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Festival Imag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9초

지역축제이미지가 관광객의 만족과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 영양 반딧불이 축제를 중심으로 - (Impact of Image of Regional Festival on Satisfaction of Tourists and Their Intention for Revisit - With Focus on Firefly Festival of Youngyang -)

  • 이재만;지진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424-432
    • /
    • 2008
  • 본 연구는 영양군에서 개최되는 반딧불이 축제를 사례로 지역축제 이미지가 관광객의 만족과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영양반딧불이 축제는 현재 5회가 개최되었고 다른 지역의 축제와는 다르게 주간과 야간에 이루어지는 축제로 영양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태환경을 부각시키고 다른 지역 축제에서 볼 수 없는 살아있는 곤충은 가지고 진행한다는 특이한 점이있다. 야간 반딧불이 날리기 체험, 곤충 만들기 등 축제에 참여하는 관광객이 기대했던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행사로 구성되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이미지가 관광객의 만족과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지역축제이미지에 대해 20개의 항목을 구성하여 축제에 참여하는 관광객의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였고, 지역축제이미지에서 나타난 다양한 요인이 관광객의 만족으로 이루어지는 다양성, 체험, 편리성, 축제내용의 전달과 창의성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역축제 이미지와 만족이 축제를 체험하는 관광객에게 재방문의사를 밝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다. 지역축제 이미지와 관광객만족, 재방문 의사는 축제를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새로운 체험, 기대심리, 다양한 정보 전달이 중요하고 축제 내용에 맞게 친환경적이고 생태환경적인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고 일시적이 아닌 꾸준한 친환경적 축제로 발전되어져야 할 것이다.

축제 이미지, 도시브랜드자산, 지역 애호도 간의 영향관계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Image of the Festival, City Brand Equity, and Regional Loyalty)

  • 엄지영;서정아;윤선영
    • 서비스연구
    • /
    • 제7권3호
    • /
    • pp.1-19
    • /
    • 2017
  • 본 연구는 축제의 이미지, 도시브랜드자산, 지역 애호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2015년 안동 국제탈춤 페스티벌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거한 총 289부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축제 이미지는 도시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도시브랜드자산은 지역 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축제 이미지가 지역 애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축제 이미지와 도시브랜드 관련 연구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지역축제를 진행하는데 있어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Chrysanthemum Festivals for the Re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 Song, Jong-Eun;Park, Jin-Sil;Choi, Kyoung-Ok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1-197
    • /
    • 2019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trend, and preference of the three chrysanthemum festivals representing South Korea that are hosted by local governments, and it is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preparing effective plans for the chrysanthemum festival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20, 2013 to November 25, 2017, and literature review, online search, interviews with persons in charge, field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field survey, all three festivals had their space structures divided, themes decided and space images depicted based on chrysanthemum sculptures. The landmarks of the city, cultural assets, or great figures were selected to the main theme of the major chrysanthemum sculptures. The sculptures were decorated realistically for users to easily recognize the image. The main chrysanthemum sculptures tended to be introduced repeatedly. As results of the current state of visit and preference,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visitors has increased every year, along with revisits. The satisfaction and the preference for the festival were evaluated positively, and the chrysanthemum festival has become a local festival representing autumn, and a resource for 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However, as a result of the survey, insufficient parking space and resting place, change of image of the sculptures, experience programs, and food shall be improved in order to increase the users satisfaction.

지역축제를 이용한 지역상징의 문화적 재구성과 정체성 - 장성군 홍길동 축제를 사례로 - (The Cultural Representation and Identity of Regional Symbols Using Regional Festival - In Case of the Hong-gil-dong Festival in Jangseong, Chonnam -)

