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w 0.5

검색결과 2,196건 처리시간 0.033초

Pur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Glucoamylase in Aspergillus oryzae NR 3-6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 Yu, Tae-Shick;Kim, Tae-Hyoung;Joo, Chong-Yo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7권2호
    • /
    • pp.80-85
    • /
    • 1999
  • The purification system of glucoamylase (glucan 1,4-${\alpha}$-glucosidase, EC 3. 2. 1. 3), some characteristics of the purified enzyme and hydrolysis rate of various raw starch were investigated through several experiments. The enzyme was produced on a solid, uncooked wheat bran medium of Aspergillus oryzae NR 3-6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The enzyme was homogeneously purified 6.8-fold with an overall yield of 28.3% by the criteria of disc- and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molecular weight was estimated to be 48 kDa by SDS-PAGE.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were 55$^{\circ}C$ and 4.0, respectively. The enzyme was stable at a pH range of 3.0∼10.0 and below 45$^{\circ}C$. Enzyme activity was inhibited about 27% by 1mM Hg2+. The hydrolysis rate of raw wheat starch was shown to be 17.5-fold faster than the hydrolysis rate of soluble starch. The purified enzyme was identified as glucoamylase because the product of soluble starch by the purified enzyme was mainly glucose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 PDF

율초(葎草)가 항염 효과에 미치는 영향 (Anti-inflammaory effects of the MeOH extract of Humulus japonicus in vivo)

  • 황순이;조미정;김상찬;지선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2-103
    • /
    • 2009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examin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Humulus japonicus MeOH extracts (HJE) in vivo. Methods : The effects of HJE on anti-inflammation were measured by production of NO,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OX-2, I$\kappa$B$\alpha$ (Inhibitor kappa B alpha), NF$\kappa$B (Nuclear Factor kappa B), TNF-$\alpha$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L-1$\beta$ (Interleukin-1$\beta$), IL-6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stimulated with LPS. Results : 1. All concentrations of HJE(0.03 and 0.10 mg/ml) had no significant cytotoxicity in Raw 264.7 cell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2. The level of NO and iNOS in culture medium was dramatically increased by LPS application. However, these increases were dose-dependently(0.03 and 0.10 mg/ml) attenuated by treatment with HJE. 3. HJE extract reduced PGE2 leve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s a consequence of inhibition of COX-2 protein expression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stimulated with LPS. 4. 0.10 mg/ml HJ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I$\kappa$B$\alpha$ indicating the suppression of NF-$\kappa$B pathway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stimulated with LPS. 5. 0.10 mg/ml HJ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TNF-$\alpha$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stimulated with LPS. 6. All concentrations of HJ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IL-1$\beta$, IL-6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stimulated with LPS. Conclusions :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s that therapeutic effect of HJE on heat syndrome, especially due to the acute inflammation, are partly due to the reduction of some of inflammatory factors by inhibiting iNOS and COX-2 through the suppression of p-I$\kappa$B$\alpha$. Moreover, it suggests that the mechanism of action of HJE comes from the sup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O, PGE$_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 PDF

NiCuZn Ferrite의 제조공정 제어 (제1보) - 습식 볼밀링에 의한 다성분 원료의 혼합 및 분쇄 공정의 고찰 (The Processing control of NiCuZn Ferrite (I) - Mixing and Size Reduction of Raw Materials by Wet Ball Milling.)

  • 류병환;김선희;최경숙;고재천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928-936
    • /
    • 1995
  • 원료$(NiO,\;CuO,\;ZnO,\;Fe_{2}O_{3})$를 사용하여 원하는 조성의 NiCuZn Ferrite 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고농도 원료슬러리를 균일 혼합 및 효율적인 분쇄를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습식 볼밀을 사용하여 혼합원료 입자들의 분산상태를 유지하며, 최적의 혼합 및 분쇄조건을 확립하고자 한다. 먼저 혼합원료의 분산특성을 조사한 후, 볼밀링시 사용하고자 하는 pH 영역을 결정하고, 이 때 사용 가능한 분산제를 선택하였다. 또한, 분산제의 양, 분쇄시간, 볼밀링 가능한 슬러리의 농도 등을 조사하였다. 혼합원료의 분산거동을 조사한 결과, 혼합 및 분쇄할 때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poly acrylic ammonium salt)이 적절한 분산제였으며, 분산제 양은 0.7 wt%가 적절하였다. 이 때 최적 볼밀링 시간은 18시간이었으며 볼밀링이 가능한 슬러리의 최대 농도는 약 55 vol%이었다. 혼합원료 30 vol%슬러리에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을 0.7 wt% 첨가하여 18시간 볼밀링한 결과, 혼합원료의 평균입자경은 약 $0.54\mu\textrm{m}$, 비표면적은 $12.92m^{2}/cc$이었다. 이를 $700^{\circ}C$에서 3시간 동안 하소하면 단일상의 NiCuZn Ferrite가 얻어졌다.

