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laimed Soil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26초

연약지반상에 자켓팩앵커의 적용과 거동특성 (Behavior and Application of Jacket pack anchor in Soft ground)

  • 김태섭;조윤주;정창원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065-1072
    • /
    • 2010
  • The excavation site in the new city of inchon songdo is distributed with soft reclaimed soil and marine deposit. So, the general ground anchor is not applied to this layer of soft ground as the earth retaining support system, because of settlement. And then, Jacket pack anchor which is newly developed in order to increasing the pullout resistance by certain grout bulb formation and expansion effect in soft ground is applied to this site instead of the general ground anchor. Though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shows about 30mm~100mm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excavation depth$\fallingdotseq$0.32~1.0%) according to excavation sequence, generally excavation work finished stably. Also, load cell after setting shows almost increasing trend with increasing horizontal displacement. It means that the settlement of Jacket pack anchor in soft ground is good. From the result of this case, we knew that Jacket pack anchor was able to use the earth retaining support system in soft ground. Using Jacket pack anchor in soft ground, The allowance of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s applied more than general value considering soil factors.

  • PDF

토양 내 서식하는 공벌레의 중금속 축적에 따른 생태적 연구 (Ecological study on effects of heavy metal accumulation on pillbugs)

  • 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5호
    • /
    • pp.675-684
    • /
    • 2011
  • In nature, the overall effect of heavy metals on the biota can be influenced by a number of environmental factors like soil characteristics and air pollution by elevated $CO_2$. Pillbugs (Isopoda, Armadillium vulgare) take up heavy metals with their food and store them mainly in the vesicles of hepatopancreas. They accumulate certain metals, occur in relatively large numbers, are easily collected and identified, and provide sufficient material for analysis. The species are decomposing litter well and soil impurities into N and P. Therefore, it has been suggested that total body concentration of metals in pillbugs could b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levels of environmental exposure and that pillbugs could be used as biological indicators of metal pollution and global change by $CO_2$. The aim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effect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oil and elevated $CO_2$ on pillbugs' body accumulation of heavy metal and growth rate.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six metals (Fe, Mg Cu, Zn, Pb, Cd) have been determined. Pillbugs (N=287) were collected at five sites during Jul-Aug, 2006. Cu and Zn concentrations in the body were much higher than in the soils(1.39-41.70 times). This indicated that bioaccumulation of some of the heavy metals were increasing in the food-chain. The high bioconcentration of lead in Sangam may be partly associated with reclaimed land uses.

인천 송도지역 지반의 변동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Soil Variability of Songdo Area in Incheon)

  • 김동휘;안신환;김재정;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73-88
    • /
    • 2009
  • 지반의 변동성은 많은 독립된 불확실성 요소로부터 발생하는 복잡한 요소이며, 지반의 변동성은 주로 내재적 변동성과 측정오차에 의해서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반의 변동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되는 변동계수를 송도지역의 지반정수 및 지층에 대하여 산정하였다. 지반정수의 변동성은 지층 및 흙의 종류에 영향을 받으므로 지층은 매립층과 퇴적층, 흙의 종류는 점토와 실트로 구분하여 각각의 변동계수를 산정하였다. 퇴적층과 점토의 변동계수가 매립층과 실트에 비하여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풍화가 많이 진행된 암반과 토사가 신선한 암반과 풍화암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변동계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송도지역의 변동계수는 신뢰성해석의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준설매립지반의 건조수축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Desiccation Shrinkage in Reclaimed Hydraulic Fills)

  • 홍병만;김상규;김석열;김승욱;김홍택;강인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219-23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연약한 점토층 준설매립지반을 대상으로, 비교적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자중압밀 침하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성과가 미흡한 표토층의 건조수축특성 규명에 초점을 두고, 침투압밀시험, 부압시험 및 건조수축시험 등 실내시험을 시행하였다. 실내시험이 시행된 시료는 전라남도에 위치한 해남지구, 고금지구 및 고흥지구 등 3개 지구의 현장시료이며, 실내시험결과를 토대로 건조수축 관련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Abu-Hejleh % Znidarcic가 제안한 연약한 세립점토 지반의 건조수축 침하이론 지배방정식을 유한차분형태로 표현하고 실내시험을 통해 파악된 해남지구 현장시료의 건조수축특성 등을 입력자료로 하여, 3차원 체적변화에 따른 건조수축침하를 수치적으로 예측하였다. 계속해서 자중압밀침하를 포함한 전체침하 예측치를 해남지구 현장에서의 10년간 실제 관측결과와 서로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건조수축특성에 관련된 변수들이 침하 등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분석하였다. 특성 (불연속면의 방향 및 강도), 하중조건 및 암반사면의 기하학적 형상 등이다. 확률론적 해석에서 고려할 수 있는 불연속면의 방향 및 마찰각의 통계적 특성이 파괴형태를 고려한 암반사면의 안정에 큰 영향을 보였다. 암반사면의 안정은 굴착면의 방향에 가장 민감하였다. 예제분석을 통하여 개발된 파괴형태를 고려한 암반사면의 신뢰도모델은 암반사면의 안정성 조사에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었다.

