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of Student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5초

화학 및 과학 교과서에 기술된 읽기자료 분석 및 활용도 조사 (Analysis of Reading Materials Presented in Chemistry and Science Textbooks and Survey on Utilization Reading Materials)

  • 임미경;유미현;남석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69-8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읽기자료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고등학교 화학I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고, 과학 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 및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 I 교과서 각 4종을 택하여 읽기자료의 수, 내용에 따른 제시 유형과 학생의 활동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 활용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학I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화학I 교과서에서는 읽기자료의 비율이 7.9%~17.1%로 나타났으며, 2009개정 화학 I 교과서는 20.6 28.2%비율로 나타났다. 2009개정 교과서의 읽기자료 비율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읽기자료 내용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생활 속 과학'이 34.3%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2009개정에서는 '지식의 심화보충'이 2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생 활동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은 읽기자료 13%만이 탐구형 자료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9개정에서는 35%가 탐구형 자료로 나타나 학생의 탐구활동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목표가 반영되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과학 교과서활용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 67%에 해당하는 교사가 현재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를 수업에 사용하고 있으나 거의 활용하지 않는 교사도 33%나 되었다. 많은 교사들이 실생활과 관련된 통합적 교육을 위해 읽기자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생활 속 과학' 읽기자료가 교과서에 좀 더 많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 PDF

만프레도 타푸리의 이데올로기 비판 독해를 위한 이중의 문맥 (Doble Contexts for Reading Manfredo Tafuri's Criticism of Ideology)

  • 박정현
    • 건축역사연구
    • /
    • 제25권2호
    • /
    • pp.21-30
    • /
    • 2016
  • Autonomia movement that emerged in Italy in the 1960s from workerist (operaismo) communism gives historical and discursive context to Manfredo Tafuri's famous criticism of ideology. His thesis on the death of architecture was a radical criticism of Keynesian intervention which was a strategy to cope with the Great Depression. For him, this capitalist development had taken away ideological prefiguration from architecture. At least Tafuri's this early intellectual phase was formed in the wake of magazine Contrapiano and Antonio Negri's influence. Tafuri almost entirely adapted Negri's thought on the importance of capitalist innovation that was uncovered by Keynes, Schumpeter, and Manheim and the periodization in modern history. When we read Tafuri's text with this concrete context, we can avoid being plunged into his abstruseness. On the other hand, 1980's Korea cannot understand Tafuri comprehensibly. 1980's situation to struggle to acquire democracy prescribed only one mode of reception of Tafuri's historiography in Korea. Tafuri's so-called pessimist view point could not satisfy student activists. They want to take intellectual means to sustain student movement and to secure political dynamics of protest. But at the same time they have anxiety to understand tafuri's thesis that they consider ad a critical theory for Korean Architecture. Double contexts of Tafuri's criticism of ideology bring to light to historicize both Tafuri's historiography itself and reception of his text in Korea.

An Audio-Visual Teaching Aid (AVTA) with Scrolling Display and Speech to Text over the Internet

  • Davood Khalili;Chung, Wan-Young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
    • /
    • pp.2649-2652
    • /
    • 2003
  • In this Paper, an Audio-Visual Teaching aid (AVTA) for use in a classroom and with Internet is presented. A system, which was designed and tested, consists of a wireless Microphone system, Text to Speech conversion Software, Noise filtering circuit and a Computer. An IBM compatible PC with sound card and Network Interface card and a Web browser and a voice and text messenger service were used to provide slightly delayed text and also voice over the internet for remote teaming, while providing scrolling text from a real time lecture in a classroom. The motivation for design of this system, was to aid Korean students who may have difficulty in listening comprehension while have, fairly good reading ability of text. This application of this system is twofold. On one hand it will help the students in a class to view and listen to a lecture, and on the other hand, it will serve as a vehicle for remote access (audio and text) for a classroom lecture. The project provides a simple and low cost solution to remote learning and also allows a student to have access to classroom in emergency situations when the student, can not attend a class. In addition, such system allows the student in capturing a teacher's lecture in audio and text form, without the need to be present in class or having to take many notes. This system will therefore help students in many ways.

