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f Landscape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7초

거주환경 개선을 위한 농촌주택 개보수 인식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농촌마을 거주자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for Rural Housing Remodeling for Improved Residential Environment - For Rural Residents in Jeollanam-do -)

  • 김윤학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27-3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remodeling range needed first to support the future remodeling of rural housing.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 such as an outer wall, a roof, a fence, and a gate which are main elements of forming the landscape of a rural village and rural residents' perception for re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ubject rural housing mostly had a timber structure and a masonry structure. Common roof types were a hip-and-gable roof and a gable roof. Frequent materials were a panel, a tile, and slate and common colors were primary colors such as reddish brown, black, and gray. A fence made of cement blocks and finished by a white paint was often found. A closed gate with iron frames was common. A standup kitchen and a flush toilet inside the house were common. The family members of rural residents were mostly two including a farmer husband and his wife. Elderly people of sixty and over were the most common. For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 half of respondents were not unsatisfied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mostly due to an old house. Most respondents who were not satisfied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had high perception for the need of remodeling. The most commonly asked remodeling part was a roof, followed by a toilet, and an outer wall, indicating that the need of exterior remodeling was higher than that of interior remodeling. For a remodeling method, a total improvement was preferred. Although some rural village housing was improved by support of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or social groups, there are still many old houses. As this co-existence of improved houses and old houses hinders the landscape of rural village, it is necessary to give a support. But rural residents' requests should be first actively reflected to establish a guideline of supporting rural house remodeling.

건물용도별 옥상공간의 이용행태 및 선호도 분석 - 서울특별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Behavior and the Preference of Roof Spaces Depending on Building Types - A Focus on the Case of Seoul, Korea -)

  • 김은진;정태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10-20
    • /
    • 2014
  • 오늘날 옥상공간은 대부분 휴식과 같은 이용을 목적으로 조성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옥상공간의 이용이 적거나, 유지관리가 소홀하게 되면, 옥상공간이 방치되거나, 용도변경 등의 이유로 조성비용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어,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국내의 경우, 옥상공간은 비교적 획일적이고 단순하게 조성되어 있다. 하지만, 건물용도에 따라 이용자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옥상공간의 이용행태와 선호도도 다를 것이며, 옥상공간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이러한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개의 건물용도(공공건물, 교육연구건물, 의료건물, 판매건물)를 선정하여 연구대상지의 이용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옥상공간의 이용행태와 선호도를 건물용도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때, 교차분석, 다중응답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옥상공간의 이용행태에서 이용목적, 이용동기, 이용빈도, 평균체류시간이 건물용도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용목적의 경우, 모든 건물에서는 휴식을 위해서 옥상공간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공건물에서는 대화와 흡연을, 교육연구건물에서는 흡연, 산책 및 스트레칭, 외부경관감상을, 의료건물에서는 산책 및 스트레칭과 대화를, 판매건물에서는 아이 돌보기와 대화를 목적으로 옥상공간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옥상공간의 선호도에서도 식물유형, 포장재, 시설물 선호도가 건물용도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물유형의 경우, 공공건물 이용자들은 초본류와 채소류 및 수생식물을, 의료건물 이용자들은 채소류 및 수생식물을, 판매건물 이용자들은 모든 유형의 식물을 다른 용도의 건물 이용자들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건물용도별 옥상공간의 이용행태와 선호도 차이를 고려하여 옥상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이용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비 사업을 통해 본 경주 양동마을 전통조경 재료의 변화양상 - 1970년대 이후 마을 내 건축물 지붕 소재를 중심으로 - (A Changes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Materials in Yangdong Village, Gyeongju - Building Roof Materials in the Village Since the 1970s -)

  • 김동현;이종성;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0-57
    • /
    • 2018
  • 본 연구는 경주 양동마을을 대상으로 경주 양동마을 건축물의 외관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그간 수행되었던 조사사업 및 정비계획을 토대로 1970년대 이후 지붕재료의 변화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1970년대 양기와를 사용한 가옥의 비중이 와가와 유사하게 나타나며, 슬레이트 지붕이나 슬라브집 등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이미 근대화 도시화에 의한 근대적 재료의 사용으로 마을 경관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1977년 민속자료 보호구역 지정, 1984년 중요민속자료 지정에 따른 초기단계 정비 사업이 진행되었으나 보수정비 예산 부족, 무분별한 보수 공사로 그 실효성은 높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이전시기 초가의 감소, 양기와 슬레이트 등의 재료 사용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었다. 셋째,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문화재관리국에서는 대대적인 보수사업을 통해 전통방식으로의 회복을 추진하여 양기와 지붕의 감소, 함석 지붕의 제거, 초가의 증가 등 전통소재의 환원에 노력을 기울였다. 넷째, 2000년대 이후는 이전시기 다양한 정비 사업들이 완료되는 시기로 와가와 초가의 비율이 대폭 증가하고 슬레이트 지붕을 얹은 가옥이 절반 가량 감소하는 등 이전시기와 구별되는 특성을 지니며, 세계유산 등재(2010) 이후 마을의 퇴락가옥 보수정비, 경관 개선사업 등 유지관리 수준의 정비가 이루어졌다.