  • PDF

간척지 재배에 적합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선발연구 (Study on Optimum Forage Cropping system in Reclaimed Tidal Land)

  • 신재순;김원호;윤세형;서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7-122
    • /
    • 2007
  • 본 시험은 1984년에 방조제가 완공된 충남 당진군에 위치한 대호간척지($37^{\circ}\;N,\;126.4^{\circ}\;E$)의 한국농촌공사 시험연구포장에서 2004년 3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여름 작물에서 출현율은 수수${\times}$수단그라스 파종구에서 $23%{\sim}30%$로 매우 낮았다. 겨울작물에서는 총체 벼 재배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구에서 가장 높았다. 월동율은 총체 벼 재배 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구가 가장 높았으며, 수수${\times}$수단그라스 재배후 총체보리 파종구가 가장 낮았다. 하작물과 동작물을 연계한 작부체계에서 ha당 생초 및 건물수량은 총체 벼+이탈리안 라이그라스(50,807kg, 15,065kg) 작부체계가 가장 수량이 높았으며, 수수${\times}$수단그라스+총체보리(17,247kg, 5,209kg)으로 가장 낮았다. ha당 조단백질 생산량은 총체 벼+총체보리 작부체계가 가장 높았다. TDN 생산량에서는 총체 벼+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작부체계가 가장 높았다.

산지토양(山地土壤)의 특성(特性)과 개량(改良) (Soil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Reclaimable Hillside Land)

  • 류인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47-262
    • /
    • 1979
  • Majority of reclaimable soils in hillside lands in Korea are red yellow soils, with exception in Jeju island, where most of reclaimable hillside lands are composed of volcanic ash soils. Songjeong, Yesan and Samgag series are the major soil series of red yellow soils which are available for the reclamation. When observed in the fields, they are distinguished as reddish brown clay loam, red yellow sand loam and yellowish brown sand loam. They have moderately good physical properties but their chemical properties are generally poor for crop cultivations. The chemical properties of red yellow soils, as compared to long time cultivated (matured) soils, are characterized by very low pH, high in exchangeable Al content and phosphorus fixation capacity. Also extraodinary low available phosphorus and organic matter contents are generally observed. On the other, the chemical properties of volcanic ash soils are characterized by high armophous Fe and Al hydroxides and organic matter contents, which are the causative factors for the extremely high phosphorus fixation capacity of the soils. The phosphorus fixation capacity of volcanic acid soils are as high as 5-10 times of that of red yellow soils. Poor growth of crops on newly reclaimed red yellow soils are mainly caused by very low available P and pH and high exchangeable Al. Relatively high P fixation capacity renders the failure of effective use of applied P when the amount of application is not sufficient. Applications of lime to remove the exchangeable Al and relatively large quantity of P to lower the P fixation capacity and to increase the available P are the major recommendations for the increased crop production on red yellow hillside soils. Generally recommendable amounts of lime and P to meet the aforementioned requirements, are 200-250kg/10a of lime and $30-35kg\;P_2O_5/10a$. Over doses of lime. frequently induces the K, B, arid Zn deficiencies and lowers the uptake of P. In volcanic ash soils, it is difficult to alter the exchangeable Al and the P fixation capacity by liming and P application. This may be due to the peculiarity of volcanic ash soil in chemical properties. Because of this feature, the amelioration of volcanic ash soils is not as easy as in the case of red yellow soils. Application of P as high as $100kg\;P_2O_5/10a$ is needed to bring forth the significant yield response in barley. Combined applications of appropriate levels of P, lime, and organic matter, accompanied by deep plowing, results in around doubling of the yields of various crops on newly reclaimed red yellow soils.

  • PDF

야산(野山) 개간지(開墾地) 토양(土壌)에서 인산시비방법(燐酸施肥方法) 및 시용량(施用量)이 대두수량(大豆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y on the Soybean Yield as Influenced by Method and Rate of Phosphate Application in Reclaimed Soil)

  • 박건호;채재석;황남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6-63
    • /
    • 1983
  • 호남야산(湖南野山), 신개간지(新開墾地) 토양(土壌)에서 대두(大豆)의 수량성(收量性)을 증대(増大)시키기 위(為)하여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시용방법(施用方法) 및 시용량(施用量)을 검토(検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시비방법(施肥方法)에서는 전층시비구(全層施肥区)에서 가장 높은 수량(收量)을 나타냈으며 국부시용구(局部施用区)에서 수량(收量)이 가장 낮았다. 2.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시비량별(施肥量別) 효과(効果)는 표층시비구(表層施肥区)에서는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数) 15%로 조절시용(調節施用)한 구(区)에서 수량(收量)이 높았으며 국부시비(局部施肥)와 전층시비(全層施肥)에서는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数) 10%로 조절(調節)한 시용구(施用区)에서 각각(各各) 수량(收量)의 증가(増加)가 현저(顕著)하였다. 3.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를 다량시용(多量施用)한 구(区)에서는 대체(大体)로 경태(茎太)가 굵고 분지수(分枝数)와 협수(莢数)가 증가(増加)되었다. 4.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다량시용(多量施用)에 따라 토양중(土壌中) 유효인산함량(有効燐酸含量)은 시험전(試験前) 9ppm에서 시험후(試験後)에는 48~223ppm로 증가(増加)되었으며 염기류(塩基類)의 함량(含量)도 대체(大体)로 증가(増加)되었다. 5. 식물체(植物體)의 인산흡수량(燐酸吸收量)과 수량(收量)과는 r=0.948로 정(正)의 유의상관(有意相関)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개간지(開墾地)에서 절토지(切土地)와 성토지(盛土地)의 토양생산력(土壤生産力) 비교(比較) (Differences in Soil Productivities between the Cut Site and Fill Site in a Newly Reclaimed Land)

