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H

검색결과 17,380건 처리시간 0.049초

추출용매에 따른 진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Citrus unshiu Extracts obtained from Different Solvents)

  • 이성구;오성천;장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58-46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진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기용매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용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진피와 에탄올 진피 추출물을 대상으로 유기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염화 메틸렌,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를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활성 저해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폴리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928.48{\pm}1.19{\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664.64{\pm}0.74{\mu}g\;GAE/mL$로, acetone인 경우 진피는 $886.03{\pm}0.44{\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702.67{\pm}0.85{\mu}g\;GAE/mL$로,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413.08{\pm}1.39{\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429.64{\pm}0.61{\mu}g\;GAE/mL$로,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12,648.60{\pm}0.56{\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16,108.20{\pm}0.73{\mu}g\;GAE/mL$로 나타나, 진피나 에탄올 추출 진피는 모두 methanol로 추출한 것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의 함량 차이는 유기용매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2. 전자공여능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62.80%, 에탄올 추출 진피는 51.49%로 나타났으며, acetone인 경우 진피는 97.43%, 에탄올 추출 진피는 63.17%로 나타났으며,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52.20%, 에탄올 추출 진피는 67.68%로 나타났으며,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97.63%, 에탄올 추출 진피는 96.18%로 나타났다. Electron donating ability(EDA)는 유기용매 중 메탄올로 추출하였을 때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용매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3. Glutathione S-transferase(GST)에 대한 활성 저해능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76.22%, 에탄올 추출 진피는 75.54%로 나타났으며,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31.73%, 에탄올 추출 진피는 73.53%로 나타났으며,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97.48%, 에탄올 추출 진피는 48.70%로 나타났다. Glutathione S-transferase(GST)에 대한 활성 저해능은 진피인 경우 유기용매 중 메탄올로 추출하였을 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에탄올 추출 진피인 경우는 에탄올과 methylene chloride로 추출할 때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용매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수소 축합 반응에 의한 폴리디메틸실록산 미세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분석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dimethylsiloxane) foam prepared by hydrogen condensation reaction)

  • 이수;문성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802-812
    • /
    • 2016
  • 실리콘 폼은 고성능 가스켓, 열 차폐, 진동 마운트 및 Enter 키 패드로 많은 산업 분야에서 난연성 소재로서 매우 유용하다. 실리콘 발포체는 실온에서 백금 촉매 및 무기필러 존재하에서 비닐기를 함유한 폴리실록산 (V-silicone) 및 수산기를 함유한 폴리실록산 (OH-silicone)과 하이드라이드를 함유한 폴리실록산 (H-silicone)의 수소와의 수소축합반응의해 가교와 발포를 동시에 일으켜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종래의 발포와 경화를 각각 실시한 공정보다 매우 편리한 방법이다. 이 실험에 사용 된 기능성 실리콘수지들은 1.0 meq/g의 vinyl기를 가진 점도 20 Pa-s의 V-silicone과 0.4 meq/g의 수산기를 가진 점도 50 Pa-s의 OH-silicone 및 7.5 meq/g의 하이드라이드기를 함유한 점도 0.06 Pa.s.의 H-silicone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의 종류 및 함량, 촉매, 충전제 등의 변화에 따른 실리콘수지 발포체의 구조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백금 촉매는 실리콘 수지에 대하여 0.5 wt%이면 충분하였다. 낮은 점도의 OH-silicone의 첨가는 초기 발포 속도를 높이며 발포체 밀도는 감소시키지만, 낮은 점도의 V-silicone의 첨가는, 인장 강도뿐만 아니라 신율도 감소시킨다. SF-3 조건에서 얻은 실리콘수지 발포체의 밀도, 인장강도 및 신율을 각각 $0.58g/cm^3$, $3.51kg_f/cm^2$ 및 176 %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포 시스템에서의 알루미나 충전재 역시 실리콘수지 발포체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노주(老洲) 오희상(吳熙常)의 경설(經說)과 그 특징(特徵) (Noju Oh Hui-sang's ConfucianismDoctrine and its Characteristics)