건물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저류 옥상 녹화의 온도 저감 효과 (The effect of Temperature Reduction of Green roof for building energy-saving using Rainwater Storage Tank)

  • 윤석환;김은섭;박정강;김상혁;김나연;황혜미;제상우;강한민;함은경;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1-59
    • /
    • 2023
  • Despite countries' efforts to reduce carbon emissions, carbon emissions have increased in recent decades along with energy use, of which building energy uses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Energy savings are essential as a strategy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 existing buildings. The field experiment on the roof of a building located in Seoul was design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of green roof with rainwater storage tank to reduce cooling energy consumption in summ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mean surface temperature under the green roof was 14.77 degrees lower than that of the non-green roof from 13:00 P.M. to 15:00 P.M., which would have a great effect on reducing cooling energy. From 01:00 A.M. to 03:00 A.M., the effect was 3.36 degrees, showing that tropical nights could be improved. Th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due to the rainwater storage system increased by 1.45 degrees during the day and decreased by 0.63 degrees at night. The storage system can be strategically utilized to reduce carbon emissions during the week when cooling energy increases significantly.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를 통해 본 전통조경공간 설계 시공방법 (A Study on the Design & Construction Method of Traditional Landscape Space through the 『Imwongyeongjeji』 「Seomyongji」 and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 이정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10
    • /
    • 2019
  • 본 연구는 과거 전통조경공간의 설계 및 시공과 오늘날 이를 유지 계승하기 위한 문화재수리 및 정비 등의 시공방법을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를 토대로 서술방식, 전통조경 분야 관련 공정 추출, 시공방법을 상호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의 서술방식 및 전통조경 분야 관련 공정을 살펴본 결과 임원경제지 섬용지는 생활공간 전반의 시공방법을 집대성한 백과사전서로 구성요소별 시공방법의 사용처, 효과, 장·단점을 서술하고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여 전통조경공간 시공의 제도의 보급을 목적으로 삼았다.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는 문화재 수리의 공정 전반을 제시하였으며, 문화재 수리 현장에서 참고할 수 있는 일종의 지침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중 기초공사, 지붕공사, 조경공사, 담장공사 등이 전통조경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주요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전통조경공간 시공방법을 기초공사와 지붕공사, 조경공사, 담장공사 등의 공정으로 구분하여 분석해보면, 기초공사는 지반을 다지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지붕공사 중 기와지붕 조성은 서까래 위에 산자를 설치하고 기와를 쌓았으며, 초가지붕은 볏짚을 여러 다발로 묶어 차례로 지붕을 덮었다. 석판지붕은 기와 대신 얇고 넓은 돌을 사용하였으며, 너와지붕은 나무판자를, 굴피지붕은 건조시킨 굴피를 여러 겹으로 깔아 조성하였다. 조경공사는 주로 잡석다짐을 통한 포장기법과 여러 단을 조성하고 상부에 석물이나 화초나 관목 등을 식재하는 화계 시공이 주를 이루고 있고 담장공사는 쌓는 재료에 따라 흙을 다져 쌓은 토담, 돌과 진흙을 사용한 돌담, 기와로 무늬를 만든 영롱담, 널판을 벽면으로 사용하는 판장 시공 등이 도출되었다. 셋째,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의 시공방법을 비교해보면, 임원경제지 섬용지는 전통공간의 신규 조성을 위한 시공방법의 표준화에 중점을 두고,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는 문화재 수리 현장의 다양성을 고려한 전반적인 시공 절차를 제공하여 시공의 범위 설정에 차이가 있다. 또한 과거 전통조경공간은 일상거주공간이었으나 오늘날에는 문화재로 지정된 곳으로서 기 구축된 시설의 유지관리 공정이 이루어지며, 관람환경 조성을 위한 시공방법이 추가되었다. 전통지식의 계승 차원에서 과거의 시공방식은 오늘날 문화재 수리에도 일정 부분 유사한 방법들이 확인되며, 일부 소재나 배합방식, 후대 추가된 시설의 구분, 효율적인 시공방식의 도입 등 전통기술을 재구성한 사례도 확인되었다.

