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hmannia glutinosa(地黃)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3초

지황 배양묘 및 종근 생산을 위한 기원검증 및 최적기내배양조건 확립 (Optimization of In vitro Cultures for Production of Seedling and Rootstock of Rehmannia glutinosa(Gaertn.) DC.)

  • 강영민;이가연;김미선;최지은;문병철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5호
    • /
    • pp.81-93
    • /
    • 2016
  • 지황은 현삼과(Scrophular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Rehmannia glutinosa(Gaertn.) DC.로서 한의학에서는 뿌리를 지황(地黃)이라는 한약재로 이용하고 있다. 지황은 선지황(鮮地黃),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종자파종에 의한 재배보다 종근을 이용한 영양번식으로 재배하고 있다. 종근을 이용한 재배법은 뿌리 썩음병으로 인해 종근의 관리와 생산성이 높은 고품질의 지황 생산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형태적 특징과 유전자 분석을 통해 기원이 검증된 지황 기원식물을 이용하여 정확한 기원의 무균 배양묘와 종근 생산을 위한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기내배양묘 생산에 필요한 최적의 생장율과 다개체 형성율, 그리고 뿌리 형성율 및 비대조건을 탐색한 결과, WPM 배지와 1.0mg/L의 IAA와 0.5mg/L의 IBA 옥신계 생장조절제가 첨가된 배지(WPM + IAA 1.0mg/L + IBA 0.5mg/L)에서 최적 생장율과 뿌리다개체 형성율을 나타내었으며, 0.1mg/L의 NAA가 첨가된 WPM 배지(WPM + NAA 0.1mg/L)에서 가장 많은 수의 뿌리가 형성되었고 비대율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최적조건에서 생산한 기내식물체는 토양 순화 후 정식하였을 경우에도 높은 뿌리형성율과 지속적인 비대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지황의 무균 배양묘 생산과 배양묘기반 종근 생산을 통해 지황 대량 생산에 필요한 배양묘와 종근 생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고품질 지황 생산량에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베타아밀로이드로 유도된 신경세포사멸에 대한 지황(地黃) 및 지황식초(地黃食醋)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Rehmannia Glutinosa Extract and Rehmannia Glutinosa Vinegar against b-amyloid-induced Neuronal Cell Death)

  • 송효인;김광중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0-198
    • /
    • 2007
  • Alzheimer's disease, a representative neurodegenerative disorder,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senile plaques and neurofibrillary tangles accompanied by neuronal damages. b-Amyloid peptide is considered to be responsible for the formation of senile plagues that accumulate in the brains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There has been compelling evidence supporting that b-amyloid-induced cytotoxicity is mediated through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possible protective effect of Rehmannia glutihosaagainst b-amyloid-induced oxidative ceil death in cultured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s. SH-SY5Y cells treated with b-amyloid underwent apoptotic death as determined by morphological features and positive in situterminal end-labeling (TUNEL staining). Rehmannia glutinosawater extract, wine, and vinegar pretreatments attenuated b-amyloid-induced cytotoxicity and apoptosis. Rehmannia glutinosa vinegar exhibited maximum protective effect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anti-apoptotic protein, Bcl-2. in addition to oxidative stress, b-amyloid-treatment caused nitrosative stress via marked increase in the levels of nitric oxide, which was effectively blocked by Rehmannia glutinosa. To further explore the possibl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protective effect of Rehmannia glutinosa, we assessed the mRNA expression of cellular antioxidant enzymes. Treatment of Rehmannia glutinosa vinegar led to up-regulation of heme oxygemase-1 and catal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hmannia glutinosa could modulate oxidative neuronal cell death caused by b-amyloid and may have preventive or therapeutic potential in the management of Alzheimer's disease. Particularly, Rehmannia glutinosa vinegar can augment cellular antioxidant capacity, there by exhibiting higher neuroprotective potential.

지황과 황기의 화학적 잡초 방제 (Chemical Weed Control in Rehmannia glutinosa and Astragalus membranaceus)

  • 김영국;방진기;유홍섭;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21-226
    • /
    • 1998
  • 지황과 황기의 적합한 제초제를 선발하여 제초의 생력화를 향상코자 지황에 5약제를 처리 하고 황기에 7약제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황의 약효시험에서 경엽처리제인 Paraquat는 다년생 잡초의 방제가가 매우 높았다. 2. 정식후 토양처리형 제초제인 Napropamide와 Linuron도 약해 피해 없이 제초 효과가 있었다. 3. 지황 수량은 손제초구의 509kg/10a에 비해 Paraquat 처리구(524kg)에서 3% 증가하였으며, Napropamide, Linuron 처리구는 101%, 94% 수준이었다. 4. 황기는 파종후 토양처리형 제초제인 Nafropamide구에서 약해증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1년생 잡초의 제초효과는 87%이었다. 5. Ethalfluralin과 Metolachlor은 제초효과는 높았지만 발아후 초기 생육시 생육지연 현상이 나타났다. 6. 황기 수량은 약해가 발생하지 않은 Napropamide 처리구가 양호하여 대비구의 129kg/10a 대비 98% 수준이었다.

