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은 기본적인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도는 높으나, 과학 지식을 글로 설명하거나 복합적이고 추상적인 과학 개념을 이해하는 것, 그리고 과학 원리를 적용하여 정량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서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고, 우수 수준에서는 생태계에 대한 이해 정도가 국제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수 학습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효과적인 실험 수업을 위한 개념 변화 수업모형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nceptual Change Model for Effective Laboratory Teaching)

  • 노태희;강석진;김혜경;채우기;노석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9-189
    • /
    • 1997
  • In this study, a conceptual change model for effective laboratories was developed and its instructional effect on students' achievement, the acquisition of scientific conceptions, and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was investigated. Considering several conceptual change models in literature and Korean educational situations, the conceptual change model was developed. The model consists of 5 stages; preliminary, prediction, exploration, consolidation and reconstruction, and applicatio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2 classes) were selected from a middle school in Seoul, and taught about the changes of states, density, and dissolution for three weeks. Prior to instruction, the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and the Learning Approach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and their scores were used as covariate and / or blocking variable. To examine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before the instructions, a pre-conceptions test was also administered. After the instructions, students' achievement, the acquisition of scientific conceptions, and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were measured with a researcher-made achievement test, a post-conceptions test, and the subtests of the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core of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conceptions test.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had also less alternative conception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achievement and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선도실험요원을 활용한 자연과 탐구과정 지도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The Effectiveness of Using Student Leaders in Teaching Scientific Process Skills)

  • 양상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34
    • /
    • 1985
  • Teaching inquiry proc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ives in science education. To promote students scientific process skills, a science teacher should encourage the students do something by themselves. One method for that purpose which has been used in many schools would be group experiment. The researcher has been experienced a lot of difficulties in controlling or guiding every group to finish the assigned experiment within the given class hour. Therefore, the researcher decided to select several leaders from students and trained them in advance of the given class hour. This leaders are expected to guide the remaining students in the clas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lassroom with and without student leaders showed very significant difference(P>0.001) in their achievement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The researcher concluded that the use of student leaders is very effective in promoting scientific process skills. This method is also regarded very effective in a large class sized like Korean Schools.

  • PDF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리 단원에 수록된 과학 전문 용어 조사 (Investigation of Scientific Terms in Physics Unit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 윤은정;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175-1185
    • /
    • 2011
  • 본 연구는 과학 교육용 과학 전문 용어 목록을 만들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리 단원에 수록된 과학 전문 용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7학년 249개, 8학년 170개, 9학년 137개, 총 556개의 과학 전문 용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다루는 어휘수의 차이가 매우 심함을 알 수 있었고, 교육인적자원부의 편수자료와 물리학용어집, 표준국어대사전 간에 불일치가 상당히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수정, 보완 작업을 거쳐서 수준별로 평정된 과학 전문 용어 목록이 완성되면 도서 및 사전 편찬, 각종 검사 제작, 교사 교육, 학습능력 향상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촉진 전략이 초등학생의 반성적 사고,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flective Thinking promotion strategies using Thinking maps on Reflective thinking,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백동국;소금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3호
    • /
    • pp.219-23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촉진 전략이 초등학생의 반성적 사고, 과학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학년 2개 학급을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나누어서 실험반에는 반성적 사고 촉진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처치하였고, 비교반에는 전통적인 지도서 위주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전략은 초등학생의 반성적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둘째,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전략은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셋째,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전략은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넷째,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과학 수업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다.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 질문에 대한 연구( I )-학생 질문을 강화한 수업의 효과- (A Study( I ) on Students' Questioning Activity in Science Class-The Effect of the Teaching Enhancing Students' Questioning-)

  • 김성근;여상인;우규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77-38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화학 변화와 원소' 단원에 대해 학생 질문을 강화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여자 중학교 2학년 4개반(통제 집단 2학급, 처치 집단 2학급) 150명을 대상으로 4주 12차시 동안 진행되었으며, 사용된 교수-학습 모형에는 학생 질문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동지 작성 과정과 교수-학습 도중 생기는 의문에 대한 학생 질문 과정, 그리고 학생 질문에 대한 개인별, 전체별 송환(feedback) 과정이 포함되었다. 수업 처치 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검사 과학적 태도의 수용 검사를 실시하였고 개념 이해도 검사와 학업 성취도 검사의 공변량으로 사용하기 위해 각 집단 학생들의 1학년 과학 성적을 조사하였다. 수업 처치 후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및 과학적 태도의 수용을 개념 검사지, 학업 성취도 검사지, TOSRA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질문을 강화한 과학 수업 집단 학생들이 전통적 학습 집단 학생들에 비해 개념 이해도 (p<.01)와 학업 성취도(p<.05)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의 수용은 처치 집단 학생들의 점수가 통제 집단 학생들의 점수보다 조금 높았지만,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질문을 강화한 수업의 효과에 대한 교육적 합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