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curriculum

검색결과 3,173건 처리시간 0.028초

주요 해양대학의 항해학 전공 커리큘럼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urriculum of Nautical Science in major Maritime Universities)

  • 김성준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3-199
    • /
    • 2018
  • AI의 급격한 발전으로 자율운항선박의 개발도 머지않은 장래에 실현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해양대학의 교과과정은 이러한 시대적 발전추세에 대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의무승선기간 만료 후 상당수의 초급 해기사들이 육상직으로 이직하는 현실에서 항해학 관련 세부전공 또한 진화하고 있는 해운산업의 전문분야를 교육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이 글은 주요 해양대학의 항해학 관련 커리큘럼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이들 국가들은 STCW를 인준한 국가들이므로, 항해사를 양성하는 데 STCW에서 요구하는 과정을 모두 교육해야만 한다. 이들 해양대학의 항해학 전공 커리큘럼은 대동소이할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실상은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주요 해양대학의 커리큘럼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의 항해학 전공 교과과정이 적절하게 짜여져 있는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급격한 기술발전에 대비하고, 육상직으로의 이직에 대비할 수 있는 이상적 교과과정을 개발하는 데 참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치위생학 교과의 3년간 건강보험제도 반영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health insurance system and dental hygiene curriculum for 3 years)

  • 최효진;오상환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0
    • /
    • 2020
  •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e observation that there i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persons and the decrease in fertility rates, which may be related to the increase in the average age of the Korean people; accordingl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changes every year following this pattern. However,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se changes are reflected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s reviewed for the last three years, and the recently published dental hygiene curriculum is selected, compared, and analyzed using a literature survey. The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information that is reflected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and information that is not reflected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but which it is believed should be included. In addition, as the part reflected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it was stated in three subjects of dental implantology, dental prosthesis, and conservative dentistry, and there were four cases.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at the curriculum for dental hygiene students should reflect the changes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so that students can more easily understand dental insurance claim processes.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전자기 영역 내용 구성에서 고려해야 할 것 (Consideration on the Contents of the Electromagnetism Domain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 정용욱;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186-198
    • /
    • 2022
  • 본 논문은 2022 교육과정 개정에 즈음하여 초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의 전자기 영역에서 다루어 온 내용에서 재고해야 할 문제들과 이에 대한 연구자들의 주장을 정리하여 교육과정 개선 방향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논의를 촉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기 영역의 핵심개념은 힘의 매개체로서의 '전기장', '자기장'이라는 점에서 현재의 교육과정은 전자기 영역의 핵심개념을 담아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는 핵심개념 중심의 교육과정 구성을 위해 초등학교에서 역학과 전자기가 연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전자기 이론에 기반한 공학기술의 발달 양상으로 본 연구에서 추출한 9가지 양상은 매우 다양한 교육적 맥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렇지만, 현재의 교육과정은 이러한 다양한 맥락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고, 전구를 활용한 전기회로라는 매우 제한된 내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실생활의 기술과 연관된 다양한 맥락과 소재를 활용하도록 교육과정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현재보다 다양한 소재와 맥락을 활용함으로써, 개념학습뿐 아니라 STS 교육의 범위와 수준도 확장될 수 있다. 셋째, 전기회로 학습의 경우 전기회로와 전기장 개념의 연결의 어려움의 문제, 전기회로의 대표성 문제, 전기회로의 학습 난이도의 문제, 현상 중심의 전기회로 학습의 문제 등 여러 이슈를 고려해야 한다.

통합 개념을 중심으로 한 고등학교 1학년 과학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Contents Organization of Science Curriculum for the 10th Grade Students Focusing on the Integrated Concepts)

  • 이현지;이경희;최병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2호
    • /
    • pp.209-220
    • /
    • 2015
  • 과학은 자연 현상을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본질로 통합적인 성격을 띤다. 또한, 모든 학생을 위한 과학적 소양을 키우기 위한 과학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통합적 과학교육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자연 현상을 관통하는 기본 개념이나 원리를 통합 개념으로 정의하고, 이를 중심으로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통합 개념 중심 과학교육과정의 대상은 고등학교 1학년이며, 성취수준을 제시하여 학습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문 이과 통합형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 PDF

한국 대학의 경호관련학과 이론분야 교육과정의 학문적 정립 (A study for a play of improvement in education curriculum for bodyguard related theory)

