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mpling Period

검색결과 1,196건 처리시간 0.023초

유통업체의 정보물류시스템 아웃소싱 유형과 물류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f Logistics Performance and Outsourcing Types of Korean Distributors)

  • 유창권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41-46
    • /
    • 2014
  • Purpose - This study focused on providing strategic findings that make significant sense for companies that are looking for a future outsourcing strategy. The study analyzes the results of outsourcing in the information logistics systems field and verifies the results through experimental study of the performance delivered by logistics outsourcing typ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tudy sample was assembled based on a random sampling method used to extract the initial 451 companies from a list of Korean distributors, wholesalers, and retailers. Following that sample process, 423 companies were confirmed by verifying their e-mail address and contacts (telephone and fax numbers), and were selected as initial research subjects. We reduced that number to 331 companies for the survey sample through telephone interviews in advance with the 423 companies that were targeted,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y are in the field of outsourcing of information logistics systems. The period of the survey extended from November 10, 2013 to January 10, 2014. The number of collected surveys totaled 181. We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survey responses, and reduced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to 175. In this study, we used a standard analys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distribution results based on different types of outsourcing information in the logistics system field and, through T-verification, we investigate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distribution results in each group resulting from that standard analysi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distribution outcome, based upon type of distribution outsourcing. In addition, we determined that they are meaningful results by confirming that, for usability and to improve the capabilities of a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supplier, both the choice of reasonable outsourcing types and the enhancement of various types of alliances are very important success factors. Taken together these study results, with a goal of enhancing the distribution capabilities of a Korean distributor, can be implemented to enhance management results achievable by supplying an information logistics system in the form of strategic outsourcing rather than in the form of simple outsourcing. In addition, the outcomes of logistics distributors in Korea that are using outsourcing in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s field show high performance results in commercial endeavors in the following order: competitive, pre-competitive, non-competitive, and pro-competitive. Conclusions - This study focused on providing strategic findings. However, in the case of outsourcing in the field of information logistics systems of Korean distributors, there has been a focus on simple outsourcing rather than on strategic outsourcing; furthermore, there has been a concentration on non-competitive forms instead of pro-competitive forms, which could achieve better distribution results. This discussion is presented in more detail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한국고유종 동방종개 Iksookimia yongdokensis (Pisces: Cobitidae)의 분포현황과 멸종위협 평가 (Distribution Status and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Iksookimia yongdokensis)

  • 고명훈;한미숙;권선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
    • /
    • 2020
  • 우리나라 고유종 동방종개 Iksookimia yongdokensis의 분포현황 및 멸종위협을 평가하기 위하여 처음으로 정밀분포조사를 2017년부터 2018년까지 2회 실시하였다. 동방종개는 조사기간 중 22개 하천, 97개 지점을 조사하여 9개 하천, 37개 지점 (경주시 대종천~영덕군 축산천)에서 서식을 확인하였다. 서식 지점 수는 형산강(15개 지점), 영덕오십천(4개), 곡강천(4개), 축산천 (3개), 대종천 (3개) 등의 순으로 많았으며, 주로 평지형 하천의 물이 맑고 유속이 느리며 자갈과 잔자갈, 돌, 모래가 쌓여 있는 소(pool)에 서식하고 있었다. 본 결과를 과거 출현기록과 비교하면, 처음으로 장사천에서 서식을 확인하였고 7개의 신규 서식지를 발굴하였으나, 과거 서식지인 송천에서는 서식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동방종개의 멸종위협 등급을 IUCN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했을 때 서식지 (점유면적)가 3세대(10.5년) 동안 38.9%가 감소하고, 서식지의 질이 하락하였기 때문에 취약(VU A2ace)으로 평가되었다. 주된 감소요인은 가뭄으로 인한 하천 건천화, 외래종 배스 Micropterus salmoides의 도입 및 확산, 하천의 개보수 사업 등이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과 기억력 증진: 단일 사례연구 (Improvement of Attention and Memory of Stroke Patient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 Single Case Study)

