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arch Field Classification

검색결과 747건 처리시간 0.03초

독일 정책 분석을 통한 서식지 생태특성 기반 비오톱 유형 분류 및 조사표 제안 (The suggestion for Biotope Types and Field Datasheet based on Habitat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German Policy Analysis)

  • 김남신;정성희;임치홍;최철현;차진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99-112
    • /
    • 2020
  • This study aims to propose biotope field datasheet and biotope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habitat-based by analyzing the German biotope system. The German system began in 1976 and has established a habitat-based national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Korea institutionalized in 2018 to build a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land use and land cover, which is a classification system that does not fully reflect ecosystem in Korea. Germany operates 44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s and 40 biotope field datasheet. Korea uses a single biotope field datasheet regardless of the biotope type. This classification system may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biotope ecological habitat. The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 was proposed by dividing it into five categories: mountain ecology, freshwater ecology, land ecology, coastal ecology, and development area to reflect ecosystem habitat. The biotope type was designed as a system of large-classification-middle-small classification and subdivided into medium-classification and subdivided in each biotope system. The major classifications were classified into 44 categories according to the mountainous biotope(11), freshwater biotope(8), terrestrial biotope (12), coastal biotope(6), and development biotope(7). Unlike Germany, Korea's biotope field datasheet was proposed in five way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major ecosystem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olicy suggestion and the utilization of ecosystem conservation because the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 is classifi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cosystem habitats.

KDC, NDC, DDC의 토목공학 분야 분류체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KDC, NDC, and DDC Classification System for Civil Engineering)

  • 김연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9-232
    • /
    • 2009
  • 이 연구는 토목공학 분야의 KDC, NDC, DDC 분류체계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연구분야분류표, 한국과학재단의 과학기술연구분야분류의 분류체계를 비교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KDC 토목공학 분야의 분류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KDC 제5판의 토목공학 분야는 학문발전의 추세를 반영하는 분류 항목의 추가, 토목공학 기초이론에 관한 등위류 분류용어의 적절한 전개, 세부 주제의 추가 전개, 분류기호, 한글 및 영문표기의 오류, 분류항목의 상관색인 누락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Improved Method of Suitability Classification for Sesame (Sesamum indicum L.) Cultivation in Paddy Field Soils

  • Chun, Hyen Chung;Jung, Ki Yuol;Choi, Young Dae;Lee, Sanghu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520-529
    • /
    • 2017
  • In Korea, the largest agricultural lands are paddy fields which have poor infiltration and drainage properties. Recently, Korean government pursuits cultivating upland crops in paddy fields to reduce overproduced rice in Korea. In order to succeed this policy, it is critical to set criteria suitability classification for upland crops cultivating in paddy field soi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developing guideline of suitability classification for sesame cultivation in paddy field soils. Yields of sesame cultivated in paddy field soils and soi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t 40 locations at nationwide scale. Soil properties such as topography, soil texture, soil moisture contents, slope, and drainage level were investigated. The guideline of suitability classification for sesame was determined by multi-regression method. As a result, sesame yields had the greatest correlation with topography, soil moisture content, and slope. Since sesame is sensitive to excessive soil moisture content, paddy fields with well drained, slope of 7-15% and mountain foot or hill were best suit for cultivating sesame. Sesame yields were greater with less soil moisture contents. Based on these results, area of best suitable paddy field land for sesame was 161,400 ha, suitable land was 62,600 ha, possible land was 331,600 ha, and low productive land was 1,075,500 ha. Compared to existing suitability classification, the new guideline of classification recommended smaller area of best or suitable areas to cultivate sesame. This result may suggest that sesame cultivation in paddy field can be very susceptible to soil moisture contents.

KDC 제6판 약학 분야의 분류항목 전개 개선방안 (The Improvements of the Pharmacy Field in the 6th Edition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정옥경;이장익;최정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81-299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KDC 제6판의 약학 분야 분류항목 전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약학의 학문 영역과 체계를 살펴보았으며, 둘째, KDC초판부터 제6판까지 약학 분야에 사용된 용어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KDC 약학 분야의 분류항목 전개의 변천과정을 분석하였으며, 넷째, KDC와 DDC, NLMC, 연구분야분류표에 전개된 약학 분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KDC의 약학 분야는 제4판 이후 전혀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본표에 전개된 요목 및 세목에 관계된 새로운 주제들을 분류항목으로 추가 전개하여 관련 문헌들의 분류가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용어를 현대화하였다. 오늘날 새롭게 대두된 제약 산업분야, 항암관련 분야, 생물약학 분야를 미사용 중인 518.7-.8에 배정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하였다.