  • PDF

갈퀴나물 에탄올 추출물의 RAW264.7 대식세포에서 LPS(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nitric oxide 및 prostaglandin E2 생성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Vicia amoena on LPS(Lipopolysaccharide) induced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 E2 production in RAW264.7 macrophage cell)

  • 남정환;박수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443-45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갈퀴나물(Vicia amoena) 전초를 이용한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과 항염증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RAW264.7 cell(대식세포)에서 염증 매개 물질인 lipopolysaccharide(LPS)로 염증을 유발시켜 nitric oxide (NO) 및 prostaglandin E2 (PGE2)같은 염증 유발 인자들의 생성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갈퀴나물 에탄올 추출물의 염증 유발 인자 억제 시 저해효과를 측정하였을 때 nitric oxide 및 prostaglandin E2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하게 저해하는 농도인 40 ㎍/㎖의 농도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를 36.0 ± 0.5 % 저해하였으며, 특히 PGE2에서는 88.0 ± 0.8 % 만큼 유의성 있는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갈퀴나물의 에탄올 추출물이 유의성 있는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예방의학적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기에 염증성 질환의 예방을 위한 항염증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차후 에탄올 추출물의 보다 다양한 농도 및 유기용매 분획물에서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iNOS·COX-2 등 의 다양한 효소의 발현과 Iκ-Bα의 분해 등 염증반응의 신호전달물질의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담죽엽의 항산화 효과와 RAW 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iN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Effects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of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Via Reducing iNOS Synthesis Induced by LPS in RAW 264.7 Cell)

  • 황성연;이성원;권강범;최원종;김재효;안성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76-982
    • /
    • 2010
  • We studied to know the anti-inflammation effect on water extracts of Lophatheri Herba which was growing in every places in our country. We objected free radical scanvenger effect and nitrite eliminate effect of the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and the cell viabillity, the effects of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on NO production, iNOS synthesis induced by LPS. Free radical scavenger effects were $27.91{\pm}0.12%$, $38.96{\pm}0.10%$, $46.22{\pm}0.15%$ depend on 0.5, 1.0, 2.0 mg/ml each dose of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Nitrite eliminate effects were $9.86{\pm}0.3%$, $80.61{\pm}0.23%$, $97.62{\pm}0.56%$ in 0.1, 1.0, 2.0 mg/ml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on pH 1.2. NO production and iNOS synthesis induced by LPS were reduced in RAW 264.7 cell by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As the above results,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have anti-inflammation effects via NO production decrease, iNOS synthesis decrease mechanism. So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will be used as the protection or treatment in chronic inflammation desease like a asthma, stomatitis etc.

토마토가 함유된 비가열 미트패티의 냉동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n-cooked Meat Patties with Ground Raw Tomato During Freeze Storage)

  • 김일석;진상근;민훈식;양미라;남영욱;고병순;손한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4호
    • /
    • pp.535-542
    • /
    • 2008
  • 미트패티에 무첨가구(대조구)와 갈은 생토마를 각각 0.5, 1.0 및 1.5%씩 첨가하여 제품을 제조한 후 냉동 저장 중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pH, 명도 및 적색도는 토마토를 첨가한 제품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TBARS는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p<0.05). 관능검사 결과 토마토 첨가는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다소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토마토를 함유한 기능성 미트패티 생산 시에는 첨가수준이나 첨가형태 등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전자선 조사와 저장기간이 식육의 콜레스테롤 7-유도체 산화물의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n-Beam Irradiation and Storage on Cholesterol 7-derivatives Products of Meat)

  • 이정일;이무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4-82
    • /
    • 1999
  • 실험재료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우육, 돈육, 계육을 이용하였다. 생육 시료들은 PVDC 필름을 이용하여 함기포장과 진공포장을 하였으며, 전자선 조사(0, 1, 2, kGy)를 실시한 후 $2{\sim}4^{\circ}C$의 냉장실에서 보관하면서 저장기간 별(0, 7, 14일)실험에 사용하였다. 가열 시료들은 electric oven에서 육 내부가 $70^{\circ}C$가 될 때까지 가열한 다음 함기포장과 진공포장을 즉시 실시한 후 생육 시료들과 같은 조건으로 전자선 조사를 실시한 후 $2{\sim}4^{\circ}C$의 냉장실에서 보관하면서 생육 시료들과 같은 저장기간별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발생 종류와 발생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자선 조사를 실시한 (0, 1, 2, kGy) 우육 sample에서 생육-진공포장 처리구에서는 전 저장기간 동안(저장 14일) 7-ketocholesterol이 trace ($0.5\;{\mu}g/g$ 이하) 발생하였다. 그러나 $7{\beta}-hydroxycholesterol$은 전 저장기간 동안 $8.02{\sim}101.30\;{\mu}g/g$의 범위로 발생하였다. 전체 발생량은 가열-함기포장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발생량은 $51.18{\sim}155.90\;{\mu}g/g$이었다. 돈육, 계육 sample은 우육 sample에서와 같이 콜레스테롤 산화물질의 종류가 비슷하게 발생하였으며, 처리구에 따른 콜레스테롤 산화물 전체 발생량은 조사 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체 발생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 PDF

