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개혁심의회(1987). 1986년도 연차보고서, 서울: 교육개혁심의회.
-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2009). 학교자율화 추진방안, 교육과학기술부.
- 김대현(1994). 제6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성공적실행을 위한 학교의 권한과 책임, 초등교육연구 8(1), 127-141.
- 김대현(1999). 학교 차원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기 위한 교직원 개발 모형 탐색, 부산대학교사대 논문집, 38, 197-211.
- 김대현(2010). 교육과정 개발 준거로서의 교사와 학생의 삶, 한국교육과정학회 춘계학술대회, 교육과정과 학교에서의 교육적 삶, 3-22.
- 김대현(2011). 교육과정 결정에 있어서의 국가의 간섭 조건, 교육사상연구 25(3), 21-35.
- 김성열(2001). 학교교육의 제도적 조건으로서의 학교운영위원회: 제도의 도임과 정착, 활성화.교육인류학연구 4(2), 71-129.
- 김은주.양무열.김대현(2010). 2007 개정교육과 정 통합교과의 통합단원 실행에 관한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2(2), 287-302.
- 박주상(2010). 교육과정 자율화 운영에 따른 교과교육과정 내용 재구성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서혜경(2009).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과정연구 27(3), 159-189.
- 신정철.박환보(2007). 대학에 대한 정부의 다양한 간섭 형태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5(4), 315-339.
- 심수원(2010).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들의 협력적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원용아(2011). 단위학교의 자율권 분석 : 지침과 공문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자연(2008).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식과 특징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조난심(2010).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성과 및 과제. 제6차 국정성과평가 전문가 토론회, 이명박 정부 2년 교육경쟁력 강화: 성과와 과제.
- 홍원표(2011).우상과 실상: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모순된 결과 해결 방안 탐색, 교육과정연구 29(2), 23-43.
- 홍창남 외(2009). 초등학교의 공문서 처리 실태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7(4), 277-301.
- Ben-Peretz, M.(1990). The teacher-curriculum encounter: Freeing teachers from the tyranny of texts,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Concoran, T.(1999). Making the mos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Curriculum Reveiw, 38(5), 1-4.
- Crowther, S. (1998). Secret of staff development support, Educational Leadership, 55(5), 75-77.
- Doll, R. C.(1983). Supervision for staff development: Ideas and application, Boston: Allyn and Bacon.
- Dworkin, G.(1988). The theory and practice of autonom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Pankake, A. M.(1998). Implementation: making things happen, New York: Eye on Education.
- Resh, N. & Benavot, A. (2009). Educational governance, school autonomy, curriculum implementation, Curriculum Studies, 41(1), 67-92. https://doi.org/10.1080/00220270802446826
- Rob, R.(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having choices.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2005 Annual Meeting Conference Paper, 1-28.
- Skilbeck, M.(1984).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London: Harper and Row.
- Snook, I. Lankshear, C.(1979). Education and Rights, Victoria: Melbourne University Press.
- Sparks, D. & Hirsh, S.(1997). A new vision for staff development, Virginia: ASCD.
- Wiles, J. & Bondi, J.(2002). Curriculum development: A guide to practice, New Jersey: Prentice Hall.
- Xu, Y. & Wong, H.(2011). School based curriculum in China, Chinese Education and Society. 44(4), 44-63. https://doi.org/10.2753/CED1061-1932440403
- Young, J. H.(1985).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An inqiury into the response teachers, Curriculum Inquiry, 15(4), 387-414. https://doi.org/10.2307/1179684
Cited by
- An Analysis of Professional Recognition on 2015 Curriculum Revision vol.27, pp.4, 2015,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4.1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