  • 추명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76-591
    • /
    • 2003
  • 본 연구는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지역전통과 문화자원을 바탕으로 한 지역축제를 통해 지역상징을 재창출하고 이를 지역활성화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는 전남 장성군을 사례로 과거의 역사적 사실이 어떻게 지역의 상징 및 정체성으로 정립되고, 현재의 지역사회에 재구성되는가를 고찰한 사례연구이다. 장성은 조선의 유림 중 뛰어난 인물중의 하나인 하서 김인후와 그를 배향하고 있는 필암서원으로 상징되는 '선비의 고장'으로 알려져 왔고, 동학군의 활동에서 중요한 전기가 마련된 황룡강 전투지역과 한말 의병의 중요한 근거지였다고 하는 역사적 사실로 인해 근래에는 '의향'으로 정립되어 온 지역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홍길동전의 주인공인 홍길동의 생가로 추정되는 곳이 발굴되면서 홍길동을 지역상징으로 재구성하여 지역활성화를 꾀하고 있는 '홍길동축제'의 중심지로 알려진 곳이다. 홍길동축제는 올해로 5회째라는 비교적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장성군을 대표하는 지역축제로 자리잡아 가면서 홍길동 캐릭터를 이용한 지역로고, 생가터의 관광자원화 등 이와 관련한 다양한 지역문화경관을 창출하고 있다. 오랫동안 이 지역의 정체성의 중심에 있었던 '선비의 고장', '의향'으로서 장성은 홍길동축제의 역동적이고 외부적인 이미지를 강화시킨 이벤트전략과 축제의 강한 시장지향적 속성이 창출하는 지역활성화라는 명분 앞에 '홍길동의 고장, 장성'이라는 전통의 창출과 재구성을 경험하고 있다. 전통의 재구성과 현재적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홍길동축제는 이제 그동안 이 지역의 역사적 경험에 기초한 전통과 문화를 다양한 물리적 지역경관과 함께 어떻게 현재의 지평에서 불러내 활용할 것인가, 그리고 이를 위한 지역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어떻게 담아낼 것인가에 진정한 지역통합 및 지역활성화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축제참가자의 지역축제 의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관한 연구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대상으로 - (A Study of Assessment and Awareness by Local Festival Participants' to the Significance of Local Festival : Case Study of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 황화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9-272
    • /
    • 2015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1"을 대상으로 축제참가자의 지역축제 의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관해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에 참가한 축제참가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은 대졸학력의 20~40대 연령층과 가족단위의 방문객이 주를 이루었으며, 외지인과 지역주민 간의 인구학적 특성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역축제 특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지역축제가 지역문화자원 활용정도와 지역축제의 주제 반영정도에 대하여 두 집단 모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주제의 반영정도는 지역주민들의 사례축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축제의 의의는 지역주민 화합, 지역 경제활성화 그리고 지역 홍보 및 지역 이미지 제고이다. 여기서 지역주민과 외지인들은 지역 홍보 및 이미지 제고를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한데 비해 지역주민 화합에는 다른 설문항목에 비하여 긍정적인 인식이 낮았다. 따라서, 사례축제가 보다 지역사회에 깊게 뿌리내림 하기 위해서는 축제를 통한 지역주민들의 문화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보다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그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지역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마련과 축제의 기획, 집행, 평가 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가능한 다양한 창구를 마련하여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확대할 것을 제시한다.

  • PDF

산촌지역축제(山村地域祝祭)의 관광지(觀光地) 이미지 구성요인(構成要因) 측정(測定)과 시장분할(市場分割): 칠곡군(漆谷郡) 아카시아벌꿀축제(祝祭)를 대상(對象)으로 (Measuring Destination Image Components and Segmenting the Market of Forest Region Festival : The Case of Acasia-Honey Festival in Chilgok)

  • 한상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6호
    • /
    • pp.747-755
    • /
    • 2001
  • 본 연구는 산촌지역축제인 아카시아벌꿀축제에 대하여 방문객의 관광지 이미지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방문객의 특성에 따라 관광지 이미지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축제기간인 2001년 5월 12일에서 15일까지 축제장을 방문한 394명의 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관광지 이미지 평가를 위한 설문항목은 선행연구를 기초로 20개를 설정하고 5점 Likert 척도를 적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카시아벌꿀 축제의 관광지 이미지는 크게 환경, 태도 시설, 축제 프로그램, 그리고 상품요인 둥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방문객의 특성에 따른 관광지 이미지의 변화는 최초방문객과 재방문객, 지역주민과 외지인, 그리고 벌꿀상품을 구매한 관광객과 구매하지 않은 관광객 사이에 이미지 평가에 대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존재하는 지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재방문객과 지역주민의 관광지 이미지가 환대성, 축제 내용 및 순서정보 제공과 같은 태도요인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 벌꿀을 구매한 집단의 이미지는 구매하지 않은 집단보다도 상품의 가격과 품질뿐만 아니라 환경요인인 지역문화체험, 자연경관, 향수성, 분위기 등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축제이미지 향상을 위하여는 주최측인 지방정부는 외부 관광객에게 축제에 대한 효과적인 정보제공과 함께 지역의 자연환경과 연계된 향토성과 체험성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직지축제의 활성화 방안 (Revitalization Plan of Jikji Festival)

  • 지봉구;이익수;박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12-221
    • /
    • 2007
  • 지역축제는 지역민을 하나의 공동의 가치관을 형성하고 공동의 문화적 대응을 이끌어 지역민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정치경제사회문화의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주요한 수단이다. 문화관광축제로의 전환을 위한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중앙정부의 참여를 통한 지원확대, 둘째, 직지축제의 규모 확대를 통한 위상 격상, 셋째, 직지축제의 연례화와 상설조직의 추진, 직지축제의 장기발전계획의 수립 등 을 제안하였다.

