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yal Library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7초

고종대 왕실도서관의 변천 과정에 관한 통시적 고찰 (A Diachronic Study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Royal Library during the Gojong Period)

  • 송승섭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13-239
    • /
    • 2022
  • 이 연구는 근대화에 앞서 국내외적으로 가장 혼란스러웠던 고종 시대사 속에서, 왕실도서관(규장각)의 변천 과정을 연대순으로 정리하고 그 흐름을 분석하여 통시적 의미를 찾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고종대 왕실도서관과 개인도서관 역할을 한 고종의 서재와 도서 수장처 전체 현황을 조사했다. 둘째, 조사 현황을 바탕으로, 고종대 초기 왕실도서관부터 대한제국 시기 황실도서관까지 이어지는 변천 과정과 그 의미를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각종 서목 등 당시의 다양한 사료와 함께 고찰했다. 셋째, 경복궁, 창덕궁, 경운궁으로 이어지는 왕실도서관의 시·공간적 변화와 양상을 왕궁별로 도식화하여 정치·사회적 의미를 분석했다. 그 결과, 첫째, 고종은 규장각을 왕권을 강화하고, 근대화과정에서 서양 문화를 수용하는 장치로 활용했다. 둘째, 고종의 정치적 지향을 담은 핵심 공간인 어진 봉안처, 도서 수장처, 집무처는 경복궁, 창덕궁, 경운궁에 걸쳐 별전으로서 일곽을 이루며 점차 서구식 건축양식으로 변화했다.

강도외규장각고

  • 배현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6권
    • /
    • pp.53-103
    • /
    • 1979
  • Kyujang-gak was an institution established by the King Jungjo's order to enshrine and edit the royal writings and autographs, and to help the revival of learning with more active services in collection, control, and use of the important materials. Furthermore, it was aimed in its establishment to promote the settlement of an innovative and ideal Royal Regime. In this paper, the Outer Kyujang-gak(外奎章閣) of Kangwha Magistracy(江華府), which was one of the lower branches of the Kyujanggak(奎章閣), will be treated, especially about its details of establishment, location, functions,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its collectio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Historical Deposit Library(史庫) was established at the Kangwha Magistracy to take custody of the royal writings and autographs. An Annex(別庫) was built near by the Historical Deposit Library to enlarge the space in the reign of the King Hyojong. These spaces, however, become insufficient as the amount of materials deposited expanded, and custody for them was also not successful. Therefore, at the April of the 6th year of the King Jungjo's rule, the Outer Kyujang-gak was built at the east of the Temporary Palace(行宮) within Kangwha Magistracy, where the royal materials were deposited. This Outer Kynjang-gak was also called 'Kangdo Oe-gak(江都外閣)', 'Kyujang Oe-gak(奎章外閣)' or 'Simdo Oe-gak(心都外閣)', and its major function was to take custody of the materials and to hand them down to the next generations forever. The Kandwha Magistrate(江華留守) was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the Outer Kyujang-gak. Regular events for the book keeping were enshrinement, inventory and airing. In the 6th year in the reign of the King Jungjo, 4,892 volumes consisting of 762 titles were moved here from the Bon-gmodang(奉謨堂), the Seoseo(西序) in Main Palace, the Annex(別庫), the Deposit Library(史庫) mentioned above, the Kaegsa(客舍) and Chaeg-go(冊庫) within Kangwha Magistracy. By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fourteen times of addition altogether, the number of collection enshrined here reached 6,400 volumes consisting of 1,212 titles. The significance of this Outer Kyujang-gak established at the Kangwha Magistracy is in the point that this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opsit libraries of the Joseon Dynasty.