  • 이인선
    • 재활치료과학
    • /
    • 제3권1호
    • /
    • pp.57-65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인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집중력과 기억력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단일사례연구 방법 중 ABA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A 5회, 중재기 B 10회, 기초선 A' 5회기로 총 20회기를 총 4주에 걸쳐 적용하였다. 기초선 A와 기초선 A' 기간에는 별도의 중재를 하지 않았고 중재기 B 기간 동안 '기억의 달인(숫자, 도형, 과일 모드)'과 'Matching cute animals'라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중재하였다. 전 회기에 걸쳐 '기억의 달인(랜덤 모드)'과 'Memory free(그림외우기)'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기억력과 집중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자료는 그래프와 기술통계량으로 제시하였다. 결과 : 회기 별 실시한 기억력과 집중력 평가 결과, 기초선 A와 기초선 A' 기간보다 중재기 B 기간 동안 집중력과 기억력의 향상을 보였고, 중재 전과 후에 실시한 평가에서도 중재 후의 평가에서 집중력과 기억력의 향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중재 효과가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장시간에 걸쳐 시행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춘계 탐진강 하구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Pre-monsoon Dynamics of Zooplankton Communityin the Estuary of the Tamjin River, Korea)

  • 김세화
    • 환경생물
    • /
    • 제33권1호
    • /
    • pp.19-26
    • /
    • 2015
  •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만으로 흘러드는 탐진강 하구역의 5개 정점에서 2014년 3월부터 6월까지 매달 동물플랑크톤을 채집하여 춘계 동물플랑크톤의 군집동태를 조사하였다. 용존산소량은 하구역 정점에서 $5.0{\sim}7.0mgL^{-1}$로 강 상류역의 $7.0{\sim}11.0mgL^{-1}$보다 낮았고 pH는 7.4~8.8 사이에서 변동하며 하구역에서 높았으며 수온은 조사초기 $12.0^{\circ}C$에서 $28.0^{\circ}C$까지 증가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윤충류 25종, 지각류 8종, 요각류 30종, 수서곤충 6종, 십각류 4종, 따개비 유생 2종, 다모류 유생 2종과 단각류, 등각류, 이매패류, 미충류, 선충류, 모악동물, 자포동물, 야광충이 각각 1종씩 등 총 85종류가 출현하였다. 기수성 요각류는 전 정점에서 출현하였으며 담수산 윤충류와 지각류의 분포는 강 상류 정점에 제한되었다. Acartia 속에 속하는 종들은 3, 4월에 A. hudsonica가 출현한 후 소멸하면 5, 6월에 A. omori가 출현하는 월별 천이를 하였다.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은 $450{\sim}87,818ind\;m^{-3}$ 사이에서 변동하였는데 하구역 정점들에서 요각류 유생과 미성숙 개체들의 대량 출현에 의하여 입방미터당 수 만 개체의 출현량이 기록된 결과이다. 종 다양성지수는 0.6~2.3범위에서 변동하였는데 하구역에서 낮았고 강 상류에서 높았다. 탐진강 하구역에서의 기수역 형성은 뚜렷하며 강 상류역 수 km까지 확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Genes in Adipose Tissues of Feedlot Steers Fed Supplementary Palm Oil or Soybean Oil

  • Choi, Seong Ho;Park, Sung Kwon;Choi, Chang Weon;Li, Xiang Zi;Kim, Kyoung Hoon;Kim, Won Young;Jeong, Joon;Johnson, Bradley J.;Zan, Linsen;Smith, Stephen 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3호
    • /
    • pp.404-412
    • /
    • 2016
  • We hypothesized that supplementing finishing diets with palm oil would promote adipogenic gene expression and stearoyl-CoA desaturase (SCD) gene expression in subcutaneous (s.c.) and intramuscular (i.m.) adipose tissues of feedlot steers. Eighteen Angus and Angus crossbred steers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of 6 steers and fed a basal diet (control), with 3% palm oil, or with 3% soybean oil, for 70 d, top-dressed daily. Tailhead s.c. adipose tissue was obtained by biopsy at 14 d before the initiation of dietary treatments and at 35 d of dietary treatments. At slaughter, after 70 d of dietary treatment, tailhead s.c. adipose tissue and i.m. adipose tissue were obtained from the longissimus thoracis muscle. Palm oil increased plasma palmitic acid and soybean oil increased plasma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relative to the initial sampling time. Express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lpha ($AMPK{\alpha}$)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increased between the initial and intermediate biopsies and declined thereafter (p<0.03). SCD gene expression did not change between the initial and intermediate biopsies but declined by over 75% by the final period (p = 0.04), and G-coupled protein receptor 43 (GPR43) gene expression was unaffected by diet or time on trial. Soybean oil decreased (p = 0.01) $PPAR{\gamma}$ gene expression at the intermediate sample time. At the terminal sample time, $PPAR{\gamma}$ and SCD gene expression was less in i.m. adipose tissue than in s.c. adipose tissue (p<0.05). $AMPK{\alpha}$ gene expression was less in s.c. adipose tissue of palm oil-fed steers than in control steers (p = 0.04) and 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beta ($CEBP{\beta}$) gene expression was less in s.c. and i.m. adipose tissues of palm oil-fed steers than in soybean oil-fed steers (p<0.03). Soybean oil decreased SCD gene expression in s.c. adipose tissue (p = 0.05); SCD gene expression in palm oil-fed steers was intermediate between control and soybean oil-fed steers. Contrary to our original hypothesis, palm oil did not promote adipogenic gene expression in s.c. and i.m. adipose tissue.