  • 김리열;임정남;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90-194
    • /
    • 1982
  • 개간지(開墾地)에서 절토지(切土地)와 성토지(盛土地)의 토양생산력(土壤生産力)을 연차적(年次的)으로 비교(比較)하기 위(爲)하여 경기도(京畿道) 평택(平澤)에서 콩-보리, 고구마-보리 작부(作付)를 대상(對象)으로 3년간(年間)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개간후(開墾後) 절토지(切土地)의 가비중(假比重)과 경도(硬度)는 각각(各各) $1.52g/cm^3$, 23.3mm이었고 성토지(盛土地)는 $1.32g/cm^3$, 14.3mm이었다. 성토지(盛土地)에서 고구마 재배(栽培)는 우량(優良)한 물리성(物理性) 유지(維持)에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의 보지능력(保持能力)은 절토지(切土地)에서 낮았고 성토지(盛土地)는 3년차(年次)까지도 높았다. 3. 절토지(切土地)의 작물(作物) 수량(收量)은 낮았으나 작기(作期)에 따라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고 성토지(盛土地)는 개간당년부터 안정(安定)된 수량(收量)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간척지 논의 부산석고비료 시용효과 (Effects of Phospho-gypsum Fertilizer as Reclamation Material in the Newly Reclaimed Paddy Fields)

  • 손보균;이도진;박범기;채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5-150
    • /
    • 2007
  • 간척지 논에 대한 부산석고비료 처리 효과 구명을 위하여 고흥과 영암 지역의 간척지 시범포를 대상으로 부산석고비료를 처리하여 벼의 수량, 생육 및 벼의 성분함량과 간척지 논의 토양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출수기의 벼 초장과 주당경수는 고흥지역의 경우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영암지역은 초장이 111.9 cm로 무처리구보다 6.7 cm 길어 고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당경수는 처리구가 9.1개, 무처리구가 8.0개로 석고처리구가 1.1개 높게 나타났다. 부산 석고처리 유무별 벼 수량 및 성분함량은 조사지역 두 곳 모두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가 좋게 나타났다. 수량지수는 석고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고흥지역이 5%, 영암지역이 13% 증수되었다. 수수는 고흥지역의 무처리구가 400개 $m^{-2}$로 처리구 보다 많지만 등숙률이 처리구에서는 81%, 무처리구는 68%로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미질의 성분인 단백질, 아밀로오스 및 지방산의 함량은 부산석고비료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두 지역 모두 pH, EC, Av-S, Ca가 무처리구에 비해 부산석고비료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토양 중 치환성 Na는 부산석고비료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고흥지역 18%, 영암지역 28%로 낮아짐을 보였고, 부산석고비료를 처리함으로서 ESP와 SAR이 낮아졌다. 식물체 분석 결과 석고처리구에서 CaO > MgO > K2O의 순서로 흡수가 많아졌다.

세립분 함량에 따른 준설토의 분리 퇴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egregation Sedimentation for Dredged Soil Depending on Fines Content)

  • 박민철;이종경;신효희;이송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25-34
    • /
    • 2011
  • 준설매립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서해안 지역 준설토는 일반적으로 조립분 함량이 높다. 이 지반을 펌프로 준설 시 토출구의 위치 및 흙의 공학적 성질에 따라 다른 거동을 나타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립분 함량 변화에 따른 준설토의 분리 퇴적특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상사의 법칙을 적용하여 길이 2,650mm, 폭 770mm, 높이 735mm의 모형토조장비를 제작하여 SM과 ML시료로 단계투기방법과 함수비 300%, 500%, 700%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ML시료는 초기함수비가 높을수록 침강완료시간에 빨리 도달하였고 확산거리가 멀어질수록 침강시간은 길어졌다. SM시료는 확산거리 120cm까지 조립토의 거동을 보이며 그 이상의 확산거리에서는 세립분의 영향으로 ML시료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함수비와 세립분 변화 역시 ML 시료는 심도가 낮아지고, 확산거리가 멀어질수록 통과율이 커지고 함수비는 작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SM시료는 확산거리가 가까운 구역에서는 조립토가 쌓여있고 먼 구역에서는 세립토가 쌓여있어 두 시료의 경계지점인 120cm~160cm을 기준으로 세립분 함유량과 함수비의 큰 차이가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단강도는 확산거리에 따라 ML-최대 2.97kPa, SM-최대 10.2kPa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