  • PDF

홍문관고(弘文館考) (A Study on the Hongmunkwan(弘文館))

  • 박영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36-265
    • /
    • 1974
  • The study is to trace the origin of the Hongmunkwan ana discuss its development and roles assigned in each succeeding stages of the history. The Hongmunkwan lived a long life through Koryo and Yi dynasties. It was a multi-functioned institution designed as a royal library,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a political reference center. Prior to the Hongmunkwan, there were some established institution with similar functions to its ones during the Three-Kingdom Era. One of such kind was the Sungmunkwan(崇文館), which was eventually renamed the Hongmunkwan by King Songjong(成宗) of Koryo in 995, and a distinguished scholar-minister was appointed at the position of directorship for management of the now status-raised institution where state documents and books were housed. The Hongmunkwan experienced some reforms during its long life. In 1420, King Sejong(世宗) of Yi Dynasty founded the Jipyonjon(集賢殿) within the royal palace in place of the Hongmunkwan. The Jipyonjon was an innovated Hongmunkwan where many scriptures were stored and distinguished scholars and officials studied on them, sometimes delivering lectures to the king. King Sejo(世祖) abolished the Jipyonjon in his second year(1456) and reestablished the Hongmunkwan designed as a royal library in place of the former in his ninth year. King Songjong(成宗) in his 10th year (1479) of the reign, reformed the Yemunkwan(藝文館), which exis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Yi dynasty, by extending its functions and afterwards absorbed it into the Hongmunkwan together with the functions of the former Jibhyonjon which were included in the Yemunkwan. He founded another Yemunkwan which had the roles of drafings and descriptions of royal decrees. In the 10th year (1504) of Yonsankun(燕山君), the Hongmunkwan was abolished and instead of it the Jindokchong(進讀廳) was founded with less authority and functions. But shortly after that, King Jungjong(中宗) refounded the Hongmunkwan with the same scale, same authority and same functions as the former, one. As the Hongmunkwan also had a function of the royal library it collected and kept numerous books and writings in it. Some books and writings of the Hongmunkwan were composed of those which had been transmitted from the Koryo Dynasty and the others were composed of those which had been collected in the country or purchased by the trade with China in the Yi dynasty. Also newly-compiled important books in the country were reprinted and one of them were send to the Hongmunkwan. In the 8th year (1784) of King Jongjo(正祖), the history of the Hongmunkwan, entitled the Hongmunkwanji(弘文館志), was written and editioned by the royal decree and it was reeditioned the 7th year (1870) of King Kojong(高宗). The Hongmunkwan was absorbed into the Kyujanggak(奎章閣) in 1907.

  • PDF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통정 기능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Bibliographic Control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 정연경;최윤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43
    • /
    • 2010
  • 본 연구는 선진국의 국가대표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서지통정 조직 및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서지정보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서지통정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에서 국립도서관의 정의와 역할, 서지통정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고 사례조사에서는 미의회도서관, 영국 국립도서관,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덴마크 왕립도서관, 한국의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현재 운영 중인 서지 통정 관련 부서의 운영 방안과 주요 업무를 분석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통정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독립적인 서지통정 전담 부서의 설치, 둘째 서지데이터의 고품질화 및 유관 기관과의 협력 체제 강화, 셋째, 서지통정의 제반 연구 기능의 강화를 제시하였다.

도서관을 위한 디지털 포맷 선정 전략 연구 (A Study on Digital Format Selection Strategies for a Library)

  • 서태설;장덕현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3호
    • /
    • pp.1-21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디지털 포맷의 기본 유형을 정의하였고, 미국의 NISO와 LC, 그리고 덴마크의 국가 및 대학 도서관/왕립 도서관의 디지털 포맷 선정 기준의 사례를 소개하였다. 이를 분석 및 종합하여 5가지 유지관리 측면의 선정 요인(설명성, 독립성, 일관성, 범용성, 품질)과 품질 및 기능성 선정 요인을 얻었다. 이를 기반으로 도서관을 위한 디지털 정보자원에 대한 포맷 선정 전략을 제시하였다.

