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ial Differentiation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1초

서울의 학력집단별 거주지 분리와 아파트 가격의 차별화 (The Residential Segregation and the Differentiation of Housing Value in Seoul)

  • 최은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92-60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IMF 경제위기 이후 서울의 아파트 가격이 지역에 따라 양극화 되는 현상을 거주지 분리 심화라는 틀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의 지역별 아파트 가격 차별화와 고학력집단의 거주지 분리 정도를 밝히고, 아파트 가격과 고학력집단 거주 비율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 결과 거주지 분리와 아파트 가격의 차별화라는 공간적 과정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행정동을 단위로 45$\sim$59세 인구의 고학력집단 비율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한 결과 1990년에 이미 현재와 같은 학력집단별 거주지 분리가 관찰되고 있어, 거주지 분리가 지속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행정동별 고학력집단 거주 비운은 아파트 가격의 행정동별 변이와 밀접한 관련을 보이고 있다. 1997$\sim$2003년 사이 아파트 가격의 상승은 고학력집단이 공간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였다. 그외 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정체되어 있거나 소폭의 상승을 보여 아파트 가격의 지역차가 매우 강화되었다. 아파트 가격의 지역별 차별화는 거주집단에 따라 지역이 달라지는 거주지 분리 과정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 PDF

공간 차별화 계획을 위한 공동주택 단위주호의 평면계획 특성 분석 (Current Features of Apartment House Unit Plans towards Spatial Differentiation)

  • 박소윤;이현수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52-356
    • /
    • 200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house unit plans towards spatial differentiation. The 172 house units from 32 housing complexes were selected for this analysis. In this study, factors of residential space plan especially in an apartment house are categorized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on floor plan and factors for spatial floor plan. The Primary findings a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n floor plan are analyzed based on space organization, area and number of bays. Among apartment houses over 40 pyeong, it seems that differentiation is well applied with various space plans available. (2) A result of an analysis on the factors for spatial floor plan shows that planning a living room with two-open-sides seems to be more common in the tower-shaped apartment blocks which are now on the increase. Moreover, many of them are adopting movable partitions to reflect resident's various demands on space plan. Among all, the extra kitchen in the balcony is planned high portion of 80.4%. And diningroom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sidential space along with a livingroom(19.2%). More frequently, dining area tends to face the living room(30.2%) according to the result. Besides dress rooms begin to be placed in each of the bedroom, once planned in one bedroom only while 18.6% of the apartment houses are placing new storages in the entrance to solve lack of storage space due to balcony extension.

  • PDF

거주지 분화에 대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I): 공간 분리성 측도의 개발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to Residential Differentiation (I): Developing a Spatial Separation Measure)

  • 이상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16-631
    • /
    • 2007
  • 거주지 분화 현상은 도시적 삶의 공간성을 파악하는데 본질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도시학 연구에서 오랫동안 주목을 받아왔다. 거주지 분화 현상에 대한 연구 과제 중의 하나가 상이한 두 집단이 얼마나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온 것이 상이지수(index of dissimilarity)인데, 이 지수는 거주지 분리의 '불균등성(unevenness)'은 측정할 수 있지만, 공간적 '집중도(clustering)'는 측정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되어 온 '공간적 격리 지수(spatial indices of segregation)' 역시 가설검정 절차를 제시하지 못하고 최근의 공간통계학 연구 성과를 수용하지 못하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의 주된 연구 목적은 새로운 '공간 분리성 측도(spatial separation measure)'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 공간 분리성 측도는 상이한 인구 집단이 거주 공간에 얼마나 불균등하게 분포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그러한 불균등 분포가 보여주는 공간적 의존성의 정도까지도 측정하는 새로운 통계량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공간 연관성 측도(spatial association measures)'와 '공간적 카이-스퀘어 통계량(spatial chi-square statistics)'을 통합하여 새로운 측도를 개발했으며, 일반화된 랜덤화 검정법을 적용해 측도에 대한 유의성 검정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개발된 측도와 유의성 검정법을 우리나라 7대 도시의 학력 집단 간 거주지 분리 현상에 적용함으로써, 연구방법론으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한국계 중국인 밀집주거지의 분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가리봉동과 자양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of minority ethnic residential areas in Seoul, Korea - Focusing on Korean Chinese community)