  • PDF

초.중학생의 눈금 읽기 능력 및 측정 도구와 단위에 관련된 개념 조사 (Investigation on the Students' Abilities of Reading Scales and Conceptions Related with Measuring Instruments and Units)

  • 서정아;정희경;정용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초 중등 학생들의 눈금 읽기 능력과 측정도구의 용도 및 단위에 대한 개념을 조사했다. 초등학생 72명, 중1 학생 69명, 중3 학생 8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 평가 및 지필 평가를 실시했다. 눈금읽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개별 수행 평가를 실시했는데, 학생 개개인은 서류 봉투의 가로 세로 길이, 물의 온도, 물의 부피 등을 실험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어진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측정 도구 및 단위와 관련된 개념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림과 사진이 그려진 질문지를 사용했다. 눈금 읽기 능력 면에서 각 학년마다 적지 않은 측정오차를 내는 학생이 있음이 드러났으며 특히 질량이나 부피 측정의 경우 그 수가 더욱 증가했다. 측정 도구에 대한 학생의 개념 조사 결과 학생들은 물리량 개념이 정확하지가 않아 측정 도구가 측정할 수 있는 물리량을 제대로 지적하지 못했다. 또한 단위에 대해서도 혼동이 있어서 특히 질량, 무게, 부피나 힘의 단위 등을 어려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온·오프 강의에서 온라인 영어읽기 수업의 학습행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Learning Behavior in Online English Reading Class of an On-off Course)

  • 최미양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9호
    • /
    • pp.142-151
    • /
    • 2023
  • 본 연구는 온·오프 강의에서 온라인으로 영어읽기 학습활동을 하는 학생들의 학습행태를 파악하는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학기말에 실시한 설문조사와 학생들과의 전화 인터뷰를 토대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영어 듣기와 읽기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77명이며 이중 5명과 전화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학습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학습의 규칙성과 학습 순서는 개선할 필요성이 나타났으며 이를 위하여 교수자의 학생관리 방안이 제시되었다. 교수강의 시청의 경우 학생들은 일시정지와 반복시청과 같은 녹화강의의 장점을 잘 활용하고 있었으나 모든 학생들이 온라인 교수강의를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녹화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 보였다. 대면 수업에서 실시하는 교수강의 복습퀴즈는 학생들이 교수강의를 더 적극적으로 시청하도록 자극을 주기 위한 것인데 연구결과 온라인 학습기간 설정과 퀴즈 문제 개수와 같은 요소들을 수정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전공특성에 따른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이용태도 및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age and Space Planning in Subject Specialization of University Library for Major)

  • 장아리;황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143-151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premise that the university library'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is in need of major modifications in order to accommodate the needs of various majors. The subject specialization room will be able to support university library users who are inclined to use the general reading room. Therefore, the study presents spatial planning for the average university library'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by taking into account student majors. This could be a guideline for the construction and renov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in the future. The summary of results for this study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Natural science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should be, partially connected with the humanities/social science subject specialization room in order to provide an open-concept reference room. In the shared area connecting the two subject specialization rooms needs to be installed a staff counter and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service booth for users of both subject specialization rooms. 2)For humanities/social science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partially connect with the natural science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In the connecting area between the two rooms, plan an open-concept lounge for resting and reading. 3)It is best to plan subject specialization room for art/music/physical education majors separate from the subject specification room of other majors. Structurally separate art/music/physical education major subject specialization rooms from the building or plan a separate room in an art/music/physical education building. Users of art/music/physical education majors showed a high preference for a spatially separated and specialized library structure, which proves that an art/music/physical education library need to be planed based on the specialized library structure found in law school libraries or medical school libraries. Plan the center of the room with open-concept based reading room. Use wall-sides, partitions, or shelves to create reading space separate from the shelving area.

