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autonomous curriculum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3초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I Education Immersion Course for school autonomous curriculum at Elementary School

  • Soo-Hwan, Lee;Jeong-Rang,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201-208
    • /
    • 2023
  • 인공지능 교육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는 인공지능 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시수 확보와 수업 내용 구성의 어려움, 교육과정의 부재 등으로 인공지능 교육 내실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교자율과정이 있다. 학교자율과정은 학교에서 교과군내 시수 조정, 성취기준 활용 재구조화 등 교육과정 전반에 자율권과 재량권을 갖도록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학교자율과정을 활용한 인공지능 교육 몰입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인공지능 교육 몰입과정은 학생들이 한정된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인공지능 교육을 밀도 있게 경험하기 때문에, 내실 있는 인공지능 교육이 이뤄질 수 있다. 인공지능 교육 몰입과정 이후 학생들의 전반적인 인공지능 소양과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학교자율과정을 이용한 인공지능 교육 내실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초등학교에서 자율과목 편성을 통한 정보교육 독립 운영 방안 (A Study on the Independent Oper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through Autonomous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s)

  • 안성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43-5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정보 교육과정의 변천과정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정보 교과가 독립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 정보교육을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자율활동의 자율과목을 편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율활동이란 창의적 체험활동의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나 학교 특성을 반영해 자율과목이나 다양한 교육활동을 자유롭게 운영할 수 있는 교육활동 시간을 의미하며, 자율과목은 의무 선택의 부담 없이 자유롭게 선택해 운영하거나 선택하지 않아도 되는 과목을 의미한다. 자율활동과 같이 학교장 재량 시간을 이용하여 독립된 교육과정을 운영한 사례로는 2015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1~2학년군의 '안전한 생활'편성과 7차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교과 재량활동에서 선택과목을 운영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정보교육을 자율과목으로 편성해 운영할 수 있다면 최소한 인공지능, 코딩, 빅데이터 등을 배우고 싶어 하는 학생들만이라도 공교육 속에서 배움의 기회를 얻게될 것이다.

자율학교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and Tasks of Autonomous Schools)

  • 박창언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3권2호
    • /
    • pp.29-45
    • /
    • 2023
  • 이 연구는 현재 운영 중인 자율학교의 현황을 토대로 과제를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연구내용은 자율학교의 의의와 발전, 자율학교의 유형, 자율학교의 현황과 과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자율학교의 의의와 발전에서는 표준화·규격화된 교육에서 소외가 발생함에 따라 학교교육제도를 포함한 교육제도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 학교 및 교육과정 운영의 특례가 인정되는 자율학교가 제도적으로 보장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자율학교의 유형에서는 일반형 자율학교와 제주형 자율학교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일반형은 초·중등교육법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고, 제주형은 제주특별법에 의해 운영이 되며 내용적 사항도 차이가 있어 이들의 특징적인 면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자율학교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법적 근거와 내용을 달리하는 일반형과 제주형의 특징적인 면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과제를 제시하였다. 과제는 자율학교의 수가 많고, 지역별·유형별 편중이 심하며, 교장 자격과 학교운영위원회 등 주로 제도적 측면에 대한 특례의 활용이 많고, 제주의 경우 인력 지원의 원활성이 있는 점으로 제시하였다. 이들 논의 결과 형식적인 자율학교의 운영이 아니라, 내실있는 자율학교의 운영이 요청되었다.

교육자치혁신과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 (A Linkage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Innovation and School Space Innovation - Focusing o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

  • 이용환;구중필;김관영;박정란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4호
    • /
    • pp.33-43
    • /
    • 2019
  • 본 연구는 사용자 교육적 가치의 중요성을 목표로하는 학교공간혁신의 개념 연구를 통하여 학교공간이 학생들의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수준의 교육자치 목표 및 기본가치와 상호관계성 연계 정도에 대하여 사용자를 중심으로 조사·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는 교육자치 혁신 교육과정과 학교 자치적 다양한 교육활동과 연계된 학생, 교사 즉 수요자의 요구도 분석을 통해 수요자 중심 즉 수요자의 요구가 최대한 반영되는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자치 혁신과 학교공간 혁신의 기본개념 고찰과 국가수준의 2015개정 교육과정과 교육자치 혁신과정에 대한 문헌조사 및 교육목표, 교육과정의 기본가치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원도심지역 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의 기본가치, 학교교육의 기능, 학교환경 및 공간 구성 방향, 학교공간에 대한 조사분석으로 학생과 교사의 인식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교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수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option of Curriculum Autonomy Policy by a Middle School)