광양매화축제를 기반으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개발 연구 (Development of Design for Cultural Fashion Products based on the Gwangyang Ume Flower Festival)

  • 김선영
    • 복식
    • /
    • 제60권4호
    • /
    • pp.18-29
    • /
    • 2010
  • For the Gwangyang Ume Flower Festival,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competitive fashion culture goods design and to activate regional culture festival by reinterpreting ume flower image in accordance with current trends, manufacturing motive patterns, and applying them to neckties, scarves, and T-shirts. In terms of method, four basic motives were set that showed new figurative images of ume flowers using Adobe Illustrator 10. The repetitive units of each motive we combined with the ume flower motives and the geometrical patterns, such as quadrangle, triangle, and circle. The basic direction of design was set so that color and texture could have colorful, modern, and natural images using pastel tone and gradation. The set patterns were applied to the repetition, the repetition of the transformed patterns of 45 angle, and the strife patterns, making it possible to display various images in the fashion items such as neckties, scarves, handkerchiefs, or T-shirts. The development of such fashion culture goods seems to be more significant, since they can be easily accessed by general festival participants. Accordingly, the Gwangyang Ume Flower Festival seems to develop not into food-led festival, but into a cultural festival that can publicize more various programs and create profits.

문화관광축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전략 연구(제 1보) - 지역문화자원 활용을 중심으로 -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Design for Promotio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 Focusing on utilization of local cultural resources -)

  • 정경희;이미숙
    • 복식
    • /
    • 제59권7호
    • /
    • pp.17-3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some pieces of prior information to eventually develop high value-added fashion cultural products design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to promote the cultural tourism festiva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carried out the investigation of cultural product stores and visitors' questionnaire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estivals which were selected as cultural tourism festival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from 2000 to 2008. Of them, six festivals were finally selected but food festival was exclu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ore survey was conduced to analyze the situation of the product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The most frequent product was accessories. And a T-shirt was found to be sold every festival probably because it was the most popular item and basic item which people could buy without burden. While the most diverse kinds of products were found in the Andong, the Jinju and Gangjin were found not to develop various products. In the design motif used for cultural products, most products did not use festival or local image. The highest use of the festival and local image was found in Gangjin and Muju. The Andong and Chungju were found to sell very common products buying anywhere rather than product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or image. In the material of cultural products, most products use metal. And In the price of cultural products, 10,000-30,000 won was found highest. Second, the purchase condition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visitors were examined. The visiting goal and companion of visitors was found to vary with the type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The types of visitors were also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choice of items in the purchase of cultural products sold in the festival. Only one third of respondents responded buying one and more cultural products. The purchase rate was found high in the festival where cultural product items were various and there were many products symbolizing festival or region. The most purchased item was a mobile phone hanger and the amount of purchasing cultural products was 10,000-30,000 won. The reason not to purchase cultural products was dissatisfaction with utility, originality, possibility of a present, symbolism, and price.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in the purchase of cultural products was design, followed by symbolism, price, originality, and innovation. The highly preferred product group included clothing, miscellaneous goods, and accessories. Specifically, T-shirt was found highes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design strategy for the cultural products development should consider both regional and festival images. The items and designs of the cultural products should reflect visitors' characteristics and the price zone should be varied.

고령군의 지역이미지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Goryeong-gun's Regional Image and Its Improvement-Policy Agenda)

  • 임석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09-327
    • /
    • 2008
  • 지역 활성화를 위한 장소마케팅에서 긍정적인 지역이미지의 형성은 장소마케팅의 성공 여부를 판가름 할 만큼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 논문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고령군의 지역이미지를 분석하고 지역발전전략의 일환으로 이미지를 개선하고 활용하는 정책과제를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고령군은 대가야체험축제를 통하여 불과 몇 년 사이에 '대가야'란 이미지를 확고히 구축할 수 있었으며, 이는 고령군을 대외적으로 알리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대가야 이미지 전략은 이런 점에서 매우 성공적이나 한편으로는 다른 장소자산과 잘 연결되지 않고 보편적 가치에 기반을 두기 보다는 특정 지역 역사를 바탕으로 한 이미지 형성으로 그 한계가 노정되고 있다. 또한 대가야 이미지를 프로모션하는 브랜드 슬로건, 로고 등이 적절하지 않고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고령군은 대가야 이미지 기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인위적 장소자산의 조성을 통해 대가야 이미지를 보다 보편적 가치를 가진 이미지로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