  • 방성훈;김수현
    • 한국사회정책
    • /
    • 제19권2호
    • /
    • pp.39-68
    • /
    • 2012
  • 우리나라는 급속한 외국인 증가와 함께 외국인 밀집주거지도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그중에서도 한국계 중국인들은 그 숫자도 많을 뿐 아니라, 밀집주거지 역시 서울에서만 8개나 형성되어 있다. 이 논문은 이들 한국계 중국인의 밀집주거지들 간에 서로 다른 특성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가리봉동'과 '자양동'을 대상으로 주민의 내부 구성과 주거 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가리봉동은 한국계 중국인들의 초기 정착지로서 주로 단신으로 단기 체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 자양동은 한국 생활에 비교적 적응한 사람들의 2차 정착지로서 주류 사회에 보다 동화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계 중국인들의 밀집주거지간에 성격 분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향후 외국인 노동자 유입이 계속되는 한, 이 같은 외국인 밀집주거지 분화 경향은 심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선진국의 경험을 감안할 때 주거지 분리와 주류 사회와의 동화, 그리고 밀집주거지 간 분화의 다양한 양상들을 이해하고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거주지역에 따른 결혼이민자 여성의 자아분화 및 문화적응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Differentiation and Acculturation on Marriage Satisfaction Among Immigrant Women by Residential Area)

  • 이영분;이유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1호
    • /
    • pp.145-157
    • /
    • 2010
  • This is a study that explores the influence of self-differentiation and acculturation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on their feelings of marriage satisfaction by residential area. The aim was to verify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nd acculturation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secure from multicultural marriage.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widely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hat targeted women who were participating in education and other services at health and family support center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immigrant women shelters, and Korean language classrooms which are located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Data analysis involv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two factors, namely, (1)interpersonal-relation differentiation, a sub-scale of self-differentiation, and (2)marginalization, a sub-scale of acculturation, had the lowest average. In verifying its various hypotheses, the study achie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difference of the mean in the marriage period, average monthly income, the frequency of meetings with the married woman´s parents-in-law and her own parents, and the average cost of supporting the woman's parents-in-law and her own parents. Secondly,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variable of influencing marriage satisfaction showed negative influence in the case of women dwelling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his shows that women residing in cities whether small, medium or large have higher marriage satisfaction. Also,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self-differentiation has influence on marriage satisfaction, the element of interpersonal-relations differentia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marriage satisfaction. Thirdly, as for influence of acculturation upon marriage satisfaction, the study showed that just integration, which is a sub-scale of acculturation had positive effect on marriag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study showed that the interpersonal-relation differentiation among the sub-scales of self-differentiation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had a negative influence, and that integration among the sub-scales in accultur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arriag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interpersonal-relation differentiation, as well as marriage satisfaction among immigrant women, the study suggests the integration of the women's families with the nuclear and extended families in the communities where the women reside.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도심형 노인주거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ial Services of Urban Type Senior Living for Active Senior)

  • 이민혜;이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2-235
    • /
    • 2008
  •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residential service for Active senior from the age of 40's to 60's who prefers urban-type lifestyle. The lifestyle for Active senior was reorganized into the 5 main categories; convenience, well-being & activity, community, brand & Individuality and self-expression from the recent studies about the senior lifestyle. According to the lifestyle above, I propose the residential services to meet their need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showed that the services comcerned about the lifestyle; one stop living service, customized activity & health program, open community, various choices & facility differentiation and life-long education & working opportunity can be possible and more helpful in meeting the active senior's needs.

  • PDF

거주지 분화에 대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II): 국지적 공간 분리성 측도를 이용한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to Residential Differentiation (II):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Using a Local Spatial Separation Measure)