유자 착즙액 첨가 아이스크림의 영양학적 특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Ice Cream Added with Citron(Citrus junos Sieb ex Tanaka) Juice)

  • 김성현;최덕주;신정혜;이준열;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2-219
    • /
    • 2004
  • 유자 착즙액과 동결시킨 착즙액의 첨가 비율을 달리한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여 관능적 특성 및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비타민 C는 대조군과 동결 유자즙 1%를 첨가한 경우 검출되지 않았으며 생 유자즙을 3% 첨가한 경우 4.7 mg/100g 이었으나 동결 유자즙 3%첨가군 1 mg/100g으로 그 함량이 월등히 낮았다. 유리당은 sucrose, lactose 및 maltose가 검출되었으며 전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그 함량이 낮았으며 유자즙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유리당의 함량은 낮았다. 유자 아이스크림 중의 유기산은 oxalic acid, malonic acid, malic acid 및 cit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citr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생유자즙을 이용한 아이스크림에서 citric acid는 즙의 첨가비율과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3% 첨가군의 경우 6.3 m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그러나 동결유자즙을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첨가비율에 관계없이 0.5-0.6 mg/100g으로 낮은 함량이었다. 아이스크림중의 무기물은 동결하지 않은 유자즙을 3% 첨가한 군에서 3399.96 mg/100g으로 가장 높았고, 인, 칼슘 및 나트륨의 순서로 그 함량이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유자향과 유자맛은 동결하지 않은 유자즙을 3% 첨가하였을 때 가장 많이 느낄 수 있었으나 떫은 맛과 신맛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동결 유자즙 2% 첨가군이 가장 좋았다. 영양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 모두를 고려할 때 동결하지 않은 유자즙 3% 첨가군이 가장 우수하였다.

현미 및 율무 함유 생식이 영양불균형이 유도된 흰쥐의 체내 지질농도, 항산화체계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w Broun Rice and Job식s Tear Supplemented Diet on Serum and Hepatic Lipid Concentrations, Antioxidative System, and Immune Function of Rats)

  • 박진영;양미자;전혜승;이진희;배희경;박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7-206
    • /
    • 2003
  • 본 연구에서 는 sub-optimal 수준의 비타민과 무기질을 섭취하며,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알코올 섭취를 병행하여 영양 불균형이 유도된 흰쥐를 대상으로 현미와 율무로 구성된 생식 또는 열처리생식을 식이에 첨가하여 5주간 사육시킨 후 체내 지질농도, 항산화체계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영양불균형대조군의 식이효율은 일반대조군에 비해 더 낮았고, 현미 및 율무 함유생식 또는 열처리생식을 첨가한 결과 영양불균형대조군에 비해 식이효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일반생식군 또는 열처리생식군에서 영양불균형대조군에 비 해 각각 24% 또는 16%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LUL+VLDL-콜레스테롤 농도 역시 일반생식군에서 영양불균형대조군에 비해 26%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atherogenic index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일반생식군의 간조직 콜레스테롤 농도는 영양불균형대조군에 비해 16%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 농도는 일반생식군 또는 열처리 생식 군에서 영양불균형대조군에 비해 각각 38%또는 59%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한편, 영양불균형대조식이에 일반생식 또는 열처리생식을 첨가한 결과 간조직의 항산화효소계 활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장간막임파절의 CD4$^{+}$T-세포 분포 및 CD4$^{+}$/CD8$^{+}$비율은 일반생식군에서 영양불균형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P<0.05), 열처리생식군과 영양불균형대조군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열처리를 하지 않은 현미 및 율무 함유 생식은 열처리생식에 비해 영양불균형 흰쥐의 체내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효과 및 장간막임파절의 면역활성도 증가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냈다.

IMU 원신호 기반의 기계학습을 통한 충격전 낙상방향 분류 (Classification of Fall Direction Before Impact Us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IMU Raw Signals)

  • 이현빈;이창준;이정근
    • 센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6-101
    • /
    • 2022
  • As the elderly population gradually increases, the risk of fatal fall accidents among the elderly is increasing. One way to cope with a fall accident is to determine the fall direction before impact using a wearable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In this context, a previous study proposed a method of classifying fall directions using a support vector machine with sensor velocity, acceleration, and tilt angle as input parameters. However, in this method, the IMU signals are processed through several processes, including a Kalman filter and the integration of acceleration, which involves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and error factor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machine learning-based method that classifies the fall direction before impact using IMU raw signals rather than processed dat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following two factors on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1) the usage of processed/raw signals and (2) the selection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ocessed/raw signals, the difference in sensitivities between the two methods was within 5%, indicating an equivalent level of classification performance.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six machine learning techniques, K-nearest neighbor and naive Bayes exhibited excellent performance with a sensitivity of 86.0% and 84.1%, respectively.