  • PDF

지황(地黃)(Rehmannia glutinosa) 근경중(根莖中)의 무기성분(無機成分)과 Catalpol 및 당함량(糖含量)과의 관계(關係) (Relationships between the Inorganic Constituents Contents and the Catalpol and Sugar Contents in the Rhizoma of Rehmannia glutinosa)

  • 박병윤;장상문;최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49-254
    • /
    • 1989
  • 지황(地黃)의 주(主) 약효성분(藥?成分) catalpol함량(含量)에 대한 무기성분(無機成分) 및 당류(糖類)들의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이들의 성분(成分)들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조사(調査)하였다. 지황(地黃)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은 catalpol 및 에탄올엑기스함량(含量)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회분(灰分), galactose 및 fructose함량(含量)과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지황(地黃)의 Ca함량(含量)는 catalpol, 에탄올엑기스 및 수제(水製)엑기스함량(含量)과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相關)을 회분(灰分), 산불용성회분(酸溶不性灰分), fructose 및 galactose함량(含量)과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Catalpol 함량(含量)은 에탄올엑기스 및 수제(水製)엑기스함량(含量)과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회분(灰分) galactose 및 fructose 함량(含量)과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지황(地黃)의 에탄올엑기스 및 수제(水製)엑기스함량(含量)은 회분함량(灰分含量)과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 PDF

지황(地黃)(Rehmannia glutinosa)뿌리 중(中) 무기성분(無機成分), 유리당류(遊離糖類) 및 Catalpol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함량변화(含量變化) (The Contents of Inorganic Constituents, Free Sugars and Catalpol in the Rhizoma of Rehmannia glutinosa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장상문;강신정;최정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1권
    • /
    • pp.19-23
    • /
    • 1993
  • 지황(地黃)의 주(主) 약효성분(藥效成分)으로 알려져 있는 catalpol의 iridoid골격(骨格)과 glycosidic bond를 형성(形成)하는 유리당류(遊離糖類)를 확인(確認)하기 위하여 생육시기(生有時期)에 따른 무기성분(無記性分), 유리당류(遊離糖類), 회분(灰分), 엑기스 및 catalpol의 함량(含量)을 조사(調査)하였다. 수확기(收穫期)가 가까워질수록 P, K, Ca, Mg, Cu 및 회분(灰分)의 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으나, Fe 및 엑기스의 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수확기(收穫期)가 가까워질수록 전당(全糖), sucrose 및 galactose의 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으나, fructose 및 catalpol의 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 PDF

국내 지황 생산 및 수입 동향과 유통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the Production of Rehmannia Glutinosa and the Import Movement and the Improving Methods of Distribution)

  • 김연복;장광진;박창하;박상언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5권2호
    • /
    • pp.5-11
    • /
    • 2023
  • 지황(Rehmannia glutinosa)은 Scrophulariaceae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방에서 사용한다. 본 연구는 지황의 육종 현황과 문제점,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재배되는 품종의 특징을 정리하고 2008년부터 2021년까지 15년간의 재배면적, 생산, 수입, 가격 변동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지황의 재배면적은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수입량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고 있는데 최근 수입량이 많이 감소했다. 수입 도중에 검역에서 많은 지황이 소독과 폐기가 되고 있었고, 건지황과 숙지황은 구분 없이 수입되고 있었다. 지황 육종은 생산자가 원하는 품종을 육성하기보다는 숙지황 생산업체에서 원하는 품종을 육성할 필요가 있으며, 생산자에게 신품종 재배기술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지황을 수입할 때 건지황과 숙지황의 구분 없이 지황으로만 표기하여 수입하는데 정확한 수입 통계를 알기 위해서는 건지황과 숙지황의 수입코드를 구분하여 수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황의 기계화를 위한 수확형 농기계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국내 지황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 발생 현황 (The Incidence of Virus Diseases in Rehmannia glutinosa in Korea)

