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algebra

Search Result 266,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학교 대수 도입과 관련된 논의 (A Study on the Approaching to School Algebra)

  • 김성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1호
    • /
    • pp.29-4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perspectives on the approaching to school algebra. School algebra plays an important role in school mathematics, but many students have been in difficulties for the loaming of school algebra. This problem has been continued for the long time. This paper supposed that this problem may be caused by the approaching stage to the school algebra.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problem, we first described the definition of algebra in chapterII. And in chapterIII, we divided the perspectives of approaching to the school algebra into the two parts. The one is the intrinsic nature of algebra, i.e. generalization, abstraction, and structural aspects. The other is the extrinsic representation of algebra, i.e. problem solving, modelling, functions. Each perspectives are investigated through various research studies. We hope that this works on each perspectives help a teacher prepare school algebra.

  • PDF

우리나라와 미국의 초기대수 비교 연구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연산 감각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Early Algebra between Korea and USA Textbooks -focusing to operation sense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 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355-392
    • /
    • 2013
  • Generally school algebra is to start with introducing variables and algebraic expressions, which have major cognitive obstacles to students in the transfer from arithmetic to algebra. But the recent studies in the teaching school algebra argue the algebraic thinking from an early algebraic point of view. We compare th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with Americans from this perspective. First, we discuss the history of school algebra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Second, we investigate the recent studies in relation to early algebra. We clarify the goals of this study(the importance of early algebra in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se discussions. Next we examine closely the number sense in the arithmetic and the symbol sense in the algebra. And we conclude that the operation sense can connect these senses within early algebra using the algebraic thinking. Finally, we compare the elementary mathematics book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operation sense. In this comparative study, we identify a possibility of teaching algebraic thinking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and early algebra can be introduced to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rom aspects of the operation sense.

대수의 탈산술화에 관한 고찰

  • 김성준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5-44
    • /
    • 2003
  • In this paper, we deal with the ‘dearithmetization’ of algebra. Historically, the origin of algebra comes from arithmetic. Also school algebra is related to arithmetic in general. However, we have many difficulties in teaching school algebra, and there is many problems for students to learn algebra from elementary arithmetic knowledges. This paper supposed that the solution of these problem may be founded in the ‘dearithmetization’ of algebra. And we supposed that the ‘dearithmetization’ of algebra may be developed by three historical achievements - the completion of symbolic algebra, the principle of permanence of form, and the expansion of number concepts. In order to justify these supposition, we investigate Peacock's ideas, i.e. ‘symbolic algebra’, ‘the principle of permanence of form’, and consider how the integer is introduced in modern mathematics. And we analyze various textbooks, and investigate the ‘dearithmetization’ of school algebra which has been progressed in the three fields - symbolic algebra, the principle of permanence of form, and the expansion of number concepts.

  • PDF

대수의 사고 요소 분석 및 학습-지도 방안의 탐색 (Analysis of the Algebraic Thinking Factors and Search for the Direction of Its Learning and Teaching)

  • 우정호;김성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453-475
    • /
    • 2007
  • 오늘날 문자의 도입과 함께 시작되는 학교대수는 초등수학에서 중등수학으로의 이행에서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는 산술과 차별화된 대수의 본질에 기인하는 것으로, 문자와 식, 방정식에서의 구문론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만으로 해결 될 수 없다. 이에 최근 학교대수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대수적 사고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수적 사고 요소를 분석하여 산술에서 대수로의 이행과 초기 대수지도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해본 것이다. 먼저 역사-발생적, 인식론적, 기호-언어학적 관점으로부터 학교대수에서 요구되는 대수적 사고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형식 불역의 원리를 비롯하여 변수 개념과 양적인 추론, 대수적인 해석-식 세우기, 변환추론-식의 변형, 연산감각-식의 조작 등을 핵심적인 대수적 사고 요소로 확인한다. 그리고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학 교과서를 분석하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대수적 사고 능력 검사와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수학에 포함된 대수적 사고 요소를 살펴본다. 또한 초등학교 수학에서부터 대수적 사고 요소를 강조함으로써 대수 입문기에 해당하는 중학교 이후의 대수 학습에 대한 준비와 더불어 대수적 사고 요소에 초점을 맞춘 산술에서 대수로의 이행을 이끌어내기 위한 지도 방안을 탐색해본다.