Identification of Source Locations for Atmospheric Dry Deposition of Heavy Metals during Yellow-Sand Events in Seoul, Korea in 1998 Using Hybrid Receptor Models

  • Han, Young-Ji;Holsen, Thomas M.;Hopke, Philip K.;Cheong, Jang-Pyo;Kim, Ho;Yi, Seung-Muk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4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ir Health Consequences
    • /
    • pp.92-106
    • /
    • 2004
  • Elemental dry deposition fluxes were measured using dry deposition plates from March to June 1998 in Seoul, Korea. During this spring sampling period several yellow sand events characterized by long-range transport from China and Mongolia impacted the area. Understanding the impact of yellow-sand events on atmospheric dry deposition is critical to managing the heavy metal levels in the environment in Korea. In this study, the measured flux of a primarily crustal metal, Al and an anthropogenic metal, Pb was used with two hybrid receptor models, potential source contribution function (PSCF) and residence time weighted concentration (RTWC) for locating sources of heavy metals associated with atmospheric dry deposition fluxes during the yellow-sand events in Seoul, Korea. The PSCF using a criterion value of the 75th percentile of the measured dry deposition fluxes and RTWC results using the measured elemental dry deposition fluxes agreed well and consistently showed that there were large potential source areas in the Gobi Desert in China and Mongolia and industrial areas near Tianjin, Tangshan, and Shenyang in China. Major industrial areas of Shenyang, Fushun, and Anshan, the Central China loess plateau, the Gobi Desert, and the Alaskan semi-desert in China were identified to be major source areas for the measured Pb flux in Seoul, Korea. For Al, the main industrial areas of Tangshan, Tianjin and Beijing, the Gobi Desert, the Alashan semi-desert, and the Central China loess plateau were found to be the major source area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anthropogenic sources such as industrial areas and natural sources such as deserts contribute to the high dry deposition fluxes of both Pb and Al in Seoul, Korea during yellow-sand events. RTWC resolved several high potential source areas. Model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ng-range transport of Al and Pb from China during yellow-sand events as well as non yellow-sand spring daytimes increased atmospheric dry deposition of heavy metals in Korea.

  • PDF

실내압밀시험과 GIS 기법을 이용한 대규모 매립지역의 장기침하량 예측 (A Prediction of Long-Term Settlement in Large Reclamated Sites Using Laboratory Consolidation Tests and GIS Techniques)

  • 박사원;김홍택;박성원;백승철;박상권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5-19
    • /
    • 2006
  • 연약 점토지반에서의 2차 압밀침하량은 일반적으로 전체 압밀침하량에 비해 미소하고 2차 압밀까지의 종료시간도 상당히 길기 때문에 이를 무시하는 경우가 많으나 유기질 또는 고압축성의 점토에서는 비교적 큰 침하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중요한 공학적 요소로 간주된다. 이러한, 준설매립지반의 잔류침하량을 저감시키기 위해선 선행재하공법(preloading)이 주로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매립지역의 장기침하량을 보다 합리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실내에서 단계재하 압밀시험 및 surcharging 압밀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서해안(인천) 및 남해안(광양) 일대의 대규모 준설매립지역에서 시료를 채취했으며, 이 지역내 준설점토의 2차 압밀특성치들을 실험으로 규명하여 장기침하량 예측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지리정보체계(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이하 GIS)의 위치정보(수치지도)에 지반정보(속성자료)를 접목시켜 해당지역의 자료를 D/B화 한 후, GIS의 연산기능 및 공간추정 기능 등을 활용함으로써 대규모 준설매립지역의 2차 압밀침하량을 예측하였다.