  • 박준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5호
    • /
    • pp.157-178
    • /
    • 200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based on the hypothesis of bodyguarding related department and to research the differences of the amongthree groups of public bodyguarding, private bodyguarding and bodyguarding professors with its significance in order to establish the development of direction in education curriculum for bodyguarding related departments at university level,For this purpose, this study categorized the sample group into three kind and surveyed them, Those are public bodyguarding members, private bodyguarding member, and the professors and 121 samples were selected in those three with the help of self-admistrated method, which is one of the sampling methods, First, among the current bodyguarding related theoretical discipline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was presented by the evaluations on bodyguarding science, traffic safety management, fire extinguishing, secretary science, administration, psychology, sports education, sport physiology, jurisprudence and philosophy, which showed differences among groups through the multiple comparis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means of the groups concerned with the other curriculum, We could know that more curriculum is needed to facilitate the private bodyguarding in disciplines and system of the current theory in this study. For it is predicted the demand for the private bodyguarding will increase continuously in the future. for which we should prepare. Thus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theoretical curriculum of the private bodyguarding. That is. the models of curriculum like introduction to machinary guarding.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computer theory and so on are required to be established. In addition to that. it must be noticed that the current private bodyguarding is not guaranteed by the legitimate institution. But the private bodyguarding is related to the police service. thus the curriculum of jurisprudence and police science should be studied together.

  • PDF

공통과학 교육과정의 연구 - 통합과학적 측면의 과목 신설 배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the Common Science subject - the background for newly formed subject and the focus of the side of integrated science -)

  • 이규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8-209
    • /
    • 1993
  • This paper was made for the purpose of research for newly formed of Common Science subject and setting up for Common Science subject's place. For this purpose, I 1) reviewed the bacground of curriculum revision and newly formed Common Science subject. 2)reviewed the change of the current of science education and the study of Common Science subject in Korea. 3) examined Common Science subject as integrated sci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 l.Newly formed of Common Science subject motivated by current of science education in the wordwide, direction of the 6th curriculum in Korea and the actual condition of integrated science in foreign country. 2.1t emphasize on learning of inquiry method than system of knowlege,introduction to material connected with real life and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in the Common Science subject. In principle,the level of concept in Common Science subject keep within level of Science subject in middle school. 3.Common Science subject is characterized by integrated science. And Common Science subject have to become more integrated science in the textbook and the teaching-learning as well as in curriculum.

  • PDF

Philosophical Views on Science of Major Science Curriculum Documents in USA

  • Jang, Myoung-Duk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01-41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hilosophical views on science of two influential curriculum documents, AAAS' s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Benchmark) and NRC's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Standard), and to get educational implications about a desired philosophical view on science at a school science level. In order to determine the philosophical views on science explicitly suggested in the documents, Soh's Philosophical Perspectives Probe (PPP) was used as a framework for analysis. Forty preservice teachers reviewed the documents, extracting paragraphs with which statements of the PPP' s questions would agre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enchmark's philosophical view on science corresponds to the borderline between inductivism and eclecticism, or eclecticism close to falsificationism. The philosophical positions by the PPP' s themes are very different. Second, the Standard's philosophical position on science corresponds to inductivism close to eclecticism. Its philosophical position by the themes of the PPP is very different like the Benchmark.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hilosophical positions of the documents are more complex than popular conceptions would have it. That is to sa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cience curriculum documents hold not only a contemporary philosophical view on science but also a traditional view on science, and that the philosophical positions on scien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documents and even by the PPP's themes in the same docu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hilosophical views on science in school science contexts need to be adjusted and presented to K-12 students according to topics related to philosophy of science.

제6,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화학 학습량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Amount of Chemistry Learning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a)

  • 전경문;홍미영;이범홍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1호
    • /
    • pp.29-3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화학 영역)를 분석하여 6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와 비교하는 것이다 수업 차시수, 교과서 쪽수, 학년별 학습 내용, 삭제된 내용이나 새로 도입된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혼합물의 분리' 단원의 일부 특징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개정된 교육과정의 의도가 반영되었는지, 특히 학습량이 감소되었는지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적용과 질 관리 방안에 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 (A Study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Application and Quality Management Plan of Scienc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정은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354-368
    • /
    • 2012
  •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적용 관련 실태 및 요구, 교육과정의 변화 내용별 적용상의 예상 쟁점과 해결 방안 등을 탐색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와 중학교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초 중학교 교사들은 과학과에서 학년군제 운영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견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교과군에 속하는 과학과 실과(기술 가정)를 연계 적용하는 방식으로 유사한 주제와 내용을 통합 또는 연계하여 운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시 과학 수업은 기준 수업 시수대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준별 수업에 대해서는 과학과 수업에서 필요하다고 인식하지만, 실제로 수준별 수업을 하는 경우는 적었다. 융합인재교육(STEAM)의 적용을 위해서 적절한 수업 방법과 평가 방법의 안내가 필요하고 창의성 인성 교육 내용이 포함된 과학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개정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을 위해서 과학 교사들이 교육과정 개정 취지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인식하도록 실제적인 연수를 실시하고, 단위 학교의 교사 협의회가 활성화되도록 지원하며, 실현 가능성 높은 융합인재교육(STEAM) 방안을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