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n adhesives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3초

극저온 환경에서 에폭시 접착제의 물성 향상을 위한 나노 보강재의 표면 개질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the Core-shell Structured Meta-aramid/Epoxy Nanofiber Mats on Interfacial Bonding Strength with an Epoxy Adhesive in Cryogenic Environments)

  • 오현주;김성수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129-134
    • /
    • 2013
  • 극저온 환경에 노출되는 구조체의 접착조인트의 경우 피접착물과 접착물 사이에서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해 계면에서 잔류응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접착조인트 내부에 미소균열, 층간분리 등의 형태로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비강성, 낮은 열팽창계수의 특성을 지닌 메타 아라미드 섬유를 에폭시 기지재의 보강재로 사용하였다. 표면처리 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전기방사법의 고분자 혼합법(polymer blend method)으로 코어-쉘 구조의 메타 아라미드/에폭시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극저온 환경에서 계면특성이 향상된 코어-쉘 구조의 나노섬유를 보강한 에폭시 접착제의 전단물성을 확인하기 위해 환경챔버를 이용하여 $-150^{\circ}C$의 저온에서 단일 겹치기 실험(single lap joint test)을 진행하였다. 또한, DCB(double cantilever beam) 실험을 통해 파괴인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극저온에서 일반 메타 아라미드 나노섬유에 비해 코어-쉘 구조의 메타 아라미드/에폭시 나노섬유를 보강한 접착제 시편이 우수한 계면특성으로 인해 물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상아질에 적용된 재 습윤제가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WETTING AGENT ON DENTINAL MICROTENSILE BOND STRENGTH)

  • 강희영;조영곤;김종욱;박병철;유상훈;진철희;최희영;기영재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2호
    • /
    • pp.153-161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he effect of rewetting agent on dentinal microtensile bond strength(${\mu}TBS$). Human molars were sectioned to expose the superficial dentin surfaces. Samp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ype of adhesives-Single Bond (S) and One-Step (0)], and again subdivided into five groups by different dentin surface treatment-dry for 15s (D), blot dry (BD) or dry for 15s, and rewet with different rewetting agents [distilled water (DW), Gluma Desensitizer (GD) and Aqua-Prep (AP)] for 30s. After application of adhesive, composite resin was built up on the bonding surface. Each tooth was sectioned to obtain stick with $1\textrm{mm}^2$ cross sectional area and the ${\mu}TBS$ was determined by EZ test. In the S group, the mean ${\mu}TBS$ of GD, AP, and B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W and D group (p < 0.05), In the O group, the mean, ${\mu}TBS$ of AP, GD, BD and DW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 group (p < 0.05). The data suggested that Gluma Desensitizer and Aqua-Prep could be successfully used as rewetting agents, and Distilled water could be acceptable in aceton based adhesive system only.

소나무 집성판의 표면화장 재료별 외관품질 및 접착성 평가 (Evaluation on the Appearance and Gluing Characteristics of Pine Laminated Boards according to Overlaying Materials)

  • 소원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27-35
    • /
    • 2007
  • 적절한 화장재료를 표면에 오버레이하는 방법으로 집성판을 2차가공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려는 목적으로 국산 소나무 소경 간벌목을 제재하여 집성판을 제조하고 표면화장 재료로서 화장단판, 종이류, 포류를 집성판의 표면에 오버레이 접착가공을 설시하였다. 제조된 화장집성판의 외관품질과 접착성을 조사하고 국산재의 집성이용 및 화장효과에 대한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티크 슬라이스드 단판 오버레이 화장집성판의 경우 미약한 단판 부풀음, 균열 및 접합틈새가 발생하였고 종이 및 직물류 오버레이 화장집성판의 경우 미약한 밀림현상이 발생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재면 및 겉모양 품질은 양호하였으며 KS규격의 1급에 해당하였다. 화장집성판의 박리율을 비교했을 때 단판이 종이 빛 직물류 오버레이보다 내수접착성이 불량하였다.