2007과 2009 개정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달의 위상 변화 삽화에 대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이해 (Elementary School 5th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Illustrations on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in Science Textbook of 2007 and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양일호;김정연;임성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6-6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 understands or students understand the illustrations on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in science textbook and to find out how textbook illustration helps students form the conception of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To identify this purpose, we selected illustrations on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in the science textbook revised in 2007 and 2009 revised science textbook. For this study we selected and interviewed 20 students in the fifth grade. We integrated all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created a transcription and a protocol and then, confirmed scientific conceptions related to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in students' illustration reading. The result are as followings: First, students read more scientific conceptions related to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in illustration of the 2009 revised science textbook which is presented with the universal observer's view point and the earth observer's view point. Second, students who find meaning in the various elements of the illustration and interpret with the integration of the various elements, get a lot of relevant information from illustration. All students have no differences recognizing the elements presented in illustration. But there are differences of contents of illustration reading depending on how students interpret the illustrations with integration of the various elements and if students cannot figure out the four scientific concepts needed to understand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they ignore the information provided by illustration or analysis in their own way according to information provided by illustration. So misconception appears in this process.

한국 대학생의 독해지문을 활용한 영어시제 습득 (Korean College Students' Acquisition of English Tense through Reading)

  • 김경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73-380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대학생들의 영어 시제습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영어 시제습득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차이가 있는가? 두 번째, 영어 능숙도에 따라 영어 시제 습득에 차이가 있는가? 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광주소재의 C 대학교 교양 영어를 수강하는 77명의 학생들이며 실험집단 39명이고 통제 집단은 38명이었다. 이 연구를 위한 자료는 영어 시제에 관한 40문제를 제시하였고 설문지 기법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방법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 12.0을 이용하여 t 검정 방법을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 비록 하위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독해지문을 활용한 영어시제 학습을 함으로써 학생들은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 하였고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였다.

웹 기반 영어 어휘 학습 보조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Learning System for English Vocabulary)

  • 유혜진;이미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0A권4호
    • /
    • pp.375-380
    • /
    • 2003
  • 어휘 학습은 영어 학습에 있어 기반이 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문법이나 독해 등 다른 요소에 비해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영어학습을 위한 인터넷 사이트들도 많이 제공되고 있지만, 이들 사이트에서 조차도 어휘 학습보다는 문법이나, 구문. 독해 등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어휘학습을 위한 기능제공은 극히 제한적임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정된 수업시간 내에 이루어지기 어려운 영어어휘 학습을 수업전이나 후에 학습자 스스로 수행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웹 기반의 어휘학습 보조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학습자가 스스로 문맥을 통한 어휘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며, 어렵거나 새로운 어휘를 반복 학습하는데 효과적인 학습구조를 갖추고 있다.

독서공간으로서 학교도서관 공간특성 요소에 대한 중학생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 Users' Perception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School Libraries as Reading Spaces)

  • 정문지;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9-257
    • /
    • 2023
  • 본 연구는 독서공간으로서의 학교도서관에 주목하고 독서를 위한 학교도서관 이용 시 공간특성 요소에 대한 중학생 이용자의 인식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와 예비 연구를 통해 공간특성 요소를 선정하고 각 공간특성 요소에 대해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와 충족하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용자의 인식이 이용현황 및 학교도서관 독서활동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더불어 공간특성 요소의 인식이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4곳에 재학 중인 34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공간특성 요소 중 소통성, 다양성, 안전성, 편의성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이 이용현황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소통성, 쾌적성, 분위기가 이용자 만족도에, 심미성과 소통성이 지속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소통성, 쾌적성, 분위기는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를 매개하여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독서를 위한 공간으로서 학교도서관을 조사함으로써 학생들의 독서 지원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