KDC 제6판 디자인학 분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the Design Field in the 6th Edition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

  • 김수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3-72
    • /
    • 2013
  • 본 연구는 KDC 디자인학 분야의 분류체계를 개선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디자인학 연구분류체계들을 조사하고 KDC, DDC, LCC, NDC를 비교 분석하였다. KDC의 디자인학 분야 분류체계의 문제점으로는 디자인 이론영역과 관련된 분류항목 부족, 주요 디자인 응용분야에 대한 세목 미비, 디자인 범위를 명시하는 주기의 부재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이론영역, 시각디자인,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분야에 해당되는 분류항목들에 대하여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KDC 제5판 건축공학분야 분류체계 개선 방안 (The Methods for the Improvement of the KDC 5th Edition of Architecture Engineering Classification System)

  • 김연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01-425
    • /
    • 2009
  • 이 연구는 건축공학 분야의 학문체계와 KDC, DDC, LCC의 분류체계 및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분야분류표의 건축공학 분야의 분류체계에 대해 비교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KDC 건축공학 분야의 분류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KDC 제5판의 건축공학 분야는 학문발전의 추세를 반영하는 분류항목의 추가, 건축구조공학 분야의 등위류 분류용어의 적절한 전개, 세부 주제의 추가 전개, 적절한 분류용어의 선택, 분류기호, 영문표기의 오류, 분류항목의 상관색인 누락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머신러닝을 이용한 R&D과제의 연구분야 추천 서비스 (Recommendation System for Research Field of R&D Project Using Machine Learning)

  • 김윤정;신동구;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1809-1816
    • /
    • 2021
  •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최신 연구동향 파악, 의미 있는 정보의 생산과 활용을 위해 국가R&D 정보 서비스에도 자동 분류 기술 적용이 요구되어 R&D과제의 연구분야를 자동 분류하고 추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2013~2020년 국가R&D 과제 데이터 약 45만 건을 수집하여 학습과 평가에 사용했다. 수집 데이터 중 유효한 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 전처리 및 분석, 실험을 통한 성능 분석 후 모델을 선정했다. 최적의 모델 조합 도출을 목적으로 Word2vec, GloVe, fastText 성능을 비교했다. 실험 결과, 과제정보의 필수 항목으로 사용되는 소분류만의 정확도는 90.11%이다. 이 모델은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연구분야와 유사한 계층 구조를 가진 다른 분류체계의 자동 분류 연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KDC 제5판 교육학분야 분류체계 개선 방안 (The Methods for the Improvement of the KDC 5th Edition of Education Classification System)

  • 김연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33
    • /
    • 2010
  • 이 연구는 교육학 분야의 학문체계와 KDC, NDC, DDC, LCC의 분류체계 및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분야분류표의 교육학 분야의 분류체계에 대해 비교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KDC 교육학 분야의 분류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KDC 제5판의 교육학 분야는 학문발전의 추세를 반영하는 분류항목의 추가, 교육학 세부 영역의 등위류 분류용어의 적절한 전개, 세부 주제의 추가 전개, 분류기호의 오류 및 분류항목의 상관색인 누락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한의학 연구개발과제 분류에 관한 연구 (A Classification for Research Projects in Oriental Medicine Field)

  • 김상균;김철;장현철;예상준;송미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9-326
    • /
    • 2008
  • 국가 R&D 사업관리 시스템에서는 국내의 국가 연구개발과제 정보를 관리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연구개발과제들을 분류하고 다양한 검색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분류체계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하나의 분류체계에 대해 하나의 분류만 입력 가능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과제의 성격을 명확히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연구개발과제를 위한 분류체계는 모든 분야에 대한 일반적인 분류를 제공하고 있으나 한의학과 같은 특정 분야에 맞는 분류체계는 제공하지 않고 있다. 반면에 한의학 분야에서는 한의학에 대한 분류체계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이 분류체계 또한 한의학 전반에 관한 일반적인 분류이기 때문에 한의학 연구개발과제를 위한 분류로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의학 분야의 연구개발과제들의 성격을 명확히 파악하고 검색 및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분류를 제안한다.

콜론분류법에 바탕한 자동분류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 농학 및 의학 전문도서관을 사레로 - (Developing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Colon Classific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Books housed in Medical and Agricultural Libraries)

  • 이경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207-261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design and test a database which can be automatically classified, and (2) to generate automatic classification number by processing the keywords in titles using the code combination method of Colon Classification(CC) as well as an automatic recognition of subjects in order to develop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Auto BC System) based on CC which can be applied to any research library. To conduct this study, 1,510 words in the fields of agricultrue and medicine were selected, analized in terms of [P], [M], [E], [S], [T] employed in CC, and included in a database for classification. For the above-mentioned subject fields, the principle of an automatic classification was specified in order to generate automatic classification codes as well as to perform an automatic subject recognition of the titles included. Whenever necessary, editing, deleting, appending and reindexing of a database can be made in this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Appendix 1 shows the result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of books in the fields of agriculture and medicin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below. 1. The classification number for the title of a book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by using the facet principles of Colon Classification. 2. The automatic subject recognition of a book is achieved by designing a database making use of a globe-principle, and by specifying the subject field for each word. 3. The automatic subject-recognition of input data is achiev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searched words by each subject field. 4. The combination of classification numbers is achieved by flowcharting of classification formular of each subject field. 5. The efficient control of classification numbers is achieved by designing control codes on the database for classification. 6.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by means of Auto BC has been proved to be successful in the research library concentrating on a Single field. The general library may have some problem in employing this system.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through Auto BC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Speed of the classification process can be improve. 2. The revision or updating of classification schemes can be facilitated. 3. Multiple concepts can be expressed in a single classification code. 4. The consistency of classification can be achieved with the classification formular rather than the classifier's subjective judgement. 5. A user's retrieving process can be made after combining the classification numbers through keywords relating to the material to be searched. 6. The materials can be classified by a librarian without subject backgrounds. 7. The large body of materials can be quickly classified by means of a machine processing. 8. This automatic classification is expected to make a good contribution to design of the total system for library operations. 9. The information flow among libraries can be promoted owing to the use of the same program for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