  • 김영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38호
    • /
    • pp.129-162
    • /
    • 2013
  • 노주 오희상은 조선후기 순조대에 활약한 유학자로서 당시 산림의 종장이었다. 그는 절충파 성리학자로서 알려져 있으나 생부 오재순과 백형 오윤상으로 이어지는 가학을 계승하여 경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노주의 경설과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노주 경설의 경학방법론의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이 주목된다. 첫째, 전체적으로 분석이 정밀하며 경서해석에 있어서 주로 성리설과 관계된 장절을 주석하였다. 둘째, 주자주에 대한 견해는 물론 사서집주대전의 소주(小注)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탐구를 하고 있다. 다만 노주는 주자설의 경우 반대하기 보다는 주자설(朱子說)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는 선에서 경서를 해석했다. 소주의 제가의 견해에 대해서는 찬동 보다는 비판적인 학설을 많이 개진하고 있다. 셋째, 중국 유학자는 물론 우리나라 유학자의 설을 많이 인용하고 있다. 이율곡을 비롯하여 남당 한원진의 학설을 주로 소개하고 있다. 특히 그중에서도 한원진의 "경의기문록"을 자주 인용하고 있다. 넷째, 노주는 선배 유학자설을 인용함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그 학설이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될 경우 과감하게 그 오류를 지적하고 있다. 우암, 율곡은 물론 심지어는 맹자설에 대해서도 그 오류를 낱낱이 변파하고 있다. 다섯째, 특히 "주역"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정자의 "역전"에 대해서는 비판을 주자의 "본의"에 대해서는 수용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주역"의 개략적인 설명이 많고 건괘를 제외하고는 괘를 직접 설명한 것은 적으며 특히 "계사전" 설명이 상세하다.

단삼 분획추출물의 암예방 효과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Salvia miltiorrhiza Fraction Extracts)

  • 손윤희;조현정;장현욱;손건호;남경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69-374
    • /
    • 2006
  • 본 연구는 단삼 분획추출물로부터 in vitro와 in vivo상에서 QR과 GST의 활성 유도와 GSH의 함량변화를 지표로 암예방 효과를 측정하였다. Hepalcla7 세포에 대한 in vitro상에서의 실험결과 QR 활성 유도율은 70% EtOH 추출물 50 ${\mu}g/ml$ 처리군에서 2.5배로 가장 높은 유도율을 나타내었고, GST 활성 측정은 EtOAc추출물 50 ${\mu}g/ml$농도에서 1.4배의 유도율을 나타내었다. GSH 생성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H_2O$추출물, 70% EtOH 추출물 그리고 water layer 추출물 50 ${\mu}g/ml$ 농도에서 높은 생성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QR활성과 GSH 함량변화에서 높은 증가효과를 나타낸 70% EtOH 추출물을 관류법으로 마우스에 투여하여 in vivo 상에서의 QR과 GST의 활성 변화와 GSH 함량을 측정한 결과 QR, GST활성과 GSH함량이 250 mg 투여시 각각 1.7배 및 1.5배의 활성 증가와 1.4배 함량증가를 측정할 수 있었음으로 70% EtOH추출물은 암예방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Wax Gourd Extra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Uncoupling Protein Genes(Ucps) Expression in 3T3-Ll Preadipocytes

  • Kang, Keun-Jee;Kwon, So-Young
    • Nutritional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48-154
    • /
    • 2003
  • Although various raw plant materials have been demonstrated to exert anti-obesity effects to a greater or lesser extent in both humans and animals when they are used to supplement the diet, it has not been shown extensively that they influence adipocyte cell differentiation involving lipid metabolic gene expressions. Using a well-established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system, we decided to look into molecular and cellular event occurring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when raw plant materials aye included in the process, in an effort to demonstrate the potential use of a screening system to define the functions of traditionally well-known materials. To these ends, the effects of ethanol (EtOH) or EtOH/distilled water (DW) extracts of Wax Gourd were examined using cytochemical and molecular analyses to determine whether components of the extracts modulate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l preadipocytes in vitro. The cytochemical results demonstrated that EtOH or EtOH/DW extracts did not affect lipid accumulation and cell proliferation, although the degree of lipid accumulation was influenced slightly depending on the extract. EtOH extract was highly effective in apoptotic induction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l preadipocytes (p<0.05).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of lipoprotein lipase (LPL), Uncoupling protein (Ucp) 2, 3 and 4 also showed that while LPL expression was not influenced, Ucp2, 3 and 4 were up regulated in the EtOH extract-treated group and down regulated in the EtOH/DW extract-treated group. These changes in gene expressions suggest that the components in different fractions of Wax Gourd extracts may modulate lipid metabolism by either direct or indirect action. Taking these results together, it was concluded that molecular and cellular analyses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involving lipid metabolic genes should facilitate understanding of cellular events occurring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scheme and analy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should provide a screening system for the functional study of raw plant materials in obesity research.