Effect of Gamma Ray Irradiation on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MWNTs Reinforced Epoxy Resins

  • Shin, Bum Sik;Shin, Jin Wook;Jeun, Joon Pyo;Kim, Hyun Bin;Oh, Seung Hwan;Kang, Phil Hyun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7-143
    • /
    • 2011
  • Epoxy resins are widely used as high performance thermosets in many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coatings, adhesives and composites. Recently, a lot of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improve their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stability in various fields. Carbon nanotubes possess high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that are considered to be ideal reinforcing materials in composites. CNT-reinforced epoxy system hold the promise of delivering superior composite materials with their high strength, light weight and multi functional features. Therefore, this study us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NT) and gamma rays to improve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epoxy. The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GEBA) as epoxy resins were cured by gamma ray irradiation with well-dispersed MWNTs as a reinforcing agent and triarylsulfonium hexafluoroantimonate (TASHFA) as an initiator. The flexural modulus was measured by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 At this point, the flexural modulus factor exhibits an upper limit at 0.1 wt% MWNT. The thermal properties had improved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MWNT in the result of 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 However, they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adiation dose. The change of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by the radiation dose was characterized by DMA (dynamic mechanical analysis).

다양한 조성의 혼용 폴리올에 기초한 접착력 및 굴곡성이 향상된 자외선 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합성 (Synthesis of UV Curable Polyurethane Adhesives Based on Various Compositions of Mixed Polyol with Improved Adhesion and Flexural Properties)

  • 이원영;박수용;김구니;정일두
    • 접착 및 계면
    • /
    • 제23권4호
    • /
    • pp.137-14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신발 및 의류용 접착제로 접착력과 굴곡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합성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인 poly(tetramethylene adiphate glycol) (PTAd)와 폴리에테르 폴리올인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를 4,4'-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1,4-butandiol (1,4-BD), 2-ydroxyethyl methacrylate (2-HEMA), dibutyl amine (DBA)와 함께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으며, 폴리올을 병용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열적·기계적 특성, 접착력 및 굴곡성을 검토하였다. 합성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는 -70~-40 ℃ 범위로 확인되었으며, PTAd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전이온도, 분해온도, 인장강도, 접착력 및 내열성이 증가하였고 반대로 신장률, 내수성 및 굴곡성은 감소되었다. 합성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PTAd와 PTMG 비율이 5:5일 때 높은 접착력과 굴곡성을 나타내었다.

Bonding effects of cleaning protocols and time-point of acid etching on dentin impregnated with endodontic sealer

  • Tatiane Miranda Manzoli;Joissi Ferrari Zaniboni;Joao Felipe Besegato;Flavia Angelica Guiotti;Andrea Abi Rached Dantas;Milton Carlos Kug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7권2호
    • /
    • pp.21.1-21.11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bonding effects of cleaning protocols on dentin impregnated with endodontic sealer residues using ethanol (E) or xylol (X). The effects of dentin acid etching immediately (I) or 7 days (P) after cleaning were also evaluated. For bonding to dentin, universal adhesive (Scotchbond Universal; 3M ESPE) was used. The persistence of sealer residues, hybrid layer formation and microshear bond strength were the performed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twenty bovine dentin specimens were allocated into 4 groups (n = 10): G1 (E+I); G2 (X+I); G3 (E+P); and G4 (X+P). The persistence of sealer residues was evaluated by SEM.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images were taken to measure the formed hybrid layer using the Image J program. For microshear bond strength, 4 resin composite cylinders were placed over the dentin after the cleaning protocols. ANOVA followed by Tukey test and Kruskal-Wallis followed by Dunn test were used for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data, respectively (α = 5%). Results: G2 and G4 groups showed a lower persistence of residues (p < 0.05) and thicker hybrid layer than the other groups (p < 0.05). No bond strength differences among all groups were observed (p > 0.05). Conclusions: Dentin cleaning using xylol, regardless of the time-point of acid etching, provided lower persistence of residues over the surface and thicker hybrid layer. However, the bond strength of the universal adhesive system in etch-and-rinse strategy was not influenced by the cleaning protocols or time-point of acid etching.

3종의 자가부식 프라이머의 상아질계면 접촉각 및 미세인장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Contact Angle and Bond Strength Using 3 Different Self-Etching Primer)

  • 장석우;권호범;유현미;박동성;오태석;배광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1호
    • /
    • pp.105-11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3종의 자가부식 프라이머(Clearfil SE Bond, AdheSE, Tyrian) 사용시 상아질계면의 접촉각 및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연마된 상아질 표면에 3종의 자가부식 프라이머를 각각 적용한 후 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n=30),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미세인장결합강도측정을 위해서는 상아질 표면에 3종의 자가부식 프라이머 및 상아질 접착제를 각각 적용한 후 광중합 복합레진 (Z 250)을 5mm 두께로 쌓아 올렸다. 그 후 각 시편을 결합계면에 수직으로 분할한 뒤 (n=45)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사용하여 미세인장강도를 측정하였고, Kruskal-Wallis test를 통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접촉각 측정결과, AdheSE, Clearfil SE Bond, Tyrian 순으로 높은 접촉각을 보였으며 각 군간 통계적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5). 미세인장결합강도 측정결과 Clearfil SE Bond군과 AdheSE군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Tyrian군은 Clearfil SE Bond 군이나 AdheSE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작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보였다.