장서각 소장 선생안(先生案)의 현황과 사료적 가치 (The status, classification and data characteristics of Seonsaengan(先生案, The predecessor's lists) in Jangseogak(藏書閣, Joseon dynasty royal library))

  • 이남옥
    • 동양고전연구
    • /
    • 제69호
    • /
    • pp.9-44
    • /
    • 2017
  • 선생안은 인명부로써 관원의 성명 부임일 체직일 내직 거직 본관 자 과거 급제 여부까지 다양한 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조선시대 인사 관련 자료에서는 살펴볼 수 없는 지방 수령과 중인들의 관직생활에 대한 선행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조선시대 선생안의 현황과 분류조차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는 조선시대 선생안의 현황과 분류 그리고 선생안 자료의 자료적 특징에 대해서 밝히고자 한다. 현재까지 전하고 있는 조선시대 선생안은 176종이다. 이 선생안들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47건), 서울대학교 규장각(80건), 국립중앙도서관(24건), 기타 소장처(25건)에 소장되어 있다. 장서각에는 왕실관련 선생안이, 규장각에는 중앙관청 관련 선생안이, 국립중앙도서관과 기타 소장처에는 지방관청 관련 선생안이 소장되어 있다. 다만, 본고는 접근 가능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선생안 47건에 대해서 중심으로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앞서 밝힌바와 같이 장서각 소장 선생안은 대체로 왕실과 관련된 선생안이다. 이를 분류해보면 중앙관청 선생안 18건, 지방관청 선생안 5건, 왕실관련 선생안 24건이다. 이를 다시 내용으로 분류해보면, 의례 및 외교 관련 관청 선생안 6건, 왕실 관리 관청 선생안 12건, 지방 관청 선생안 5건, 혼전 능원 선생안 14건, 왕실 교육 선생안 10건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선생안에 수록된 성명 본관 자 과거 급제 여부 제수일 부임일 체차일 내직 거직 등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의 여섯 가지 특징으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수록 인원에 대한 기본적인 인적 사항을 알 수 있다. 둘째, 각 관청 및 관직의 재직기간과 승직 및 체직 사유를 알 수 있다. 셋째, 관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넷째, 내직과 거직을 통해 조선시대 인사행정 시스템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다. 다섯째, 각 관청별로 특별히 중요한 날을 알 수 있다. 여섯째, 포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법전에 기록된 내용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조선시대 현실의 모습이며, 이를 통해 조선시대 인사행정 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다. 다만, 정밀한 검토를 하기 위해서는 현재까지 전하는 선생안 176종에 대한 DB화 작업이 필요하며, 이후 기존에 구축된 방목 족보 등의 자료와 연계하여 데이터를 분석해나간다면 조선시대 인사행정 시스템을 알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고대 도서관 명칭의 기원과 변용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the Word 'Library' in the Ancient World)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1-21
    • /
    • 2021
  • 본 연구는 고대 근동 및 그리스·로마의 기록관과 연계한 도서관 명칭의 기원과 변용을 추적하였다. 첫째, 도서관이란 말의 기원은 두 갈래다. 하나는 고대 그리스어 βιβλιοθήκη에서 라틴어 bibliothēkē가 파생되었고 최초 흔적은 2세기 후반 폴룩스의 「Onomasticon」이고, 문헌 텍스트 집합으로 간주하면 1602년 립시우스의 「De Bibliothecis Syntagma」다. 다른 하나는 라틴어 libraria가 고대 프랑스어 librairie로 변용된 후 14세기 초 library로 정착되었다. 영어 library는 1374년 초서가 조어하였다. 둘째, 고대 근동의 점토판 보존소는 기록관에 가깝지만 공식 명칭은 알 수 없다. 그러나 아슈르바니팔 점토판 보존소는 기록학계의 원질서 존중 및 출처주의 원칙과 거리가 멀기 때문에 왕실기록관이 아닌 왕립도서관의 원형이다. 알렉산드리아도서관의 공식 명칭은 'Βιβλιοθήκη της Αλεξάνδρειας'이었고 'ALEXANDRINA BYBLIOTHECE'로 변용되었다. 셋째, 고대 그리스·로마에서는 기록관과 도서관이 분리되었다. 그리스 도서관은 체육관 부설 도서실 수준이었고, 독립된 명칭은 거의 없었다. 목욕탕에 많이 부설된 로마 도서관의 명칭은 βιβλιοθήκη과 Bibliotheca이 혼용되었다. 마지막으로 고대 도서관은 중세 수도원 도서관으로 계승되었고, 이슬람제국에서는 '바이트 알-히크마'로 변용되었다. 한중일에서는 19세기말 화제한어 도서관이 수용되었으나 쟁점이 많아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문중문고(門中文庫)에 대하여 -특(特)히 수봉정사(壽峰精舍).영규헌(映奎軒) 우문고(雨文庫)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Clan Community Library in Korea)

