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atus, classification and data characteristics of Seonsaengan(先生案, The predecessor's lists) in Jangseogak(藏書閣, Joseon dynasty royal library)

장서각 소장 선생안(先生案)의 현황과 사료적 가치

  • Received : 2017.11.28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Seonsaengan(先生案) is the predecessor's lists. The list includes the names of the predecessor, the date of the appointment, the date of return, the previous job, and the next job. Therefore, previous studies on the local recruitment and Jungin (中人) that can not be found in general personnel information of the Joseon dynasty were conducted. However, the status and classification of the list has not been achieved yet. So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tatus, classification and data characteristics of the list. 176 books, are the Joseon dynasty lists of predecessors, remain to this day. These lists are in Jangseogak(47 cases), Kyujanggak(80 cases),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24 cases) and other collections(25 cases). Jangseogak has lists of royal government officials, Kyujanggak has lists of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other collections have lists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However, this paper focuses on accessible Jangseogak list of 47 cases. As I mentioned earlier, the Jangsaegak lists are generally related to the royal government officails. This classification includes 18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5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24 royal government officails. If the list is classified as contents, it can be classified into six rituals and diplomatic officials, 12 royal government officials, 5 local government officials, 14 royal tombs officials, and 10 royal education officials. Through the information on the list, the following six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First, it can be finded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recorded person. Second, the period of office and reasons for leaving the office and office can be known. Third, changes in the office system can be confirmed. Fourth, it can be looked at one aspect of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previous workplace and the next job. Fifth, it is possible to know days that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each government. Sixth, the contents of work evaluation can be confirmed. This is the reality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tents recorded in the Cod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look at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in order to carry out a precise review, it is necessary to make a database for 176 lists. In addition, if data is analyzed in connection with existing genealogy data,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선생안은 인명부로써 관원의 성명 부임일 체직일 내직 거직 본관 자 과거 급제 여부까지 다양한 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조선시대 인사 관련 자료에서는 살펴볼 수 없는 지방 수령과 중인들의 관직생활에 대한 선행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조선시대 선생안의 현황과 분류조차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는 조선시대 선생안의 현황과 분류 그리고 선생안 자료의 자료적 특징에 대해서 밝히고자 한다. 현재까지 전하고 있는 조선시대 선생안은 176종이다. 이 선생안들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47건), 서울대학교 규장각(80건), 국립중앙도서관(24건), 기타 소장처(25건)에 소장되어 있다. 장서각에는 왕실관련 선생안이, 규장각에는 중앙관청 관련 선생안이, 국립중앙도서관과 기타 소장처에는 지방관청 관련 선생안이 소장되어 있다. 다만, 본고는 접근 가능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선생안 47건에 대해서 중심으로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앞서 밝힌바와 같이 장서각 소장 선생안은 대체로 왕실과 관련된 선생안이다. 이를 분류해보면 중앙관청 선생안 18건, 지방관청 선생안 5건, 왕실관련 선생안 24건이다. 이를 다시 내용으로 분류해보면, 의례 및 외교 관련 관청 선생안 6건, 왕실 관리 관청 선생안 12건, 지방 관청 선생안 5건, 혼전 능원 선생안 14건, 왕실 교육 선생안 10건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선생안에 수록된 성명 본관 자 과거 급제 여부 제수일 부임일 체차일 내직 거직 등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의 여섯 가지 특징으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수록 인원에 대한 기본적인 인적 사항을 알 수 있다. 둘째, 각 관청 및 관직의 재직기간과 승직 및 체직 사유를 알 수 있다. 셋째, 관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넷째, 내직과 거직을 통해 조선시대 인사행정 시스템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다. 다섯째, 각 관청별로 특별히 중요한 날을 알 수 있다. 여섯째, 포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법전에 기록된 내용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조선시대 현실의 모습이며, 이를 통해 조선시대 인사행정 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다. 다만, 정밀한 검토를 하기 위해서는 현재까지 전하는 선생안 176종에 대한 DB화 작업이 필요하며, 이후 기존에 구축된 방목 족보 등의 자료와 연계하여 데이터를 분석해나간다면 조선시대 인사행정 시스템을 알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