유구치 상아질의 각 부위에 적용된 수종의 복합레진 접착제의 미세인장접착강도에 관한 연구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 OF REGIONAL PRIMARY MOLAR DENTIN)

  • 유정은;최영철;최성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48-357
    • /
    • 2009
  • 본 연구는 유구치 상아질의 각기 다른 부위(표층부, 심층부, 치경부)에서 복합레진 접착제의 접착강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는 서로 다른 4종의 접착방식(3-step total etch: 1군, 2-step total etch: 2군, 2-step self-etch: 3군, all-in-one: 4군)을 적용하고 복합 레진 ($Light-Core^{TM}$ Core Build-Up Composite)을 적층한 후, 미세인장접착강도를 비교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접착방식간의 비교에서 레진의 접착방식에 따른 상아질 각 부위에서의 미세인장접착강도는 제 1군이 표층부에서 뚜렷이 높았으나(p<0.05) 2, 3, 4군은 부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2. 부위별 미세인장접착강도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상아질 표층부에서의 미세인장접착강도는 레진의 접착 방식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심층부에서는 2군, 3군, 4군 및 1군의 순으로 나타났고(p<0.05), 치경부에서는 2군과 3군이 1군과 4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p<0.05).

  • PDF

최근 소개된 상아질 접착제의 전단 접착 강도 비교 (An Evaluation of Shear Bond Strength of New Dentin Bonding Agents)

  • 신지선;황은지;김종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58-364
    • /
    • 2017
  • 소아치과 영역에서 수복 치료에 널리 쓰이는 레진 치료의 술식 민감성 및 시간 감소에 대한 꾸준한 노력으로 새로운 접착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최근 출시된 접착제와 기존에 널리 쓰이는 두 단계 접착제와 비교 분석하여 임상적으로 적용하기에 어떠할지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78개의 건전한 소구치를 3군으로 나누어 순면 법랑질에 새로 개발된 $Tetric^{(R)}$ N-Bond Universal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과 $GC^{(R)}$ G-Premio BOND (GC Co., Japan)를 실험군으로 하고 기존의 5세대 $3M^{TM}$ Single Bond2 (3M ESPE, USA)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동일하게 $Filtek^{TM}$ Z-350 (3M ESPE, USA)복합 레진을 접착시킨 후 접착제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산부식 과정을 따로 적용하지 않은 두 실험군에서 각각의 전단접착강도가 산부식 과정을 포함한 대조군의 결과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새로 개발된 두 접착제간 비교에서는 $Tetric^{(R)}$ N-Bond Universal 제품이 $GC^{(R)}$ G-Premio BOND 제품보다 전단 접착 강도가 유의성 있게 큰 것으로 나타나 임상에서 제품을 선택할 때 참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계적 하중 하에서 복합재료 시험편에 접착된 단결정 실리콘태양전지의 성능평가 (Photovoltaic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bonded single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on composite specimens under mechanical loading)

  • 김종천;최익현;김대현;정성균
    • Composites Research
    • /
    • 제24권6호
    • /
    • pp.56-6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화석에너지 고갈과 환경문제로 인해 새로운 신재생에너지로 주목 받고 있는 태양전지를 대표적인 경량재료인 복합재료에 적용하기 위해 적절한 태양전지 접착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용된 태양전지는 후면전극 태양전지로 에너지변환 실험실 효율이 약 24.2%인 태양전지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실리콘계열 태양전지는 재료의 특성상 깨지기 쉽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동시경화 접착법 대신 접착제를 이용한 이차 접착법을 사용하였다. 접착재료는 태양전지의 충진재 및 접착제로 사용되고 있는 EVA film 과 프리프레그의 수지인 Resin film, 그리고 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으며, 태양전지가 접착된 복합재료 시험편에 기계적 하중을 부가하여 접착제 종류별 태양전지의 성능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기계적 하중 하에서 실시간으로 태양전지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측정장치를 설계하여 접착재료별 파단 시점과 특성을 비교 평가 하였다. 파단면분석을 통해 태양전지 효율 감소원인을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태양전지의 접착방법에 따라서 태양전지의 효율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탄성접착제를 사용한 접착 방법이 가장 높은 태양전지 효율 성능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