  • PDF

초기대수'를 중심으로 한 초등대수 고찰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algebra -focusing on 'early algebra'-)

  • 김성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309-327
    • /
    • 2003
  • 이 글은 대수 교육과정을 개선하려는 여러 움직임 가운데 초등수학을 중심으로 하는 ‘초기대수’(early algebra)에 관한 것이다. 초기대수는 중등학교 대수 교육과 관련해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초등수학의 재음미를 통해 해결하려는 시도로, 이것은 1980년대 ‘대수적 사고’를 학교대수에서 강조하려는 움직임과 함께 시작한 것이다. 초기대수는 대수를 기호가 아닌 추론 측면에서 논의하는 것으로, 기호 이전에 등장한 대수적 사고와 학생들의 심리적 발달을 고려해서 그 지도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초기대수와 관련된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미국을 비롯해서 네덜란드와 호주 등 각국에서 현재 진행 중에 있다. 한편 이 글은 우리의 초등수학 교과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초기대수와의 관련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대수 교육과정의 개선이 초등수학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시작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 PDF

교사 양성 대학에서의 대수 영역의 학습과 지도 (A Proposal on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Programs of Algebra Related Courses in Teachers College)

  • 신현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481-501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o propose programs of algebra courses for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of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Set Theory, Linear Algebra, Number Theory, Abstract Algebra I, Abstract Algebra II, and Philosophy of Mathematics for School Teachers are discussed in this article.

  • PDF

COMPLETELY V-REGULAR ALGEBRA ON SEMIRING AND ITS APPLICATION IN EDGE DETECTION

  • G.E. CHATZARAKIS;S. DICKSON;S. PADMASEKARAN;J. RAVI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41권3호
    • /
    • pp.633-645
    • /
    • 2023
  • In this paper, Completely V-Regular on semiring is defined and used to derive new theorems with some of its properties. This paper also illustrates V-Regular algebra and Completely V-Regular Algebra with examples and properties. By extending completely V-Regular to fuzzy, a new concept, fuzzy V-Regular is brought out and fuzzy completely V-Regular algebra is introduced too. It is also developed by defining the ideals of Completely V -Regular Algebra and fuzzy completely V-Regular algebra. Finally, this fuzzy algebra concept is applied in image processing to detect edges. This V-Regular Algebra is novel in the research area.

GRADED POST-LIE ALGEBRA STRUCTURES, ROTA-BAXTER OPERATORS AND YANG-BAXTER EQUATIONS ON THE W-ALGEBRA W(2, 2)

  • Tang, Xiaomin;Zhong, Yongyue
    • 대한수학회보
    • /
    • 제55권6호
    • /
    • pp.1727-1748
    • /
    • 2018
  • In this paper, we characterize the graded post-Lie algebra structures on the W-algebra W(2, 2). Furthermore, as applications, the homogeneous Rota-Baxter operators on W(2, 2) and solutions of the formal classical Yang-Baxter equation on $W(2,2){\ltimes}_{ad^*} W(2,2)^*$ are studied.

패턴과 일반화를 강조한 대수 접근법 고찰 (A Study on Approaches to Algebra Focusing on Patterns and Generalization)

  • 김성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3호
    • /
    • pp.343-360
    • /
    • 2003
  • 초등수학에서 중등수학으로의 이행에서 대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학교수학에서 어떻게 대수를 도입하는가 하는 문제는 중등수학 전반에서 그 성공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일반적으로 학교대수는 대수 기호를 형식적으로 도입하는 전통적인 접근법을 따르고 있다. 이것은 대수를 일반화된 산술이라는 관점에서 보는 것으로, 여기서 문제는 이러한 접근법에서 학생들이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는데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형식적인 대수 지도 방법을 대신하여 패턴과 일반화 측면을 강조하여 대수를 지도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은 대수를 도입하는 다양한 관점 곧, 문제해결과 모델링, 일반화된 산술을 비롯하여 함수를 포함하며, 동시에 대수에 내재된 패턴을 통해 대수학습에서 핵심으로 다루어지는 일반화라는 사고 양식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대수와 패턴, 일반화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리고 패턴과 일반화를 강조한 대수 접근법이 대수 수업의 실제에서 어떻게 제시될 수 있는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 PDF

Teaching Linear Algebra to High School Students

  • Choe, Young-H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8권2호
    • /
    • pp.107-114
    • /
    • 2004
  • University teachers of linear algebra often feel annoyed and disarmed when faced with the inability of their students to cope with concepts that they consider to be very simple. Usually, they lay the blame on the impossibility for the students to use geometrical intuition or the lack of practice in basic logic and set theory. J.-L. Dorier [(2002): Teaching Linear Algebra at University. In: T. Li (Ed.),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Beijing: August 20-28, 2002), Vol. III: Invited Lectures (pp. 875-884). Beijing: Higher Education Press] mentioned that the situation could not be improved substantially with the teaching of Cartesian geometry or/and logic and set theory prior to the linear algebra. In East Asian countries, science-orientated mathematics curricula of the high schools consist of calculus with many other materials. To understand differential and integral calculus efficiently or for other reasons, students have to learn a lot of content (and concepts) in linear algebra, such as ordered pairs, n-tuple numbers, planar and spatial coordinates, vectors, polynomials, matrices, etc., from an early age. The content of linear algebra is spread out from grades 7 to 12. When the high school teachers teach the content of linear algebra, however, they do not concern much about the concepts of content. With small effort, teachers can help the students to build concepts of vocabularies and languages of linear algebr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