  • 이상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34-153
    • /
    • 2008
  •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국지적 공간 분리성 측도를 이용한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을 통해 거주지 분화 연구에서 공간통계학적 접근이 가지는 의의를 논증하는 것이다.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은 공간 데이터를 다양한 과학적 지도학적 시각화 방식을 통해 탐색함으로써 패턴을 발견해 내고, 의미 있는 가설을 수립하며, 더 나아가 공간 데이터에 대한 통계학적 모델을 평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국지 통계량에 기반한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이 구체적인 연구 수행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믿음에 기반을 두고 진행된 것이다.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 개발된 전역적 공간 분리성 측도로부터 국지적 공간 분리성 측도를 도출하였다. 둘째, 두 가지 유의성 검정을 위한 가정, 즉 총체적 랜덤화 가정과 조건적 랜덤화 가정에 기반한 가설검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측도와 유의성 검정을 바탕으로 한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 기법으로 '공간 분리성 산포도 지도'와 '공간 분리성 이례치 지도'를 제시하였다. 부가적으로 각 인구 집단 별 집중도에 대한 표준화 지표도 제시되었다. 넷째, 개발된 기법을 우리나라 7대 도시의 고학력 집단과 저학력 집단간 거주지 분화에 적용한 결과, 특히, 이변량 공간적 클러스터와 공간적 특이점을 확인하는 데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외국인 유입으로 인한 도시경관의 변화 분석 - 광주광역시의 외국인 거주지를 대상으로 - (Changes on Urban Landscape by Incoming Foreign Residents - Focused on Alien Regions in Gwangju -)

  • 조무진;한승훈
    • KIEAE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29-36
    • /
    • 2017
  • Purpose: Residential differentiation is often considered to be one of the social problems that intensify urban inequalit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Gwangju urban landscape due to foreign inflows after reviewing the different frameworks about the causes of residential segregation and verifying compliance through case analysis.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increase of Gwangju Foreign Population based on the data of the Statistics Korea and derived the concentrated areas of foreign population using GIS program. Then through the field research around the target areas, the changes of urban landscape by the foreign residents was analyzed. The foreign population in Korea recently surpassed 1.5 million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and has already raised numerous social issues especially in urban area. Result: Therefore, basic and systematic analyses on foreign population and its impacts on urban residential landscape are necessary to resolve the issues. Since Gwangju is also in a similar situation, this research is first, to address the current situation and identify the problem, and then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resolving them. It is also expected to be helpful provide a basic reference for related further researches.

하위주택시장과 이주에 관한 연구 - 서울 근교 신도시(분당ㆍ일산)를 사례지역으로 - (A Study on Housing Submarkets and Residential Mobility: In the New Towns of Pundang and Ilsa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류연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45-263
    • /
    • 1997
  • 주택특성별 주택공급과 가구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주거선택시 차별적 접근성에 의한 주택수요에 의해 주택시장은 분절화된다. 더욱이 소규모 거주지역으로서의 근린은 주택공급과 주택수요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주택시장 분절화를 심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분절화된 주택시장은 그 메커니즘이 서로 다른 특색을 지니는 바. 기존의 거주지 분화 및 주택시장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대도시의 주택시장을 단일의 주택 시장으로 가정함으로써 하위주택시장간 특성의 차이를 간과하였다고 할 수 있다. 거주지 분화 개념이 생태적 접 근 이후의 공간적 패턴에 주로 초점을 둔 개념인 반면에. 하위주택시장 개념은 공간적 패턴 형성 이면의 과정부터 고찰함으로써 도시 거주 공간구조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하위주택시장 분석을 통해 이주시 가구의 거주지 선택 과정에서의 사회경제적 제약과 주택기회의 차별성을 살펴 볼 수가 있어 기존의 행태적 접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근교 신도시(분당ㆍ일산)를 연구 대상 지역으로하여 하위주택시장과 이주과정의 여러 특색들을 살펴 보았다.

  • PDF

주거공간의 차별화된 디자인을 위한 심미적요소의 표현방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ressive Methods and Application of Aesthetics Factors for Design of Hosing Space with the Differentiation)

  • 서지은;정지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01-10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the housing space for unit that factors in the sentiment of the residents by using aesthetic elements and expression method to search for the ways to design housing space for differentiated un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esthetic elements in the aesthetic element in the unit housing space for unit can be classified into basic elements and detailed elements. Second, it is possible to classify into distortion, mixing, superposition and juxtaposition methods. Third, use of the 'material' for 'wall' is recommended when designing differentiated housing space by using basic elements. At this time, expression using the method of 'mixing' is effective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In particular, elements that can perceive the difference in time are mixed, to add on slight differentiation. Fourth, 'illumination' and 'material' are used when designing differentiated housing space by using detailed elements. Fifth, preference degree of the expression method is manifes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lected elements. Lastly,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preference level of the aesthetic elements and expression method targeting the experts alone to differentiate the design of the residential space for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