  • 조현숙;김대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989-100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adoption of curriculum autonomy policy by a middle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ficial documents accepted or produced by the school were examined regarding how much curriculum autonomy was given to the school. As well as, minutes 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nd interviews with significant figures in the school were analyzed to reveal how the school exerted its curriculum autonomy. The results indicated that superi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 that had made decision on curriculum autonomy policy and promoted it constantly sent to the school official documents that required it to report what had been done. Such practices prevented the school from autonomous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In addition, as most decisions 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t school level was made by administrator and teachers with special position, most teachers remained at passive status to accept what had decided by them. Parents'committee did not exercise their rights by lack of expertise and passive attitude.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실태 분석 연구 - 초등 단위학교 및 교사 수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the Seventh Mathematics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2호
    • /
    • pp.213-233
    • /
    • 2004
  • This study looked into the procedures of and the statu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7th national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especially focused on the subjects of schools and the teachers for the actual curriculum implementation.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1) the degree to which the particular innovation(i.e., student-centered, flexible and autonomous school-based curriculum, etc.) is be-ing implemented as planned; and 2) how it is being implemented. It conducted a situation-oriented analysis in cooperation with three local boards of education. Classroom observations, teacher interviews,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supervisors were utilized and the three major criteria of interpreting the result were the three core concep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at is, the degree of "(1)reorganization, (2)student-centeredness, and (3)diversification/specialization" of the curriculum. Detailed documentation on the processes of the local bureaus of education and on the classroom practices are made in order to provide schools and policy makers with relevant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 PDF

자율운항선박 육상원격제어사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Shore Remote Control Officer in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MASS))

  • 박한규;김상희;하민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02-1012
    • /
    • 2022
  • 4차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해상운송 분야에서도 자율운항선박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2, 3단계의 자율운항선박이 운항을 하고 있으며 육상에서 원격조종의 장비로 감시하며 상황에 따라 운항에 개입하는 육상원격제어사가 이미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교육과정이 국제적으로 정립되지 않아 부적격한 육상원격제어사에 의한 사고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육상원격제어사에 필요한 교육을 기존의 해기사 교육 중 육상원격제어사에게 필요한 교육과 원격제어환경에서 필요한 교육으로 구성하였고 효과적인 교육의 활용을 위해 비기술적 역량교육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신속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역량평가를 통한 해사안전에 부합하는 신규 육상원격제어사를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선원들도 육상원격제어사로 전직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 및 내용에 관한 분석 연구 -시${\cdot}$도 및 중등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at the Secondary School Level)

  • 최승현;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4호
    • /
    • pp.477-496
    • /
    • 2005
  • This study looked into the procedures of and the statu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7th national curriculum at the secondary school level. It examined the processes taken by the local boards of education in due course of facilitating the schools with the new curriculum implementation.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1) the degree to which the particular innovation(i.e., student-centered, flexible and autonomous school-based curriculum, etc.) is being implemented as planned; and 2) how it is being implemented. It conducted a situation-oriented analysis in cooperation with three local boards of education. Classroom observations, teacher interviews,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supervisors were utilized and the three major criteria of interpreting the result were the three core concep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at is, the degree of '(1)reorganization, (2)student-centeredness and (3)diversification/ specialization' of the curriculum. Detailed documentation on the processes of the local bureaus of education and on the classroom practices are made in order to provide schools and policy makers with relevant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Ultimately, The greater the awareness of the intention of the new curriculum on the part of both the staff at the local school boards and teachers, the greater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And the higher the quality of planning to meet problems, the greater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involve teachers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greater the active support of the teachers, the greater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 PDF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과정 및 내용에 관한 분석 연구 -시.도 및 초등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 최승현;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4호
    • /
    • pp.321-335
    • /
    • 2004
  • This study looked into the procedures of and the statu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7th national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t examined the processes taken by the local boards of education in due course of facilitating the schools with the new curriculum implementation.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1) the degree to which the particular innovation(i.e., student-centered, flexible and autonomous school-based curriculum, etc.) is being implemented as planned; and 2) how it is being implemented. It conducted a situation-oriented analysis in cooperation with three local boards of education. Classroom observations, teacher interviews,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supervisors were utilized and the three major criteria of interpreting the result were the three core concep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at is, the degree of '(1) reorganization, (2)student-centeredness and (3)diversification/ specialization' of the curriculum. Detailed documentation on the processes of the local bureaus of education and on the classroom practices are made in order to provide schools and policy makers with relevant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Ultimately, The greater the awareness of the intention of the new curriculum on the part of both the staff at the local school boards and teachers, the greater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And the higher the quality of planning to meet problems, the greater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involve teachers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greater the active support of the teachers, the greater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 PDF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진로지도 프로그램 설계와 운영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areer Planning Program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한의령;정은경
    • 의학교육논단
    • /
    • 제26권1호
    • /
    • pp.36-40
    • /
    • 2024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has designed and implemented two career planning programs: a three-phase curriculum-based program and a longitudinal non-curricular program over the course of 6 academic years. The three phases of the curriculum-based career planning program are self-assessment, career exploration, and field experience. The non-curricular career counseling program operates through a faculty advisor system, with each faculty member guiding a group of students from each academic year, and students in each year forming a mentor-mentee relationship. The non-curricular career exploration program consists of a student research support program, an international practice program in basic and clinical medicine, and a specialty exploration fair. A survey conducted among 38 graduates (54.3%) working as interns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vealed that graduates preferred autonomous elective subjects within the curriculum-based program. They also responded positively to the faculty advisor system, through which they maintained close relationships.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ree interns indicated that subjects providing direct experience in fields of interest and courses that students could choose freely were helpful in career decisions. Through follow-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operate a systematic career planning program based on an analysis of the needs of graduates taking part in a residency training program after selecting a medical special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