옥상조경 시설의 유형별 효용 인지도와 이용 만족도 간의 인과관계 분석 - 서울시의 백화점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Benefit Awareness and Satisfaction with Various Types of Green Roofs - A Focus on the Case of Department Stores in Seoul, Korea -)

  • 김은진;정태열;김용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89-97
    • /
    • 2012
  • 최근 옥상조경은 휴식 등의 이용을 목적으로 조성되는 경향이 있으며, 공간 활용도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휴식을 주목적으로 조성한 옥상조경은 이용이 저조하면 유지관리가 소홀하게 되어 조성비용의 낭비를 초래할 수가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옥상조경의 이용 만족도가 높으면 이용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제하에, 옥상조경의 다양한 효용을 인지하는 것이 이용을 만족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옥상조경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에 먼저 옥상조경의 효용 인지도와 이용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한 변수와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옥상조경의 시설현황에 따라 이용자의 효용 인지도와 이용 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서울시에 위치한 3대 브랜드 백화점 11개소의 옥상조경 시설현황을 조사하여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각 유형을 대표할 수 있는 5개소 백화점을 직접 방문하여 옥상조경의 이용자 및 이용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옥상조경의 유형별 효용 인지도와 이용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이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향후 대상지를 폭넓게 선정하여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좀 더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환경색채 추출을 통한 농촌마을 지붕 개선색채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An Approach to Determining Rural Rooftop Color by Environmental Color Extraction)

  • 이영;안동만
    • 농촌계획
    • /
    • 제16권3호
    • /
    • pp.1-1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lor preference on rural rooftop color. Today, public profit value of a rural community has been heavily recognized in the areas of preservation of pro-environmental and traditional life styles and foundation of collective community. Comparatively with urban, rural town conserves the scenic of those days when the historic landscape existed. Therefore, elements of historic and tradition in rural town are interesting resources to people who want traditional experience. Color is one of the most influenced elements for the image of Landscape. On the other hand, radical modernization has brought conflicting color element that does not blend with existing environmental color. Among others, roof represents one of the important traits of rapidly developing rural community due to vast amount of space it covers. In order to come up with more appropriate coloring scheme, it is necessary determine color that forms a balance with present conditions of rural life and historic landscape. This study provides more objective rooftop coloring selection process by employing additional surveys regarding color image adjective. I justified necessity of the balance between environmental color and roof color through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color of the rural town and Color Image Scale of the preliminary selection of roofs.

지피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형 옥상녹화 시스템 및 식물 내건성 평가 (Assessment of Roof-rainwater Utilization System and Drought Resistance of Ground Cover Plants)

  • 강태호;조홍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1-8
    • /
    • 2013
  • 이 연구는 2종의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시스템(세덤박스와 우수저장형 옥상녹화시스템)을 대상으로 옥상녹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옥상의 건조한 조건에 잘 견딜 수 있는 내건성 식물 12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우수저장형 옥상녹화시스템의 기초 연구를 위해 식물의 내건성을 평가하였다. 식물의 내건성 평가를 위해 무관리 조건에서 12종 식물의 건조스트레스의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내건성 평가는 처리 시간에 따라 12종 식물의 상대수분함량의 변화, 전해질 용출 평가, 엽록소 함량의 변화, 토양수분과 건조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건조처리 시간이 길수록 식물들의 상대수분 함량과 엽록소 함량이 감소하면서, 전해질 용출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식물의 내건성 평가 결과, Pulsatilla koreana, Ainsliaea acerifolia를 제외한 10종이 내성이 강하여 옥상녹화에 적용 가능한 종으로 판단되며, 우수저장형 옥상녹화 시스템에서 식물들의 내건성은 식생박스의 식물들보다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수저장형 옥상녹화 시스템이 식물의 생육과 건조조건에 대한 저항성 증진 효과가 있는 것이 증명되어 도시 옥상녹화에 이용할 수 있다.

관리조방형 옥상녹화의 식재모델별 표면온도 모니터링 (Temperature Monitoring of Vegetation Models for the Extensive Green Roof)

  • 윤희정;장성완;이은희
    • KIEAE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89-96
    • /
    • 2013
  • Green roofs can reduce surface water runoff, provide a habitat for wildlife moderate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mprove building insulation and energy efficiency, improve the air quality, create aesthetic and amenity value, and preserve the roof's waterproofing. Green roofs are mainly divided into three types : intensive, simple-intensive, and extensive. Especially, extensive roof environment is a harsh one for plant growth; limited water availability, wide temperature fluctuations, high exposure to wind and solar radiation create highly stressed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at extensive green roof, was carried out on the rooftop of the library at Seoul Women's Univ. from October to November, 2012 and from March to August, 2013. To suggest the most effective vegetation model for biodiversity and heat island mitigation, surface temperatures were monitored by each vegetation model. We found that herbaceous plants of Aster sphathulifolius, Aceriphyllum rossii and Belamcanda chinensis, shrub of Syringa patula 'Miss Kim',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Sedum species can mixing each other. Among them, the vegetation models including Sedum takesimense, Aster sphathulifolius,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was more effective on the surface temperature mitigation, because the species have the tolerance and high ratio of covering, and also in water. Especially, in the treatment of bark mulching, they help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vegetation models. In the case of summer, temperature mitigation of vegetation model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vegetation types. Compared to surface temperature of June, July and August were apparent impact of temperature mitigation, it shows that temperature mitigation are strongly influenced by substrate water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