Naphthoquinone류 화합물 흡수에 의한 페튜니아 배양세포내의 Phytoalexin 유도 (Induction of Phytoalexins by Uptake of Naphthoquinones in Cell Cultures of Petunia)

  • 김명조;곽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352-356
    • /
    • 1997
  • 식물배양세포계에서 유용 phytoalexin의 생산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페튜니아 배양세포주에 5종의 naphthoquinone류 화합물을 첨가하였을 때 유도되는 항미생물활성을 조사하였다. 처리한 naphthoquinone류 화합물 중 토양 방선균으로부터 페튜니아 세포생장억제물질로 분리한 2,5,7-trihydroxy-3-(5'-hydroxyhexyl)-1,4-naphthoquinone (3-OH NQ)이 48시간 이내에 90% 이상 효율적으로 배양세포내로 흡수되었다. 3-OH NQ를 처리한 페튜니아 캘러스 추출물은 Aspergillus candidus의 포자발아를 강하게 억제하였다$(MIC:\;32\;{\mu}g/ml)$. 3-OH NQ를 처리한 페튜니아 배양세포로부터 2종의 항미생물 활성물질 4,2',4',${\beta}$-tetrahydroxychalcone과 4',7-dihydroxyflavone을 분리하였다. 주로 유도되는 phytoalexin인 4,2',4',${\beta}$-tetrahydroxychalcone은 A. candidus의 포자발아를 강하게 억제하였다$(MIC:\;16\;{\mu}g/ml)$.

  • PDF

폴리에스터 코드의 표면개질 조건이 SBR/폴리에스터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Modification of Polyester Cord on the Adhesion of SBR/Polyester)

  • 박영삼;정경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2권2호
    • /
    • pp.75-8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스터 코드와 고무 매트릭스간의 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착시스템에 관해 조사하였다. 폴리에스터 코드의 표면 활성화를 통해 접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0.03, 0.05, 0.1, 0.2, 0.5, 1 및 5 wt.% NaOH 용액으로 폴리에스터 코드를 개질하였다. 개질된 폴리에스터 코드와 결합제가 직접블렌딩된 SBR 고무혼합물과의 접착력을 평가한 결과 0.05 wt.%의 NaOH 농도에서 10분 개질 할 때 최대의 접착강도를 나타내었다. 1 wt.% 이상의 NaOH 농도에서는 과도한 개질로 인한 폴리에스터 코드의 손상으로 인하여 접착력 실험 동안 코드의 파괴가 발생하였다. 또한, 개질한 폴리에스터 코드에 triallylcyanurate(TC) 접착제를 코팅한 후 상온에서 건조하여 접착시키는 경우 보다 $220^{\circ}C$의 고온에서 건조한 후 고무 매트릭스와 접착시킬 경우 가장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PCBs의 광화학적 연구: NaOH 및 휴믹산 (humic acid, HA)에 의한 분해특성 (Effects of NaOH and Humic Acid on the UV Photolysis of PCBs)

  • 신혜승;김재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7-156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whether the apparent photolysis with or without sensitizers [NaOH and humic acid (HA)] was prompted photodegrad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 (PCB) in aqueous solution. Methods: PCBs photodegradation occurred using fluorescence black lamps at ${\lambda}_{max}=300nm$. PCB congeners were exposed in 10 ppm HA or 0.05N NaOH solutions, to investigate the decreasing profile of PCB concentration with time. The PCBs were then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Reductive degradation profile of PCB congeners in the presence of both sensitizers under oxygen-saturated protic conditions was described using the wind-rose diagrams. Results: Use of HA or NaOH decreased PCB concentration with time in the dark and on irradiation, indicating that photolysis underwent through reductive dechlorination through energy transfer and possibly with reactive oxygens. The dechlorination was marked by a chromatographic shift, observed in the GC-MS plots. Therefore it is logical to assume that increasing the dose of sensitizers would increase the photodegradation rates of PCBs. The half-lives of pentachloro-PCB (penta-3) in 0.05N NaOH and 10 ppm HA were estimated at about 47 hours and 39 hours, respectively,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of photolysis.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photolysis of pentachloro-PCB in aqueous solution followed apparent first-order kinetics compared to other congeners. Conclusion: Photochemical degradation (using 328 nm UV light) of penta- and hexa-PCBs in HA or alkaline solution is a viable method for pretreatment method. The results are helpful for the further comprehension of the reaction mechanism for photolytic dechlorination of PCBs in aquatic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