  • 이춘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8-101
    • /
    • 1974
  • The libraries that existed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Yi Dynasty may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the royal library, the school library, the clan community library, and the private library. Of these, the clan community library has yet received very little attention in the study of Korean libraries. In this study the author discusses the purposes, functions, and collections of the clan community library to clarify what that particular type of old libraries in Korea was. The clan community library functioned within individual clan communities to give young people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protecting them from possible influences of. Japanese version of Western scholarship which had threatened the traditional value systems of the society.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clan community library was a unique community institution created by Korean people, and the Korean public library movement should trace its origin back to the activities of the libraries. Unfortunately the growing suppression and control of the Japanse colonial regime upon the traditional schools made the purposes and development of the clan community library movement a tragic experience before its flowering. The clan community library was a Korean native public library which came out in response to a historical situation and community need. It may deserve more attention in future study of the national library movement of Korea.

  • PDF

조선후기 대중 서적수입정책 연구 (A Study on the Book Importation From China in the Latter Choson Period)

  • 강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1권
    • /
    • pp.1-18
    • /
    • 1984
  • The study aims at book importation from China in the Latter Choson Period. It chiefly, achieved to concomitant with an envoy of a trimming policy. The pattern of book importations divided into public trade, private trade, Royal gift. Beyond the main stream of imports were Neo-Confucian books, a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s classics books and Paegwan fictions (fictional narratives of oral natures compiled by local officials) including So-hag books that were at that time in the fashion were introduced into Korea. Like this, several pattern of book importation had an important effect upon closed Choson society.

  • PDF

주요 선진국 민간주도형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분석과 시사점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Private-led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in Major Advanced Countries)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23
    • /
    • 2022
  • 지식과 정보에 대한 접근은 보편적 인권이다. 그러나 2013년 6월 27일 마라케시 조약이 채택된 후에도 대다수 국가에서 시각장애인을 포함한 독서장애인이 접근 가능한 자료는 표준 인쇄물의 1-7%에 불과하고 도서관서비스도 매우 취약하여 도서 기근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심각한 격차 및 불평등에 주목한 본 연구는 주요 선진국에서 민간단체가 장애인서비스를 주도하는 미국 Learning Ally와 Bookshare, 영국 RNIB, 프랑스 BNFA, 일본 SAPI를 분석하였다. 주요 내용은 모태와 발전, 법적 근거와 주요 정책, 도서관과의 관계, 회원제도, 서비스 체계와 내용, 대체자료의 개발과 확보, 서비스 제공 실적 등이다. 그리고 도출된 시사점과 마라케시 조약을 기반으로 국내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강화를 위한 전략적 과제를 제안하였다. 장애인 '독서장벽 해소를 위한 법률' 제정 촉구, 도서관서비스를 제약하는 「저작권법」 관련 조항 개정, 국립장애인도서관 조직역량 강화, 도서관평가에서 장애인서비스 지표 제고, 광역대표도서관 중심의 도서관 협력시스템 구축과 서비스 확대 등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