  • 권선정;윤주연;조인숙;최국선
    • 식물병연구
    • /
    • 제25권1호
    • /
    • pp.38-42
    • /
    • 2019
  • 최근 국내 지황에서는 Rehmannia mosaic virus (ReMV), Youcai mosaic virus (YoMV), Broad bean wilt virus 2 (BBWV2), Plantago asiatica mosaic virus (PlAMV), Rehamnnia virus 1 (ReV1) 등 5종의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되었다. 국내 주요 지황 재배지역의 포장에서 지황 바이러스의 발병률을 조사하기 위해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여섯 지역의 포장에서 바이러스병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황에 나타나는 주요 바이러스 증상은 잎에 모자이크와 노란 반점 및 변색이었으며 생육이 저조해지는 증상이 관찰되었다. 총 145개의 시료를 채집하여 5종 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자 진단을 실시한 결과, 전 시료에서 2종 이상의 바이러스가 복합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황은 뿌리로 영양번식하는 재배 특성 상 품종별 종근에서도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종근에서도 5종의 바이러스가 검정됨에 따라 지황에서의 바이러스병 관리를 위해서는 무병 종근의 생산 및 보급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황 수집종 특성과 재배환경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Collected Lines and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Growth of Rehmannia glutinosa Lib.)

  • 박충헌;박춘근;유홍섭;성낙술;이봉호;정예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8-142
    • /
    • 1999
  • 지황(Rehmannia glutinosa)의 국내 수요증가와 재배확대에 따른 우량 신품종 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몇몇 지황속 식물의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재배환경이 지황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황종 식물의 학명은 Rehmannia glutinosa Libosc, Rehmannia glutinosa Libosc var. purpurea Makino 및 Rehmannia glutinosa Libosch var. hueichingensis (Chao et Schih) Hsiao 등으로 지상부 생육특성과 뿌리의 작물학적인 형태는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중국으로부터 도입 육성한 지황 1호는 근경이 굵고 다수성이고 일본종은 가늘며 깊게 신장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국내재래종은 중간형질을 지니고 있었다. 지황1호를 공시하여 적정재배 환경을 조사한 결과 지황의 근비대 생장은 7월 중하순경에 근중과 근경 모두 급속하게 증가함을 보였고, 일장과 온도는 제한된 3처리중 13시간 일장에서 주간 $23^{\circ}C$ 야간 $18^{\circ}C$ 처리에서 근비대 생장이 가장 양호 하였다. 토양은 양토조건에서 2,144kg/10a로 가장 높은 수량성을 보였고 토양수분이 $60{\sim}70%$에서 근비대 생장이 양호하였다.

  • PDF

지황 chitin 분해효소의 전기영동 양상 및 분류 (Electrophoretic pattern and classification of chitinolytic enzymes from Rehmannia glutinosa)

  • 판철호;이은아;조도현;김수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7호
    • /
    • pp.505-509
    • /
    • 1998
  • Pathogenesis-related proteins중 chitinase를 지황에서 추출하고 분류하였다. 지황 chitinase는 chitin affinity column chromatography로 염기성 및 산성 두개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native PAGE gel상 효소활성을 조사한 결과 이동도가 작은 염기성 chitinase는 pH 2.9의 산성추출 조건에서, 이동도가 큰 산성은 pH 8.8의 염기성추출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추출되었다. 지황에는 염기성 3개, 산성 4개등 총 7개의 chitinase isoform이 존재하며 이들의 분자량은 $28{\sim}32\;kD$내외이고 지상부와 달리 뿌리에는 주로 염기성 chitinase만 검출되어 일부 산성효소는 조직 특이적으로 발현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저장방법이 지황 종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Methods on the Rhizome Quality of Rehmannia glutinosa L.)

  • 김인재;김민자;남상영;이철희;김홍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82-285
    • /
    • 2004
  • 지황의 안정적인 저장으로 종근 비용을 절감하고자 재래종과 생육특성이 상이한 지황 1호를 공시하여 저장 후 120일 동안의 저장방법에 따른 종근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황의 저장방법별 온도변화는 움저장에서 7.2∼13.8$^{\circ}C$로 가장 적었고 스치로폼상자내 흙을 충진한 저장에서 높았으며, 습도는 움저장에서 98.2%로 가장 높았다. 당도와 중량 감모율 그리고 부패율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왕겨를 충진한 망사와 스치로폼상자내 저장에서 당도와 중량 감모율이 높았으나, 부패율은 움저장에서 27.5%로 가장 높았다. 저장중 경도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표피의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내부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