  • PDF

순천만 패류 양식장 3개소의 지화학적 특성과 저서생물상 분포 -가리맛조개 양식장과 새꼬막 양식장-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enthos Distribution in the Three Shellfish Farms in Suncheon Bay, Korea)

  • 서진수;김태훈;신세연;강형일;안삼영;정재성;김영성;원남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91-710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geochemical and benthic environment of three shellfish farms in Suncheon Bay during the period of September 2014 ~ April 2015. Three sampling stations were selected; St.1 is the shellfish farm of razor clam near Jangsan area. St.2 is the shellfish farm of small ark shell near Hwapo area and St.3 is the shellfish farm of razor clam near Yongdu area. Razor clam was the dominant species at St.1, small ark shell and granulated ark shell were dominant at St.2 and St.3, respectively. Granulated ark shell inhabited St.3, although it is not cultured at that station. This station's exposure to air during the ebb tide and sediment composition likely provides the appropriate habitat for granulated ark shell species. Analysis of the number of different species showed that 8 benthos species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at St.1, 18 species at St.2, and 13 species at St.3. Among three stations, the highest Ignition Loss (IL),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Acid Volatile Sulfide (AVS) values were obtained from the sediment at St.2. The analysis of pore water from St.2 also showed the highest values of Total Organic Carbon (TOC), ammonia ($NH_4^+$),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and phosphate ($PO_4^{3-}$). These results are related to the fact that species dominance and richness is the highest in St.2.

대전지역 대기중 수증기상태 (HTO) 및 가스상태 (HT) 삼중수소의 농도 (Tritium Concentrations of Tritiated Water Vapor and Tritiated Hydrogen in the Atmosphere in Taejon)

  • 김창규;한만중;김계훈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97-101
    • /
    • 1997
  • 대기중 삼중수소에 대한 국내 기초 준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5년 3월부터 12월까지 대전지역 대기중 수증기상태의 삼중수소(HTO) 및 가스상태의 삼중수소(HT)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대기시료는 삼중수소 포집장치를 이용하여 3주간 계속적으로 채취하였으며, 대기중 삼중수소는 액체섬광계수기(Liquid scintillation counter)를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대기중 HTO의 농도는 3.2-36 mBq $m^{-3}$ (평균 : 16.2 mBq $m^{-3}$)이었으며, 여름철에 높고 겨울철에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대기중 절대습도의 변화와 유사하였다. 한편, 대전지역 대기 수분중삼중수소의 비방사능 농도는 0.62-3.82 Bq $L^{-3}$ 범위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대기중 HT는 35.7-48.9 mBq $m^{-3}$(평균 : 41.1 mBq $m^{-3}$)의 농도범위를 나타내었다.

  • PDF

북한산(北漢山) 국립공원(國立公園)의 등산로(登山路) 주변(周邊)에서 답압(踏壓)이 식생환경(植生環境)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il Compaction upon the Vegetation Environment around the Trails in Pukhansan National Park)

  • 서민환;이돈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2호
    • /
    • pp.127-137
    • /
    • 1987
  • 본 연구는 등산로 주변의 토양 및 식생에 대한 답압의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야외 조사는 1986년 4월 6일과 10월 9일 사이에 11회에 걸쳐 북한산 국립공원 내의 우이 계곡과 정릉 계곡에 위치한 등산로 및 삼림 지역에서 실시되었다. Core를 이용하여 채취한 토양의 물리적 성질들을 측정하고, 식생 조사를 실시하여 현존 식생의 상태를 조사함으로써 등산로 주변과 사람들에 의해 이용되지 않은 삼림과의 토양 및 식생 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등산로별 이용량을 시간당 이용 인원수로 산정하여 이용량의 차이에 의한 변화량의 차이도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의 물리적 성질은 등산로에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점차 호전되어 삼림지역에서 가장 좋은 상태였다. 삼림지역에서는 등산로 주변보다 더 많은 수의 목본류가 나타났으며 흉고 단면적도 더 컸다. 그러나 초본류의 경우는 등산로 주변에 더 많은 개체가 나타났으며 피도도 더 컸다. 우이 계곡에서는 토양의 가비중 및 토양 경도가 증가함에 따라 식생량이 감소했다. 그러나 정릉 계곡에서는 가비중 만이 식생의 변화에 영향을 끼칠 뿐 다른 토양 인자는 식생량의 변화에 크게 관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정릉 계곡의 식생은 토양 인자보다는 다른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았음을 뜻하는데,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휴양지의 식생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에 대한 종합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